대지법 (Korean Wikipedia)

Analysis of information sources in references of the Wikipedia article "대지법" in Korean language version.

refsWebsite
Global rank Korean rank
low place
low place
low place
167th place
low place
260th place
46th place
2nd place
low place
527th place
low place
3,452nd place

cbeta.org

dongguk.ac.kr

ebti.dongguk.ac.kr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p. 161-162 / 1397. 심소법(心所法)
    "논하여 말하겠다. 온갖 심소법에는 바야흐로 다섯 가지의 품류가 있다. 무엇을 다섯 가지라고 하는 것인가? 첫 번째는 대지법(大地法)이며, 둘째는 대선지법(大善地法)이며, 셋째는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이며, 넷째는 대불선지법(大不善地法)이며, 다섯째는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이다. 여기서 '지(地)'란 이를테면 행처(行處), 즉 생기하는 영역을 말하니, 만약 이것이 이러저러한 것(즉 심소)의 행처가 될 경우 이것을 설하여 그러한 법의 '지'라고 하는 것이다.15)
    15) 즉 심왕(心王)이 이러저러한 심소법이 일어나는 소의처가 될 때 그러한 심왕을 '지'라고 한다는 뜻."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제4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61 161-162 / 1397]. 심소법(心所法)"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 439 / 3087. 심소법(心所法)
    "논하여 말하겠다. 온갖 심소법에는 바야흐로 다섯 가지의 품류가 있으니, 대지법(大地法) 등의 차별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다시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첫째는 대지법(大地法)이며, 둘째는 대선지법(大善地法)이며, 셋째는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이며, 넷째는 대불선지법(大不善地法)이며, 다섯째는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이다. 여기서 ‘지(地, bhūmi)’란 이를테면 용지처(容止處)를 말한다. 혹은 소행처(所行處)를 말한다. 즉 이것이 만약 그것의 용지(진퇴 거동의 뜻)나 소행(所行, 작용)의 근거가 되었다면, 바로 이러한 법을 설하여 그러한 법의 ‘지’가 되었다고 하는 것이다. 즉 여기서의 ‘지’는 바로 마음을 가리키는 말이다.13)
    13) 즉 마음은 이러 저러한 작용의 심소법이 일어나는 소의처가 되는 것으로, 이러한 마음을 ‘지’라고 한다는 뜻."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6, T.1562제10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54startNum439 439 / 3087]. 심소법(心所法)"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161-163 / 1397쪽.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p. 162-163 / 1397. 수(受)
    "수(受)란 이를테면 세 가지의 종류를 말하니, 고(苦)와 낙(樂)과 양자 모두 아닌 것(즉 不苦不樂)을 영납(領納)하는 데 차별이 있기 때문이다.18)
    18) 수(vedanā)란 영납(領納)의 뜻으로, 대상에 대한 고(苦, 不快의 減損)·낙(樂, 快의 增益)·불고불락을 감수하는 의식작용이다."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 440 / 3087. 수(受)
    "소의신을 능히 증익(增益)하거나 감손(減損)하거나 혹은 두 가지 모두와 상위(相違)하는 것(증익하지도 않고 감손하지도 않는 것)으로서, 애호(愛護)할 만한 것이거나 애호할 만한 것이 아니거나 두 가지 모두와 상위하는 촉(觸)을 영납(領納)하는 것을 일컬어 ‘수(受)’라고 한다.15)
    15) 수(vedana)란 영납(領納)의 뜻으로, 마음으로 하여금 대상에 대한 고(苦, 不快의 減損)ㆍ낙(樂, 快의 增益)ㆍ불고불락을 감수하게 하는 의식작용을 말한다. "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3 / 1397. 상(想)
    "상(想)이란 이를테면 대상[境]에 대한 차별의 상을 취하는 것을 말한다.18)
    18) 상(saṃjñā)이란 취상(取像)의 뜻으로, 사물의 형상이나 언어적 개념의 차별상을 취(표상)하는 의식작용이다."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 440 / 3087. 상(想)
    "남ㆍ여 등 경계대상의 차별상을 집취(執取) 안립(安立)하게 하는 근거를 일컬어 ‘상(想)’이라고 한다.16)
    16) 상(saṃjñā)이란 취상(取像)의 뜻으로, 마음으로 하여금 사물의 형상이나 언어적 개념의 차별상을 취(표상)하여 설정하게 하는 의식작용을 말한다. "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3 / 1397. 사(思)
    "사(思)란 이를테면 능히 마음으로 하여금 조작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18)
    18) 사(cetanā)라고 하는 것은 마음으로 하여금 선·불선·무기를 조작(造作)하게 하는 의사[意業]의 의식작용이다. "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p. 440-441 / 3087. 사(思)
    "마음으로 하여금 선ㆍ불선ㆍ무기를 조작하게 하여, 뛰어나거나 열등하거나 혹은 뛰어나지도 열등하지도 않은[中] 성질을 성취하게 하는 것을 일컬어 ‘사(思)’라고 한다.17) 즉 이러한 ‘사’가 존재하기 때문에 마음이 대상에 대해 움직이는 작용을 갖게 되는 것으로, 마치 자석의 세력이 능히 쇠붙이로 하여금 움직이는 작용을 갖게 하는 것과 같다.
