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화 (불교) (Korean Wikipedia)

Analysis of information sources in references of the Wikipedia article "교화 (불교)" in Korean language version.

refsWebsite
Global rank Korean rank
low place
low place
low place
260th place
low place
527th place
low place
3,452nd place
low place
3,410th place
low place
167th place
low place
low place

buddhism-dict.net

  • DDB, "功德". 2013년 4월 20일에 확인
    "功德:
    Pronunciations: [py] gōngdé [wg] kung-te [hg] 공덕 [mc] gongdeok [mr] kongdŏk [kk] クドク [hb] kudoku [qn] công đức
    Basic Meaning: merit(s)
    Senses:
    # A quality, a virtue; (Skt. guṇa; puṇya; Tib. bsod nams, Tib. yon tan). Blessedness, virtue, fortune, goodness. Excellent virtue, valuable quality; that which is accumulated according to one's good actions. Attribute. The opposite of a fault 過失. [Stephen Hodge, cmuller]
    # The causes of good destiny; virtuous roots. The necessary materials for attaining the Buddha's enlightenment. [Charles Muller]
    # Good actions, practices. [Charles Muller]
    # Great power. [Charles Muller]
    # Literally 'distinguished virtue' is translated as merit, which is acquired through virtuous deeds or the grace of the Buddha; 福德 literally 'felicitous or beneficial virtue' is translated as virtuous merit as it relates more to accumulated merit and its benefits than a quality of virtue; 利 literally 'benefits' is translated as such as it refers to the benefits acquired through accumulating merit and in this sutra is nearly synonymous with the usage of merit; 德 literally 'virtue' is translated as such since it is a quality acquired though virtuous or meritorious deeds. That being said, as can be seen, their meaning is highly similar, their usage inconsistent, and they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For more on the meaning in the Pure Land context, see Jōdoshū Daijiten v. 1 p. 344-5. [K.Mack]
    # Benefit, ānisaṃsa. Used to describe the benefits of states such as sati, kasiṇa, jhāna, upekkhā, buddhānussati, etc. T 1648.32.400c1, etc. [Nyanatusita]
    # A name for 弗若多羅 Puṇyatara, one of the twenty-four deva āryas 天尊 worshipped in China. (Skt. anuśaṃsa, aṅga, anuśaṃsana, anuśaṃsā, ānuśaṃsa, ānuśaṃsā, āveṇika-guṇa, *ugra, kuśala-mūla, guṇa-dharmatva, guṇa-pāramitā, guṇa-bhājana, guṇa-yukta, guṇa-ratna, guṇa-varṇa, guṇa-vibhāga, guṇa-vyūha, guṇa-samanvāgata, guṇâbhinna-lakṣaṇa, guṇôpeta, guṇya, dharma, puṇya-jñāna-saṃbhāra, puṇya-pāramitā, puṇyâbhisaṃskāra, bhāgya, maṇi-guṇa, māhātmya, lakṣmī, varṇa, vibhūti, vṛddhi, śirī, śrī, samudāgama, saṃbhāra, susīma, sva-guṇa) [Charles Muller; source(s): Soothill, Hirakawa]
    # Also in: CJKV-E
    [Compounds]
    功德主 功德五念門 功德位 功德使 功德利 功德利益 功德力 功德叢林 功德品 功德圓滿 功德增上 功德天 功德天女 功德寶 功德差別 功德成就 功德持慧 功德林 功德殊勝 功德水 功德池 功德無量 功德田 功德直 功德相應 功德福 功德聚 功德莊嚴 功德華 功德藏 功德衣 功德賢 功德遊 功德過失 一切功德 一切淨功德莊嚴 一切過患及與功德 一千二百功德 三寶功德 不共功德 五功德 五功德門 五十功德 五種功德 佛功德 佛無量功德 作功德 信爲道元功德母 修功德 修諸功德 修諸功德願 八功德 八功德水 八功德水湛然盈滿 八功德池 六根功德 具功德 具諸功德 具足功德 出世功德因 分別功德論 利他功德 勝功德 勝品功德 十事功德 十二佛名神呪校量功德除障滅罪經 十功德 千二百意功德 千二百耳功德 千二百舌功德 受持七佛名號所生功德經 可稱讚功德殊勝 和合衆僧功德聚 善根功德 大功德 大功德天 大辯功德天 大辯才功德天 如來功德 如來無量功德 小功德 我功德力 所得功德 支分功德 智慧功德 有爲功德 正行功德殊勝 殊勝功德 無上功德 無功德 無盡功德藏 無量功德 無量功德藏 眞實功德 種種事功德 稱讚功德殊勝 見勝功德 諸功德 讚功德 過失功德 隨喜功德 集一切功德 麤相功德
    [Dictionary References]
    Bukkyō jiten (Ui) 202
    Bulgyo sajeon 51a
    Bukkyō daijiten (Oda) 302-3
    Zengaku daijiten (Komazawa U.) 251b
    Iwanami bukkyō jiten 210
    Japanese-English Buddhist Dictionary (Daitō shuppansha) 184b/205
    Japanese-English Zen Buddhist Dictionary (Yokoi) 418
    Bukkyōgo daijiten (Nakamura) 260c
    Fo Guang Dictionary 1566
    Ding Fubao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Hirakawa) 0199
    Bukkyō daijiten (Mochizuki) (v.1-6)689c
    Sanskrit-Tibetan Index for the Yogâcārabhūmi-śāstra (Yokoyama and Hirosawa)
    (Soothill's)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167"

