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칠맛 (Korean Wikipedia)

Analysis of information sources in references of the Wikipedia article "감칠맛" in Korean language version.

refsWebsite
Global rank Korean rank
2nd place
3rd place
4th place
4th place
1st place
1st place
low place
low place
low place
low place
305th place
227th place
209th place
116th place
92nd place
435th place

cambridge.org

dictionary.cambridge.org

doi.org

dx.doi.org

  • Chandrashekar J, Hoon MA, Ryba NJ, Zuker CS (2006년 11월). “포유류 미각 수용체 및 세포”. 《Nature444 (7117): 288–94. doi:10.1038/nature05401. PMID 17108952. 
  • Beauchamp G (2009년 9월). “"감칠맛에 대한 감각 및 수용체 반응: 선구적 연구 개요"”. 《Am J Clin Nutr90 (3): 723S–7S. doi:10.3945/ajcn.2009.27462E. PMID 19571221. 
  • Yasuo T, Kusuhara Y, Yasumatsu K, Ninomiya Y (2008년 10월). “"글루타메이트를 감지하는 미각 기관의 다중 수용체 시스템"”. 《Biological & Pharmaceutical Bulletin31 (10): 1833–7. doi:10.1248/bpb.31.1833. PMID 18827337. 
  • Lehrer, Jonah (2007). 《프루스트는 신경과학자 》. Mariner Books. doi:0908/1043570 |doi= 값 확인 필요 (도움말). ISBN 9780547085906. 
  • Smriga M, Mizukoshi T, Iwata D, Sachise E, Miyano H, Kimura T, Curtis R (2010년 8월). “"이탈리아 폼페이의 '가룸 가게'에서 채취한 고대 젓갈(가룸)에서 아미노산과 미네랄 발견"”. 《Journal of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23 (5): 442–446. doi:10.1016/j.jfca.2010.03.005. 
  • Ikeda K (2002년 11월). “"새로운 조미료"”. 《Chemical Senses27 (9): 847–9. doi:10.1093/chemse/27.9.847. PMID 12438213. (이케다 기쿠나에 Ikeda, Kikunae (1909). “의 일부 번역”. 《Journal of the Chemical Society of Tokyo30: 820–836. )
  • Yamaguchi S (1998). “"감칠맛의 기본 특성과 식품 향미에 미치는 영향"”. 《Food Reviews International14 (2&3): 139–176. doi:10.1080/87559129809541156. 
  • Uneyama H, Kawai M, Sekine-Hayakawa Y, Torii K (2009년 8월). “"감칠맛을 내는 물질과 군침의 상관 관계"”. 《Journal of Medical Investigation》. 56(부록) (supplement): 197–204. doi:10.2152/jmi.56.197. PMID 20224181. 
  • Edmund Rolls (2009년 9월). “"감칠맛의 기능 뇌 영상: 감칠맛이 나게 하는 것은?"”.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90(부록) (supplement): 804S–813S. doi:10.3945/ajcn.2009.27462R. PMID 19571217. 