    17) 사(cetanā)란 마음으로 하여금 선ㆍ불선ㆍ무기를 조작(造作)하게 하는 의사 혹은 의지의 의식작용으로, 유부에 의하면 이는 의업(意業)의 본질이다."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3 / 1397. 촉(觸)
    "촉(觸)이란 이를테면 근(根)·경(境)·식(識)이 화합하여 생겨나는 것으로, 능히 대상과 접촉[觸對]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18)
    18) 촉(sparśa)이란 근·경·식의 화합에 의해 생겨난 것으로, 마음으로 하여금 대상에 대해 촉대(觸對)하게 하는 의식작용이다."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 441 / 3087. 촉(觸)
    "근(根)ㆍ경(境)ㆍ식(識)이 화합함에 따라 생겨난 것으로, 능히 ‘수’의 근거가 되어 촉대(觸對)한 바를 갖게 하는 것을 일컬어 ‘촉(觸)’이라고 한다.18)
    18) 촉(sparśa)이란 근ㆍ경ㆍ식의 화합에 의해 생겨난 것으로, 이것이 있음으로 말미암아 좋거나 좋지 않은 등의 느낌 즉 ‘수’가 일어나게 된다. 이는 말하자면 순수감각과 같은 의미의 의식작용이다."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3 / 1397. 욕(欲)
    "욕(欲)이란 이를테면 지어야 할 사업을 희구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18)
    18) 욕(chanda)이란 마음으로 하여금 뭔가를 희구(希求)하게 하는 의식작용이다."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 441 / 3087. 욕(欲)
    "[마음으로 하여금] 희구(希求)하여 대상을 취하게 하는 것을 일컬어 ‘욕(欲)’이라고 한다.19)
    19) 욕(chanda)이란 마음으로 하여금 뭔가를 희구(希求)하게 하는 의식작용이다. "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3 / 1397. 혜(慧)
    "혜(慧)란 이를테면 법에 대해 능히 간택(簡擇)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18)
    18) 혜(prajñā)란 소연이 되는 대상에 대해 능히 판단·간택(簡擇)하게 하는 의식작용이다."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 441 / 3087. 혜(慧)
    "소연(所緣, 식의 대상)에 대해 그릇되거나 올바른 등의 상(相)을 간택(簡擇)하는 것을 일컬어 ‘혜(慧)’라고 한다.20)
    20) 혜(prajñā)란 소연이 되는 대상에 대해 능히 판단ㆍ간택(簡擇)하게 하는 의식작용이다. "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3 / 1397. 염(念)
    "염(念)이란 이를테면 소연을 명기(明記)하여 망실하지 않게 하는 것을 말한다.18)
    18) 염(smṛti)이란 대상을 명기(明記)하여 잊어버리지 않게 하는 의식작용이다."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 441 / 3087. 염(念)
    "[마음으로 하여금] 대상을 명기(明記)하여 잊어버리지 않게 하는 근거를 일컬어 ‘염(念)’이라고 한다.21)
    21) 염(smṛti)이란 기억의 의식작용으로, 이것이 존재함으로 말미암아 대상을 명기(明記)하여 잊어버리지 않게 된다."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3 / 1397. 작의(作意)
    "작의(作意)란 이를테면 능히 마음으로 하여금 경각(警覺)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18)
    18) 작의(manasikara)란 마음으로 하여금 대상에 대해 주의·경각(警覺, 곧 留意)하게 하는 의식작용이다."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 441 / 3087. 작의(作意)
    "심ㆍ심소를 인기(引起)하여 소연에 대해 경각(警覺)하게 하는 것을 일컬어 작의(作意)라고 한다.22) 이것을 세간에서는 ‘유의(留意)’라고도 말한다.