buddhistdoor.com

dictionary.buddhistdoor.com

  • 佛門網, "教化". 2013년 4월 19일에 확인
    "教化: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o transform by instruction; teach and convert; to cause another to give alms.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教訓勸化。"

cbeta.org

  • 혜원 찬 & T.1851, 제20권. p. T44n1851_p0863b07 - T44n1851_p0863b12. 10호(十號)
    "其十號者。是佛如來名稱功德。名有通別。釋迦彌勒阿[門@(人/(人*人))]佛等是其別也。如來等十是其通也。應相須分故立別名。實德須顯故立通稱。實德無量。依德施名名亦無邊。今據一數且論十種。所謂如來應供正遍知明行足善逝世間解無上士調御丈夫天人師佛世尊。"
  • 혜원 찬 & T.1851, 제20권. p. T44n1851_p0863b15 - T44n1851_p0863b17. 10호(十號)의 자리(自利)·이타(利他) 구분
    "十中前五是自利德。後五利他。就自利中分為兩對。初二一對。前明道圓。後彰滅極。後三一對。前二因圓。後一果極。"
  • 혜원 찬 & T.1851, 제20권. p. T44n1851_p0864b04 - T44n1851_p0864b08. 10호(十號)의 자리(自利)·이타(利他) 구분
    "前五自德。後五化德。於中前四德能化物。後之一種為世欽敬。就前四中。初一明其化他之智。解了世間。第二明其化他之能。能調物心。第三明其化他之德。師德具足。第四明其化他之行。覺行窮滿。"
  • 혜원 찬 & T.1851, 제20권. pp. T44n1851_p0863b07 - T44n1851_p0864b08. 10호(十號)와 그 의미
    "其十號者。是佛如來名稱功德。名有通別。釋迦彌勒阿[門@(人/(人*人))]佛等是其別也。如來等十是其通也。應相須分故立別名。實德須顯故立通稱。實德無量。依德施名名亦無邊。今據一數且論十種。所謂如來應供正遍知明行足善逝世間解無上士調御丈夫天人師佛世尊。此十經中說之為號。或云名稱。通釋義齊。隨相分別。顯體為名。標德云稱。名稱外彰。號令天下。說之為號。十中前五是自利德。後五利他。就自利中分為兩對。初二一對。前明道圓。後彰滅極。後三一對。前二因圓。後一果極。 ... 前五自德。後五化德。於中前四德能化物。後之一種為世欽敬。就前四中。初一明其化他之智。解了世間。第二明其化他之能。能調物心。第三明其化他之德。師德具足。第四明其化他之行。覺行窮滿。"
  •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4권. p. T29n1558_p0021a03 - T29n1558_p0021a09. 무참(無慚)
    "今次當說於前所辯諸心所中少分差別。無慚無愧愛之與敬差別云何。頌曰。
     無慚愧不重 於罪不見怖
     愛敬謂信慚 唯於欲色有
    論曰。此中無慚無愧別者於諸功德及有德者。無敬無崇無所忌難無所隨屬說名無慚。"

dongguk.ac.kr

ebti.dongguk.ac.kr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80 / 1397. 무참(無慚)
    "이제 다음으로 마땅히 앞에서 분별한 온갖 심소법 가운데 약간의 차별에 대해 논설해 보아야 할 것이다.
    무참(無慚)과 무괴(無愧), 애(愛)와 경(敬)의 차별은 어떠한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무참과 무괴는 존중하지 않는 것이고
     죄를 두렵게 여기지 않는 것이며,
     '애'와 '경'이란 말하자면 신(信)과 참(慚)으로서
     오로지 욕계와 색계에만 있을 뿐이다.
     無慚愧不重 於罪不見怖
     愛敬謂信慚 唯於欲色有
    논하여 말하겠다. 무참과 무괴의 차별은 이러하다. 온갖 공덕(戒·定·慧의 삼학을 말함)과 공덕 있는 자(즉 스승)에 대해 공경하는 일이 없고, 숭배하는 일이 없으며, 어렵게 여겨 꺼리는 일[忌難]도 없을 뿐더러, 따라 속하는 일[隨屬], 즉 제자로서의 예의도 없는 것을 일컬어 무참이라고 한다. 즉 이는 바로 공경에 적대되는 법이다.68)
    68) 그러나 무참은 공경이 결여된 상태는 아니며, 개별적 존재[別體]로서 공경과 대응하는 법이다. 무명(無明)과 명(明)의 관계 역시 이러하다.(본론 「세간품」 권제10 참조.)"

