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TAR (Korean Wikipedia)

Analysis of information sources in references of the Wikipedia article "KSTAR" in Korean language version.

refsWebsite
Global rank Korean rank
46th place
2nd place
low place
114th place
1st place
1st place
1,291st place
30th place
low place
276th place
low place
7,194th place
832nd place
7th place
2,541st place
80th place
8,623rd place
84th place

daum.net

news.v.daum.net

dbpia.co.kr

  • “인공태양 'KSTAR'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전력문화사. 2018년 3월. KSTAR는 1995년부터 2007년까지 12년에 걸쳐 국내 기술로 개발된 초전도핵융합장치다. 2008년 최초 플라즈마 달성에 성공했다.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와 동일한 초전도 재료로 제작됐다. 
  • “인공태양 'KSTAR'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2018년 3월. '한국형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도 토카막형 핵융합장치다. 
  • “인공태양 ‘KSTAR’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전력문화사. 2018년 3월. ...원전의 0.04%에 불과한 소량의 방사능에 의해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이 일부 발생하지만 최대 100년 이내에 모두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게 전문가들 견해다. 또 원자로 내부에 연료를 미리 채운 상태에서 핵분열 연쇄반응을 이용하는 원전과 달리 핵융합로는 연료인 중수소나 삼중수소를 외부에서 공급받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연료공급이 중단되면 1~2초 안에 자동으로 멈춰 설비 폭발이나 방사능 누출과 같은 위험이 없다. 
  • “KSTAR 토카막 장치 진공 기술 현황”. 한국진공학회. 2017년 3월. 
  • “인공태양 'KSTAR'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전력문화사. 2018년 3월. 국가핵융합연구소에 따르면 KSTAR는 지난해(2017년) 7,000만°C 초고온 상태에서 72초 동안 고성능 플라즈마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 

fnnews.com

kbs.co.kr

news.kbs.co.kr

kistep.re.kr

news.naver.com

sciencetimes.co.kr

sedaily.com

web.archive.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