    22) 작의(manaskāra)란 마음으로 하여금 대상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거나 경각(警覺)하게 하는 의식작용이다. "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3 / 1397. 승해(勝解)
    "승해(勝解)란 이를테면 능히 대상에 대해 인가(印可)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18)
    18) 승해(adhimukti)란 대상에 대해 인가(印可)·결정하게 하는 의식작용이다."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 441 / 3087. 승해(勝解)
    "경계대상에 대해 인가(印可)하는 것을 일컬어 승해(勝解)라고 한다.23) 이에 대해 유여사는 “‘승’이란 증성(增勝)을 말하며, ‘해’란 해탈을 말한다”고 하였다. 즉 이것은 능히 마음으로 하여금 경계대상에서 막힘없이 무애 자재하게 일어나게 하는 것이니, 이를테면 ‘승계(勝戒, 뛰어난 계)’라고 하는 것과 같다.
    23) 승해(adhimukti)란 마음으로 하여금 대상에 대해 인가(忍可=認可) 결정하게 하는 의식작용이다. "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3 / 1397. 삼마지(三摩地)
    "삼마지(三摩地)란 이를테면 심일경성(心一境性)을 말한다.18)
    18) 삼마지(samādhi)란 마음을 평등(平等)하게 유지하여 그것으로 하여금 하나의 대상에 전념하게 하는 의식작용[心一境性]으로, 이를테면 '마치 뱀이 죽통(竹筒)에 들어가면 바로 펴지듯이 마음이 삼마지에 들면 산란되지 않고 바로 곧게 전이하는 것이다.'"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 441-442 / 3087
    "마음으로 하여금 산란됨이 없이 소연의 경계를 취하여 흩어지지 않게 하는 근거를 일컬어 삼마지(三摩地)라고 한다.24)
    24) 삼마지(samādhi)란 마음을 평등(平等)하게 유지하여 그것으로 하여금 하나의 대상에 전념하게 하는 의식작용[心一境性]을 말하는 것으로, 이를테면 ‘마치 뱀이 죽통(竹筒)에 들어가면 바로 펴지듯이 마음이 삼마지에 들면 산란되지 않고 바로 곧게 전이하게 되는 것이다.’"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 439 / 3087
    "대법(大法)이란 수(受) · 상(想) 등의 심소를 말하는 것으로, 그것은 일체의 마음과 두루 통하며, 반드시 함께 생겨나기 때문에 ‘대법(大法)’이라 하는 것이다."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2 / 1397. 대지(大地)
    "대법(大法)의 '지'가 되기 때문에 '대지(大地)'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p. 439-440 / 3087. 대지법(大地法)
    "곧 [마음은] 대법(大法)의 ‘지’가 되기 때문에 ‘대지(大地)’라고 이름하며,14) 이러한 제법 가운데 만약 어떤 법이 ‘대지’에 소유되었다면, 이를 ‘대지법’이라고 이름하는데, 이를테면 일체의 품류(대지법 내지 소번뇌지법)와 일체의 마음(선 · 불선 · 무기)과 두루 구생하는 법을 말한다.