  • Yamaguchi S, Takahashi; Takahashi, Chikahito (1984). “"저염 수프와 고염 수프의 감칠맛에 대한 MSG와 염화나트륨의 상호 작용"”. 《Journal of Food Science49: 82–85. doi:10.1111/j.1365-2621.1984.tb13675.x. 
  • Yamamoto S, Tomoe M, Toyama K, Kawai M, Uneyama H (2009년 7월). “"노인이 글루탐산나트륨을 섭취하면 건강이 개선될 수 있는가?"”. 《Am J Clin Nutr90 (3): 844S–849S. doi:10.3945/ajcn.2009.27462X. PMID 19571225. 
  • Ninomiya K (1998). “"자연 발생"”. 《Food Reviews International14 (2&3): 177–211. doi:10.1080/87559129809541157. 
  • Chaudhari N, Landin AM, Roper SD (2000). “"대사성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변이의 맛 수용체 기능"”. 《Nature Neuroscience3 (2): 113–119. doi:10.1038/72053. PMID 10649565. 
  • Nelson G; Chandrashekar J; Hoon MA; 외. (2002). “"아미노산 맛 수용체"”. 《Nature416 (6877): 199–202. doi:10.1038/nature726. PMID 11894099. 
  • San Gabriel A, Uneyama H, Yoshie S, Torii K (2005). “"L-글루타메이트 자극에 대한 수용체 기능을 하는 성곽유두에서 신종 mGluR1 변이의 복제 및 특성화".”. 《Chem Senses》. 30(부록):: i25–i26. doi:10.1093/chemse/bjh095. PMID 15738140. 
  • Kinnamon SC (2011). “"맛 수용체 신호 전달 –혀에서 폐까지"”. 《Acta Physiol》: no–no. doi:10.1111/j.1748-1716.2011.02308.x. PMID 21481196. 
  • Perez CA, Huang L, Rong M, Kozak JA, Preuss AK, Zhang H, Max M, Margolskee RF (2002). “"맛 수용체 세포의 투명 수용체 잠재 통로 발현"”. 《Nat Neurosci5 (11): 1169–76. doi:10.1038/nn952. PMID 12368808. 
  • Zhang Y, Hoon MA, Chandrashekar J, Mueller KL, Cook B, Wu D, Zuker CS, Ryba NJ (2003). “"단맛, 쓴맛 및 감칠맛 부호화: 신호 전달 경로를 공유하는 서로 다른 수용체 세포"”. 《Cell112 (3): 293–301. doi:10.1016/S0092-8674(03)00071-0. PMID 12581520. 
  • Dando R, Roper SD (2009). “"파넥신 1 간극 결합 반통로에서 ATP 신호 전달을 통해 무손상 맛봉오리에서 세포 간 통신"”. 《J Physiol587 (2): 5899–906. doi:10.1113/jphysiol.2009.180083. PMID 12581520. 
  • Roper SD (2007년 8월). “"포유류 맛봉오리에서 신호 전달 및 정보 처리"”. 《Pflügers Archiv454 (5): 759–76. doi:10.1007/s00424-007-0247-x. PMID 17468883. 
  • Clapp TR, Yang R, Stoick CL, Kinnamon SC, Kinnamon JC (2004). “"인지질분해효소 C 신호 전달 경로의 성분을 표현하는 쥐의 맛 수용체 세포의 형태적 특성화"”. 《J Comp Neurol468 (3): 311–321. doi:10.1002/cne.10963. PMID 14681927. 
  • Iwatsuki K, Ichikawa R, Hiasa M, Moriyama Y, Torii K, Uneyama H (2009). “"맛 세포에서 소포성 뉴클레오타이드 운반체(VNUT) 확인"”. 《Biochem Bhiphys Res Commun388 (1): 1–5. doi:10.1016/j.bbrc.2009.07.069. PMID 19619506. 

