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asuo T, Kusuhara Y, Yasumatsu K, Ninomiya Y (2008년 10월). “"글루타메이트를 감지하는 미각 기관의 다중 수용체 시스템"”. 《Biolog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31 (10): 1833–7. doi:10.1248/bpb.31.1833. PMID18827337.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Smriga M, Mizukoshi T, Iwata D, Sachise E, Miyano H, Kimura T, Curtis R (2010년 8월). “"이탈리아 폼페이의 '가룸 가게'에서 채취한 고대 젓갈(가룸)에서 아미노산과 미네랄 발견"”. 《Journal of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 23 (5): 442–446. doi:10.1016/j.jfca.2010.03.005.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Ikeda K (2002년 11월). “"새로운 조미료"”. 《Chemical Senses》 27 (9): 847–9. doi:10.1093/chemse/27.9.847. PMID12438213.(이케다 기쿠나에 Ikeda, Kikunae (1909). “의 일부 번역”. 《Journal of the Chemical Society of Tokyo》 30: 820–836.)
Yamaguchi S (1998). “"감칠맛의 기본 특성과 식품 향미에 미치는 영향"”. 《Food Reviews International》 14 (2&3): 139–176. doi:10.1080/87559129809541156.
Chaudhari N, Landin AM, Roper SD (2000). “"대사성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변이의 맛 수용체 기능"”. 《Nature Neuroscience》 3 (2): 113–119. doi:10.1038/72053. PMID10649565.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Nelson G; Chandrashekar J; Hoon MA; 외. (2002). “"아미노산 맛 수용체"”. 《Nature》 416 (6877): 199–202. doi:10.1038/nature726. PMID11894099.
San Gabriel A, Uneyama H, Yoshie S, Torii K (2005). “"L-글루타메이트 자극에 대한 수용체 기능을 하는 성곽유두에서 신종 mGluR1 변이의 복제 및 특성화".”. 《Chem Senses》. 30(부록):: i25–i26. doi:10.1093/chemse/bjh095. PMID15738140.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Perez CA, Huang L, Rong M, Kozak JA, Preuss AK, Zhang H, Max M, Margolskee RF (2002). “"맛 수용체 세포의 투명 수용체 잠재 통로 발현"”. 《Nat Neurosci》 5 (11): 1169–76. doi:10.1038/nn952. PMID12368808.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Zhang Y, Hoon MA, Chandrashekar J, Mueller KL, Cook B, Wu D, Zuker CS, Ryba NJ (2003). “"단맛, 쓴맛 및 감칠맛 부호화: 신호 전달 경로를 공유하는 서로 다른 수용체 세포"”. 《Cell》 112 (3): 293–301. doi:10.1016/S0092-8674(03)00071-0. PMID12581520.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Clapp TR, Yang R, Stoick CL, Kinnamon SC, Kinnamon JC (2004). “"인지질분해효소 C 신호 전달 경로의 성분을 표현하는 쥐의 맛 수용체 세포의 형태적 특성화"”. 《J Comp Neurol》 468 (3): 311–321. doi:10.1002/cne.10963. PMID14681927.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Iwatsuki K, Ichikawa R, Hiasa M, Moriyama Y, Torii K, Uneyama H (2009). “"맛 세포에서 소포성 뉴클레오타이드 운반체(VNUT) 확인"”. 《Biochem Bhiphys Res Commun》 388 (1): 1–5. doi:10.1016/j.bbrc.2009.07.069. PMID19619506.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Yasuo T, Kusuhara Y, Yasumatsu K, Ninomiya Y (2008년 10월). “"글루타메이트를 감지하는 미각 기관의 다중 수용체 시스템"”. 《Biolog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31 (10): 1833–7. doi:10.1248/bpb.31.1833. PMID18827337.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Ikeda K (2002년 11월). “"새로운 조미료"”. 《Chemical Senses》 27 (9): 847–9. doi:10.1093/chemse/27.9.847. PMID12438213.(이케다 기쿠나에 Ikeda, Kikunae (1909). “의 일부 번역”. 《Journal of the Chemical Society of Tokyo》 30: 820–836.)
Chaudhari N, Landin AM, Roper SD (2000). “"대사성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변이의 맛 수용체 기능"”. 《Nature Neuroscience》 3 (2): 113–119. doi:10.1038/72053. PMID10649565.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Nelson G; Chandrashekar J; Hoon MA; 외. (2002). “"아미노산 맛 수용체"”. 《Nature》 416 (6877): 199–202. doi:10.1038/nature726. PMID11894099.
San Gabriel A, Uneyama H, Yoshie S, Torii K (2005). “"L-글루타메이트 자극에 대한 수용체 기능을 하는 성곽유두에서 신종 mGluR1 변이의 복제 및 특성화".”. 《Chem Senses》. 30(부록):: i25–i26. doi:10.1093/chemse/bjh095. PMID15738140.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Perez CA, Huang L, Rong M, Kozak JA, Preuss AK, Zhang H, Max M, Margolskee RF (2002). “"맛 수용체 세포의 투명 수용체 잠재 통로 발현"”. 《Nat Neurosci》 5 (11): 1169–76. doi:10.1038/nn952. PMID12368808.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Zhang Y, Hoon MA, Chandrashekar J, Mueller KL, Cook B, Wu D, Zuker CS, Ryba NJ (2003). “"단맛, 쓴맛 및 감칠맛 부호화: 신호 전달 경로를 공유하는 서로 다른 수용체 세포"”. 《Cell》 112 (3): 293–301. doi:10.1016/S0092-8674(03)00071-0. PMID12581520.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Clapp TR, Yang R, Stoick CL, Kinnamon SC, Kinnamon JC (2004). “"인지질분해효소 C 신호 전달 경로의 성분을 표현하는 쥐의 맛 수용체 세포의 형태적 특성화"”. 《J Comp Neurol》 468 (3): 311–321. doi:10.1002/cne.10963. PMID14681927.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Iwatsuki K, Ichikawa R, Hiasa M, Moriyama Y, Torii K, Uneyama H (2009). “"맛 세포에서 소포성 뉴클레오타이드 운반체(VNUT) 확인"”. 《Biochem Bhiphys Res Commun》 388 (1): 1–5. doi:10.1016/j.bbrc.2009.07.069. PMID19619506.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