    14) 여기서 대법이란 수(受) · 상(想) 등의 심소를 말하는 것으로, 그것은 일체의 마음과 두루 통하며, 반드시 함께 생겨나기 때문에 ‘대법’이라 하는 것이다. 곧 마음은 이러한 대법(大法)을 소유하며 그것의 소의처가 되고 통솔자로서 구기(俱起)하기 때문에 ‘대법의 지’ 즉 ‘대지’라고 이름한다는 것이다."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6, T.1562제10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54startNum439 439-440 / 3087]. 대지법(大地法)"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dongguk.edu

buddha.dongguk.edu

fgs.org.tw

etext.fgs.org.tw

  • 星雲, "大地法". 2012년 9월 24일에 확인.

krdic.naver.com

  • "간택(簡擇)",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0월 21일에 확인.
  • "명기(明記)",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0월 21일에 확인.
  • "인가(印可)",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0월 21일에 확인.
  • "인가(認可)",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0월 21일에 확인.
  • "전념(專念)",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0월 21일에 확인.

wikipedia.org

en.wikipedia.org

  •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4권. p. T29n1558_p0019a08 - T29n1558_p0019a11. 심소법(心所法)
    "論曰。諸心所法且有五品。何等為五。一大地法。二大善地法。三大煩惱地法。四大不善地法。五小煩惱地法。地謂行處。若此是彼所行處。即說此為彼法地。"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세친 조, 현장 한역T.1558제4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19a08 T29n1558_p0019a08 - T29n1558_p0019a11]. 심소법(心所法)"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p. 161-162 / 1397. 심소법(心所法)
    "논하여 말하겠다. 온갖 심소법에는 바야흐로 다섯 가지의 품류가 있다. 무엇을 다섯 가지라고 하는 것인가? 첫 번째는 대지법(大地法)이며, 둘째는 대선지법(大善地法)이며, 셋째는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이며, 넷째는 대불선지법(大不善地法)이며, 다섯째는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이다. 여기서 '지(地)'란 이를테면 행처(行處), 즉 생기하는 영역을 말하니, 만약 이것이 이러저러한 것(즉 심소)의 행처가 될 경우 이것을 설하여 그러한 법의 '지'라고 하는 것이다.15)
    15) 즉 심왕(心王)이 이러저러한 심소법이 일어나는 소의처가 될 때 그러한 심왕을 '지'라고 한다는 뜻."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제4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61 161-162 / 1397]. 심소법(心所法)"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중현 조, 현장 한역 & T.1562, 제10권. p. T29n1562_p0384a19 - T29n1562_p0384a23. 심소법(心所法)
    "論曰。諸心所法。且有五品。大地法等。有別異故。此復云何。一大地法。二大善地法。三大煩惱地法。四大不善地法。五小煩惱地法。地謂容止處。或謂所行處。若此是彼容止所行。即說此為彼法之地。地即是心。"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중현 조, 현장 한역T.1562제10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62_p0384a19 T29n1562_p0384a19 - T29n1562_p0384a23]. 심소법(心所法)"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 439 / 3087. 심소법(心所法)
    "논하여 말하겠다. 온갖 심소법에는 바야흐로 다섯 가지의 품류가 있으니, 대지법(大地法) 등의 차별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다시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첫째는 대지법(大地法)이며, 둘째는 대선지법(大善地法)이며, 셋째는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이며, 넷째는 대불선지법(大不善地法)이며, 다섯째는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이다. 여기서 ‘지(地, bhūmi)’란 이를테면 용지처(容止處)를 말한다. 혹은 소행처(所行處)를 말한다. 즉 이것이 만약 그것의 용지(진퇴 거동의 뜻)나 소행(所行, 작용)의 근거가 되었다면, 바로 이러한 법을 설하여 그러한 법의 ‘지’가 되었다고 하는 것이다. 즉 여기서의 ‘지’는 바로 마음을 가리키는 말이다.13)
    13) 즉 마음은 이러 저러한 작용의 심소법이 일어나는 소의처가 되는 것으로, 이러한 마음을 ‘지’라고 한다는 뜻."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6, T.1562제10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54startNum439 439 / 3087]. 심소법(心所法)"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권오민 2003, 69–81쪽.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161-163 / 1397쪽.
  • 운허, "大地法(대지법)". 2012년 9월 24일에 확인.