foodprocessing.com

merriam-webster.com

nih.gov

ncbi.nlm.nih.gov

  • Yamaguchi S, Kumiko N (2000년 4월). “감칠맛과 식미”. 《Journal of Nutrition130 (4): 921S–26S. PMID 10736353. 
  • Chandrashekar J, Hoon MA, Ryba NJ, Zuker CS (2006년 11월). “포유류 미각 수용체 및 세포”. 《Nature444 (7117): 288–94. doi:10.1038/nature05401. PMID 17108952. 
  • Beauchamp G (2009년 9월). “"감칠맛에 대한 감각 및 수용체 반응: 선구적 연구 개요"”. 《Am J Clin Nutr90 (3): 723S–7S. doi:10.3945/ajcn.2009.27462E. PMID 19571221. 
  • Yasuo T, Kusuhara Y, Yasumatsu K, Ninomiya Y (2008년 10월). “"글루타메이트를 감지하는 미각 기관의 다중 수용체 시스템"”. 《Biological & Pharmaceutical Bulletin31 (10): 1833–7. doi:10.1248/bpb.31.1833. PMID 18827337. 
  • Ikeda K (2002년 11월). “"새로운 조미료"”. 《Chemical Senses27 (9): 847–9. doi:10.1093/chemse/27.9.847. PMID 12438213. (이케다 기쿠나에 Ikeda, Kikunae (1909). “의 일부 번역”. 《Journal of the Chemical Society of Tokyo30: 820–836. )
  • Uneyama H, Kawai M, Sekine-Hayakawa Y, Torii K (2009년 8월). “"감칠맛을 내는 물질과 군침의 상관 관계"”. 《Journal of Medical Investigation》. 56(부록) (supplement): 197–204. doi:10.2152/jmi.56.197. PMID 20224181. 
  • Edmund Rolls (2009년 9월). “"감칠맛의 기능 뇌 영상: 감칠맛이 나게 하는 것은?"”.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90(부록) (supplement): 804S–813S. doi:10.3945/ajcn.2009.27462R. PMID 19571217. 
  • Roininen K, Lahteenmaki K, Tuorila H (1996년 9월). “"노인이 글루탐산나트륨을 섭취하면 건강이 개선될 수 있는가?"”. 《Physiology & Behavior60 (3): 953–958. PMID 8873274. 
  • Yamamoto S, Tomoe M, Toyama K, Kawai M, Uneyama H (2009년 7월). “"노인이 글루탐산나트륨을 섭취하면 건강이 개선될 수 있는가?"”. 《Am J Clin Nutr90 (3): 844S–849S. doi:10.3945/ajcn.2009.27462X. PMID 19571225. 
  • Agostini C, Carratu B, Riva E, Sanzini E (2000년 8월). “"표준 조제분유의 유리아미노산 함량: 모유와 비교".”. 《Journal of American College of Nutrition19 (4): 434–438. PMID 10963461. 
  • Chaudhari N, Landin AM, Roper SD (2000). “"대사성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변이의 맛 수용체 기능"”. 《Nature Neuroscience3 (2): 113–119. doi:10.1038/72053. PMID 10649565. 
  • Nelson G; Chandrashekar J; Hoon MA; 외. (2002). “"아미노산 맛 수용체"”. 《Nature416 (6877): 199–202. doi:10.1038/nature726. PMID 11894099. 
  • San Gabriel A, Uneyama H, Yoshie S, Torii K (2005). “"L-글루타메이트 자극에 대한 수용체 기능을 하는 성곽유두에서 신종 mGluR1 변이의 복제 및 특성화".”. 《Chem Senses》. 30(부록):: i25–i26. doi:10.1093/chemse/bjh095. PMID 15738140. 
  • Kinnamon SC (2011). “"맛 수용체 신호 전달 –혀에서 폐까지"”. 《Acta Physiol》: no–no. doi:10.1111/j.1748-1716.2011.02308.x. PMID 21481196. 
  • Perez CA, Huang L, Rong M, Kozak JA, Preuss AK, Zhang H, Max M, Margolskee RF (2002). “"맛 수용체 세포의 투명 수용체 잠재 통로 발현"”. 《Nat Neurosci5 (11): 1169–76. doi:10.1038/nn952. PMID 12368808. 
  • Zhang Y, Hoon MA, Chandrashekar J, Mueller KL, Cook B, Wu D, Zuker CS, Ryba NJ (2003). “"단맛, 쓴맛 및 감칠맛 부호화: 신호 전달 경로를 공유하는 서로 다른 수용체 세포"”. 《Cell112 (3): 293–301. doi:10.1016/S0092-8674(03)00071-0. PMID 12581520. 
  • Dando R, Roper SD (2009). “"파넥신 1 간극 결합 반통로에서 ATP 신호 전달을 통해 무손상 맛봉오리에서 세포 간 통신"”. 《J Physiol587 (2): 5899–906. doi:10.1113/jphysiol.2009.180083. PMID 12581520. 
  • Roper SD (2007년 8월). “"포유류 맛봉오리에서 신호 전달 및 정보 처리"”. 《Pflügers Archiv454 (5): 759–76. doi:10.1007/s00424-007-0247-x. PMID 17468883. 
  • Clapp TR, Yang R, Stoick CL, Kinnamon SC, Kinnamon JC (2004). “"인지질분해효소 C 신호 전달 경로의 성분을 표현하는 쥐의 맛 수용체 세포의 형태적 특성화"”. 《J Comp Neurol468 (3): 311–321. doi:10.1002/cne.10963. PMID 14681927. 
  • Iwatsuki K, Ichikawa R, Hiasa M, Moriyama Y, Torii K, Uneyama H (2009). “"맛 세포에서 소포성 뉴클레오타이드 운반체(VNUT) 확인"”. 《Biochem Bhiphys Res Commun388 (1): 1–5. doi:10.1016/j.bbrc.2009.07.069. PMID 19619506. 

npr.org

umamiinfo.com

web.archive.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