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옛적 간날 갈적에는 사람이 나무 열매를 따서 먹고 火食으로 아니먹기 때문에 그때 미륵남의 時代 그때 그 時節에는 해도 두 분 달도 두 분 마련하고 또 옷나무에는 옷이 열고 밥나무에는 밥이 열고 깨끔나무에는 깨끔 열고 국수나무에는 국수 열고 이래 떡갈 잎에 떡이 열고 火食으로 아니먹기 때문에, 사람은 火食으로 아니먹기 때문에 그때 그 時節 미륵님의 時節에는 이 마음은 모두 자손들은 溫順하고 병신 子孫도 없고, 그래 미륵님의 時節에는 그래 했는데. 나무 열매를 따서 먹고 농새법도 없고 火食 지어 먹는 법도 없고."Kim H. 1994, pp. 47–49, 383 ————————— (1994). Han'guk-ui changse sinhwa 한국의 창세 신화 [Creation Myths of Korea]. Gilbeot. ISBN89-7560-505-1. Retrieved May 31, 2020.
"먹을 것이 없어 서리 배 곺은 사람이 많갔구나, 입을 것이 없어 서레 옷 벗은 사람이 많갔구나. 거리 거리 걸객이라. 凶年 歲月이 돌아 와서 집집마당 울음이요, 간 곳마당 근심이라." Kim H. 1994, p. 295 ————————— (1994). Han'guk-ui changse sinhwa 한국의 창세 신화 [Creation Myths of Korea]. Gilbeot. ISBN89-7560-505-1. Retrieved May 31, 2020.
"소벨왕이 저싱국을 들어가고 '대벨왕님 큰 성님아 저싱법은 어떵이나 다스립니까?' '저승법을 법지법대로 죄 짓는 인 죄 짓인대로 다스리고 가련ᄒᆞᆫ 백성은 가련대로 다스리고 정막ᄒᆞᆫ 백성은 정막대로 다스리고 불쌍ᄒᆞᆫ 백성은 불쌍대로 다스리고 하니 법지법이 맑아지다.' '[...] 큰 성님일랑 인간을 ᄂᆞ립서 날랑 저싱을 올쿠다.' '아맹ᄒᆞ민 ᄒᆞᆫ번 임낙ᄒᆞ민 그만이지 다시 개벌을 ᄒᆞᆯ수가 있느냐? 그만 법제법을 못다스릴 걸 인간을 ᄂᆞ렸느냐? 인간을 ᄂᆞ리라 큰 법이랑 내가 다스려 주건 작은 법이랑 너대로 다스려 봐라.'" Kim H. 1994, pp. 425–426 ————————— (1994). Han'guk-ui changse sinhwa 한국의 창세 신화 [Creation Myths of Korea]. Gilbeot. ISBN89-7560-505-1. Retrieved May 31, 2020.
Walraven 2007, pp. 246–247. Walraven, Boudewijn (2007). "Creation of the World and Suffering". In Buswell Jr., Robert E. (ed.). Religions of Korea in Practic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244–258. ISBN978-0-691-11347-0. Retrieved June 24, 2020.
"彌勒님이 한짝 손에 銀쟁반 들고, 한짝 손에 金쟁반 들고, 한을에 祝司하니, 한을에서 벌기 ᄯᅥ러저, 金쟁반에도 다섯이오 銀쟁반에도 다섯이라. 그 벌기 질이와서, 金벌기는 사나희 되고, 銀벌기는 계집으로 마련하고, 銀벌기 金벌기 자리와서, 夫婦로 마련하야, 世上 사람이 나엿서라." Kim H. 1994, pp. 232–233 ————————— (1994). Han'guk-ui changse sinhwa 한국의 창세 신화 [Creation Myths of Korea]. Gilbeot. ISBN89-7560-505-1. Retrieved May 31, 2020.
"사심이 하나 울움을 껑껑 울며 길을 건너 가오. '야 저 사심이느 길을 건너 가니 가는 것 그냥 둘 수 없다.' 바랑 안에서 육환장을 꺼내어 그 사심이 견주더니 더졌더니 사심이는 맞지서고 절루 재되웠소. '이거 그냥 둘 수 없다... 야산에 장잭이 심산에 쌍잭이를 모다서 우물 井재를 가레 놓고 나무 널기 피워놓고 사심이를 고와라.'" Kim H. 1994, pp. 255–256 ————————— (1994). Han'guk-ui changse sinhwa 한국의 창세 신화 [Creation Myths of Korea]. Gilbeot. ISBN89-7560-505-1. Retrieved May 31, 2020.
Eder, Matthias. "Reality in Japanese Folktales". In: Asian Folklore Studies 28, no. 1 (1969): 21. Accessed June 14, 2021. doi:10.2307/1177778.
Ho, Ting-jui. "East Asian Themes in Folktales of the Formosan Aborigines". In: Asian Folklore Studies 23, no. 2 (1964): 35-39 and Map 2. Accessed May 24, 2021. doi:10.2307/1177748.
Blackburn, S.H. Tribal Cultures in the Eastern Himalayas. Volume 2: Himalayan Tribal Tales. Leiden, The Netherlands: Brill, 2008. pp. 215-216. doi:10.1163/ej.9789004171336.i-298.38.
Eder, Matthias. "Reality in Japanese Folktales". In: Asian Folklore Studies 28, no. 1 (1969): 21. Accessed June 14, 2021. doi:10.2307/1177778.
Seki, Keigo (1966). "Types of Japanese Folktales". Asian Folklore Studies. 25: 22–23. doi:10.2307/1177478. JSTOR1177478.
Bender, Mark (1990). ""Felling the Ancient Sweetgum": Antiphonal Folk Epics of the Miao of Southeast Guizhou". In: CHINOPERL, 15:1, 35-36. doi:10.1179/chi.1990.15.1.27.
Lihui, Yang, and An Deming. "The World Of Chinese Mythology: An Introduction". In: China's Creation and Origin Myths. Leiden, The Netherlands: Brill, 2011. p. 52. doi:10.1163/ej.9789004194854.i-354.18.
Nassen-Bayer, and Kevin Stuart. "Mongol Creation Stories: Man, Mongol Tribes, the Natural World, and Mongol Deities". In: Asian Folklore Studies 51, no. 2 (1992): 330. Accessed June 28, 2021. doi:10.2307/1178337.
Ben-Amos, Dan (1980). "Review of Loreto Todd, Some Day Been Dey: West African Pidgin Folktales". In: Africana Journal, 11: 73. Retrieved from https://repository.upenn.edu/nelc_papers/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