  • 星雲, "大地法". 2012년 9월 24일에 확인.
  • 권오민 2003, 69-81. 수受·상想·사思쪽
    "'먼저 '수受'란 대상에 대해 나쁘다(苦), 좋다(樂), 나쁘지도 않고 좋지도 않다(不苦不樂)고 지각하는 감수작용을, '상想'은 사물의 형상이나 언어적 개념의 차별상을 파악하는 표상작용을, '사思'는 마음으로 하여금 선·불선·무기를 조작하게 하는 의지작용을 말하는데, 이 세 가지는 5온蘊 가운데 수·상·행온行蘊에 해당한다. '행(samskara)'이란 넓은 뜻으로 보면 유위의 현상세계를 조작하는 일체一切의 유위법有爲法을 의미하지만, 좁은 뜻으로 본다면 유정의 삶을 이끌어 가는(혹은 조작하는) 의지를 말하기 때문이다."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권오민200369-81. 수受·상想·사思"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4권. p. T29n1558_p0019a17 - T29n1558_p0019a18. 수(受)
    "受謂三種領納苦樂俱非有差別故。"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p. 162-163 / 1397. 수(受)
    "수(受)란 이를테면 세 가지의 종류를 말하니, 고(苦)와 낙(樂)과 양자 모두 아닌 것(즉 不苦不樂)을 영납(領納)하는 데 차별이 있기 때문이다.18)
    18) 수(vedanā)란 영납(領納)의 뜻으로, 대상에 대한 고(苦, 不快의 減損)·낙(樂, 快의 增益)·불고불락을 감수하는 의식작용이다."
  • 중현 조, 현장 한역 & T.1562, 제10권. p. T29n1562_p0384a29 - T29n1562_p0384b01. 수(受)
    "於所依身。能益能損。或俱相違。領愛非愛俱相違觸。說名為受。"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 440 / 3087. 수(受)
    "소의신을 능히 증익(增益)하거나 감손(減損)하거나 혹은 두 가지 모두와 상위(相違)하는 것(증익하지도 않고 감손하지도 않는 것)으로서, 애호(愛護)할 만한 것이거나 애호할 만한 것이 아니거나 두 가지 모두와 상위하는 촉(觸)을 영납(領納)하는 것을 일컬어 ‘수(受)’라고 한다.15)
    15) 수(vedana)란 영납(領納)의 뜻으로, 마음으로 하여금 대상에 대한 고(苦, 不快의 減損)ㆍ낙(樂, 快의 增益)ㆍ불고불락을 감수하게 하는 의식작용을 말한다. "
  •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4권. p. T29n1558_p0019a18. 상(想)
    "想謂於境取差別相。"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3 / 1397. 상(想)
    "상(想)이란 이를테면 대상[境]에 대한 차별의 상을 취하는 것을 말한다.18)
    18) 상(saṃjñā)이란 취상(取像)의 뜻으로, 사물의 형상이나 언어적 개념의 차별상을 취(표상)하는 의식작용이다."
  • 중현 조, 현장 한역 & T.1562, 제10권. p. T29n1562_p0384b01 - T29n1562_p0384b02. 상(想)
    "安立執取男女等境差別相因。說名為想。"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 440 / 3087. 상(想)
    "남ㆍ여 등 경계대상의 차별상을 집취(執取) 안립(安立)하게 하는 근거를 일컬어 ‘상(想)’이라고 한다.16)
    16) 상(saṃjñā)이란 취상(取像)의 뜻으로, 마음으로 하여금 사물의 형상이나 언어적 개념의 차별상을 취(표상)하여 설정하게 하는 의식작용을 말한다. "
  •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4권. p. T29n1558_p0019a18 - T29n1558_p0019a19. 사(思)
    "思謂能令心有造作。"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3 / 1397. 사(思)
    "사(思)란 이를테면 능히 마음으로 하여금 조작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18)
    18) 사(cetanā)라고 하는 것은 마음으로 하여금 선·불선·무기를 조작(造作)하게 하는 의사[意業]의 의식작용이다. "
  • 중현 조, 현장 한역 & T.1562, 제10권. p. T29n1562_p0384b02 - T29n1562_p0384b04. 사(思)
    "令心造作善不善無記成妙劣中性說名為思。由有思故。令心於境有動作用。猶如磁石勢力能令鐵有動用。"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p. 440-441 / 3087. 사(思)
    "마음으로 하여금 선ㆍ불선ㆍ무기를 조작하게 하여, 뛰어나거나 열등하거나 혹은 뛰어나지도 열등하지도 않은[中] 성질을 성취하게 하는 것을 일컬어 ‘사(思)’라고 한다.17) 즉 이러한 ‘사’가 존재하기 때문에 마음이 대상에 대해 움직이는 작용을 갖게 되는 것으로, 마치 자석의 세력이 능히 쇠붙이로 하여금 움직이는 작용을 갖게 하는 것과 같다.
    17) 사(cetanā)란 마음으로 하여금 선ㆍ불선ㆍ무기를 조작(造作)하게 하는 의사 혹은 의지의 의식작용으로, 유부에 의하면 이는 의업(意業)의 본질이다."
  • 권오민 2003, 69-81. 촉觸쪽
    "'촉觸'이란 감관과 대상과 의식意識의 화합을 말하는 것으로, 순수감각 정도의 의미이다. 참고로 이는 신근의 대상인 촉(aprastavya)과는 그 의미가 다르다."
  •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4권. p. T29n1558_p0019a19. 촉(觸)
    "觸謂根境識和合生。能有觸對。"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3 / 1397. 촉(觸)
    "촉(觸)이란 이를테면 근(根)·경(境)·식(識)이 화합하여 생겨나는 것으로, 능히 대상과 접촉[觸對]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18)
    18) 촉(sparśa)이란 근·경·식의 화합에 의해 생겨난 것으로, 마음으로 하여금 대상에 대해 촉대(觸對)하게 하는 의식작용이다."
  • 중현 조, 현장 한역 & T.1562, 제10권. p. T29n1562_p0384b05 - T29n1562_p0384b06. 촉(觸)
    "由根境識和合而生。能為受因。有所觸對。說名為觸。"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 441 / 3087. 촉(觸)
    "근(根)ㆍ경(境)ㆍ식(識)이 화합함에 따라 생겨난 것으로, 능히 ‘수’의 근거가 되어 촉대(觸對)한 바를 갖게 하는 것을 일컬어 ‘촉(觸)’이라고 한다.18)
    18) 촉(sparśa)이란 근ㆍ경ㆍ식의 화합에 의해 생겨난 것으로, 이것이 있음으로 말미암아 좋거나 좋지 않은 등의 느낌 즉 ‘수’가 일어나게 된다. 이는 말하자면 순수감각과 같은 의미의 의식작용이다."
  • 권오민 2003, 69-81. 욕欲쪽
    "'욕欲'이란 뭔가를 하고자 하는 심리작용이며"
  •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4권. p. T29n1558_p0019a19 - T29n1558_p0019a20. 욕(欲)
    "欲謂希求所作事業。"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3 / 1397. 욕(欲)
    "욕(欲)이란 이를테면 지어야 할 사업을 희구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18)
    18) 욕(chanda)이란 마음으로 하여금 뭔가를 희구(希求)하게 하는 의식작용이다."
  • 중현 조, 현장 한역 & T.1562, 제10권. p. T29n1562_p0384b06. 욕(欲)
    "希求取境。說名為欲。"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 441 / 3087. 욕(欲)
    "[마음으로 하여금] 희구(希求)하여 대상을 취하게 하는 것을 일컬어 ‘욕(欲)’이라고 한다.19)
    19) 욕(chanda)이란 마음으로 하여금 뭔가를 희구(希求)하게 하는 의식작용이다. "
  • 권오민 2003, 69-81. 혜慧쪽
    "'혜慧'는 판단작용[을 말한다.]"
  •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4권. p. T29n1558_p0019a20. 혜(慧)
    "慧謂於法能有簡擇。"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3 / 1397. 혜(慧)
    "혜(慧)란 이를테면 법에 대해 능히 간택(簡擇)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18)
    18) 혜(prajñā)란 소연이 되는 대상에 대해 능히 판단·간택(簡擇)하게 하는 의식작용이다."
  • 중현 조, 현장 한역 & T.1562, 제10권. p. T29n1562_p0384b06 - T29n1562_p0384b07. 혜(慧)
    "簡擇所緣邪正等相。說名為慧。"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 441 / 3087. 혜(慧)
    "소연(所緣, 식의 대상)에 대해 그릇되거나 올바른 등의 상(相)을 간택(簡擇)하는 것을 일컬어 ‘혜(慧)’라고 한다.20)
    20) 혜(prajñā)란 소연이 되는 대상에 대해 능히 판단ㆍ간택(簡擇)하게 하는 의식작용이다. "
  • 권오민 2003, 69-81. 염念쪽
    "'염念'이란 기억작용, 다시 말해 마음으로 하여금 대상을 기억하여 잊어버리지 않게 하는 의식작용을 말한다."
  •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4권. p. T29n1558_p0019a20 - T29n1558_p0019a21. 염(念)
    "念謂於緣明記不忘。"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3 / 1397. 염(念)
    "염(念)이란 이를테면 소연을 명기(明記)하여 망실하지 않게 하는 것을 말한다.18)
    18) 염(smṛti)이란 대상을 명기(明記)하여 잊어버리지 않게 하는 의식작용이다."
  • 중현 조, 현장 한역 & T.1562, 제10권. p. T29n1562_p0384b07 - T29n1562_p0384b08. 염(念)
    "於境明記不忘失因。說名為念。"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 441 / 3087. 염(念)
    "[마음으로 하여금] 대상을 명기(明記)하여 잊어버리지 않게 하는 근거를 일컬어 ‘염(念)’이라고 한다.21)
    21) 염(smṛti)이란 기억의 의식작용으로, 이것이 존재함으로 말미암아 대상을 명기(明記)하여 잊어버리지 않게 된다."
  • 권오민 2003, 69-81. 작의作意쪽
    "'작의作意'는 주의·경각의 작용으로, 이것이 마음을 자극함으로써 대상으로의 관심을 기울일 수 있는 것이다."
  •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4권. p. T29n1558_p0019a21. 작의(作意)
    "作意謂能令心警覺。"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3 / 1397. 작의(作意)
    "작의(作意)란 이를테면 능히 마음으로 하여금 경각(警覺)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18)
    18) 작의(manasikara)란 마음으로 하여금 대상에 대해 주의·경각(警覺, 곧 留意)하게 하는 의식작용이다."
  • 중현 조, 현장 한역 & T.1562, 제10권. p. T29n1562_p0384b08 - T29n1562_p0384b09. 작의(作意)
    "引心心所。令於所緣有所警覺。說名作意。此即世間說為留意。"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 441 / 3087. 작의(作意)
    "심ㆍ심소를 인기(引起)하여 소연에 대해 경각(警覺)하게 하는 것을 일컬어 작의(作意)라고 한다.22) 이것을 세간에서는 ‘유의(留意)’라고도 말한다.
    22) 작의(manaskāra)란 마음으로 하여금 대상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거나 경각(警覺)하게 하는 의식작용이다. "
  • 권오민 2003, 69-81. 승해勝解쪽
    "'승해勝解'는 어떤 대상에 대해 그것을 인가하고 결정하게 하는 의식작용이다."
  •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4권. p. T29n1558_p0019a21 - T29n1558_p0019a22. 승해(勝解)
    "勝解謂能於境印可。"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3 / 1397. 승해(勝解)
    "승해(勝解)란 이를테면 능히 대상에 대해 인가(印可)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18)
    18) 승해(adhimukti)란 대상에 대해 인가(印可)·결정하게 하는 의식작용이다."
  • 중현 조, 현장 한역 & T.1562, 제10권. p. T29n1562_p0384b09 - T29n1562_p0384b11. 승해(勝解)
    "於境印可。說名勝解。有餘師言。勝謂增勝。解謂解脫。此能令心。於境無礙自在而轉。如勝戒等。"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 441 / 3087. 승해(勝解)
    "경계대상에 대해 인가(印可)하는 것을 일컬어 승해(勝解)라고 한다.23) 이에 대해 유여사는 “‘승’이란 증성(增勝)을 말하며, ‘해’란 해탈을 말한다”고 하였다. 즉 이것은 능히 마음으로 하여금 경계대상에서 막힘없이 무애 자재하게 일어나게 하는 것이니, 이를테면 ‘승계(勝戒, 뛰어난 계)’라고 하는 것과 같다.
    23) 승해(adhimukti)란 마음으로 하여금 대상에 대해 인가(忍可=認可) 결정하게 하는 의식작용이다. "
  • 권오민 2003, 69-81. 삼마지三摩地쪽
    "'삼마지三摩地(samadhi, 혹은 삼매)'란 마음을 어떤 한 대상에 전념 집중하게 하는 의식작용으로, 마치 뱀이 죽통竹筒에 들어가면 바로 펴지듯이 마음도 이 같은 삼마지에 의해 산란되지 않고 한결같게 된다는 것이다. "
  •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4권. p. T29n1558_p0019a22. 삼마지(三摩地)
    "三摩地謂心一境性。"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3 / 1397. 삼마지(三摩地)
    "삼마지(三摩地)란 이를테면 심일경성(心一境性)을 말한다.18)
    18) 삼마지(samādhi)란 마음을 평등(平等)하게 유지하여 그것으로 하여금 하나의 대상에 전념하게 하는 의식작용[心一境性]으로, 이를테면 '마치 뱀이 죽통(竹筒)에 들어가면 바로 펴지듯이 마음이 삼마지에 들면 산란되지 않고 바로 곧게 전이하는 것이다.'"
  • 중현 조, 현장 한역 & T.1562, 제10권. p. T29n1562_p0384b11 - T29n1562_p0384b12. 삼마지(三摩地)
    "令心無亂。取所緣境。不流散因。名三摩地。"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 441-442 / 3087
    "마음으로 하여금 산란됨이 없이 소연의 경계를 취하여 흩어지지 않게 하는 근거를 일컬어 삼마지(三摩地)라고 한다.24)
    24) 삼마지(samādhi)란 마음을 평등(平等)하게 유지하여 그것으로 하여금 하나의 대상에 전념하게 하는 의식작용[心一境性]을 말하는 것으로, 이를테면 ‘마치 뱀이 죽통(竹筒)에 들어가면 바로 펴지듯이 마음이 삼마지에 들면 산란되지 않고 바로 곧게 전이하게 되는 것이다.’"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 439 / 3087
    "대법(大法)이란 수(受) · 상(想) 등의 심소를 말하는 것으로, 그것은 일체의 마음과 두루 통하며, 반드시 함께 생겨나기 때문에 ‘대법(大法)’이라 하는 것이다."
  •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4권. p. T29n1558_p0019a11 - T29n1558_p0019a12. 대지(大地)
    "大法地故名為大地。"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2 / 1397. 대지(大地)
    "대법(大法)의 '지'가 되기 때문에 '대지(大地)'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0권. pp. 439-440 / 3087. 대지법(大地法)
    "곧 [마음은] 대법(大法)의 ‘지’가 되기 때문에 ‘대지(大地)’라고 이름하며,14) 이러한 제법 가운데 만약 어떤 법이 ‘대지’에 소유되었다면, 이를 ‘대지법’이라고 이름하는데, 이를테면 일체의 품류(대지법 내지 소번뇌지법)와 일체의 마음(선 · 불선 · 무기)과 두루 구생하는 법을 말한다.
    14) 여기서 대법이란 수(受) · 상(想) 등의 심소를 말하는 것으로, 그것은 일체의 마음과 두루 통하며, 반드시 함께 생겨나기 때문에 ‘대법’이라 하는 것이다. 곧 마음은 이러한 대법(大法)을 소유하며 그것의 소의처가 되고 통솔자로서 구기(俱起)하기 때문에 ‘대법의 지’ 즉 ‘대지’라고 이름한다는 것이다."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6, T.1562제10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54startNum439 439-440 / 3087]. 대지법(大地法)"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