dongguk.edu

buddha.dongguk.edu

  • 운허, "敎化(교화)". 2013년 4월 19일에 확인
    "敎化(교화): 교도전화(敎導轉化)의 뜻. 사람을 가르쳐 범부를 성인이 되게 하고, 의심하는 이를 믿게 하고, 그릇된 이를 바른 길로 돌아가게 하는 것."
  • 운허, "功德(공덕)". 2013년 4월 20일에 확인
    "功德(공덕): 범어 구나(求那, gua)의 번역. 또는 구낭(懼囊)ㆍ우낭(麌囊)이라고도 씀. 좋은 일을 쌓은 공과 불도를 수행한 덕을 말함. 공덕을 해석하는 데 여러 가지 말이 있음. (1) 복덕과 같은 뜻으로, 복은 복리, 선(善)을 수행하는 이를 도와 복되게 하므로 복이라 하며, 복의 덕이므로 복덕이라 함. (2) 공(功)을 공능(功能)이라 해석. 선(善)을 수행하는 이를 도와 이롭게 하므로 공이라 하고, 공의 덕이란 뜻으로 공덕이라 함. (3) 공을 베푸는 것을 공이라 하고, 자기에게 돌아옴을 덕이라 함. (4) 악(惡)이 다함을 공, 선이 가득 차는 것을 덕이라 함. (5) 덕은 얻었다[得]는 것이니, 공을 닦은 뒤에 얻는 것이므로 공덕이라 함."
  • 운허, "佛陀(불타)". 2013년 4월 20일에 확인
    "佛陀(불타): 【범】 Buddha 부도(浮圖ㆍ浮屠)ㆍ부타(浮陀ㆍ部陀)ㆍ부두(浮頭)ㆍ발타(勃馱)ㆍ모타(母馱)ㆍ몰타(沒馱)라고도 음역. 각자(覺者)라 번역. 불(佛)이라 약칭. 미망(迷妄)을 여의고 스스로 모든 법의 진리를 깨닫고, 또 다른 중생을 교도하여 깨닫게 하는 자각(自覺)ㆍ각타(覺他)의 2행(行)을 원만히 성취한 이. 이 말은 처음 보리수나무 아래서 성도한 석존에 대한 칭호로 쓴 것. 불타는 석존뿐이었으나, 뒤에 불교의 교리가 발달함에 따라 과거ㆍ현재ㆍ미래의 모든 부처님이 있게 되고, 10방(方)의 모든 부처님으로 발전하여 드디어 그 수가 한량없게 되었고, 이것이 처음은 역사적 인물이던 것이 점점 이상화(理想化)되어 유형 무형 온갖 방면으로도 원만한 인격적 존재가 됨. ⇒불(佛)"

fgs.org.tw

etext.fgs.org.tw

  • 星雲, "教化". 2013년 4월 19일에 확인
    "教化:   (一)梵語 pari-pac。教,以善法教導他人;化,令遠離惡法。為教導感化之意,即說法引導眾生而令其受感化。如經上所言,轉無上法輪教化諸菩薩;教化安立無數眾生,令住無上正真之道。凡此皆屬轉惡為善、轉凡化聖之教化。與「開化」、「攝化」、「施化」、「勸化」等詞同義。〔長阿含卷一大本經、增一阿含經卷一、法華經卷四〕
     (二)日本佛教用語。在佛前舉行法會之際,所唱誦之一種讚歌。 p4596"
  • 星雲, "功德". 2013년 4월 20일에 확인
    "功德:  梵語 guna。音譯作懼曩、麌曩、求那。意指功能福德。亦謂行善所獲之果報。景德傳燈錄卷三有如下記載,梁武帝問於菩提達磨(大五一‧二一九上):「朕即位已來,造寺、寫經、度僧不可勝紀,有何功德?」師曰:「並無功德。」蓋此僅為人天小果有漏之因,雖有非實。所謂真功德,乃淨智妙圓、體自空寂,不求於世。往生論註卷上亦詳論虛偽、真實之二種功德。大乘義章卷九(大四四‧六四九下):「言功德,功謂功能,善有資潤福利之功,故名為功;此功是其善行家德,名為功德。」勝鬘寶窟卷上本(大三七‧一一中):「惡盡曰功,善滿稱德。又德者,得也;修功所得,故名功德也。」又功德之深廣喻為海,稱功德海(梵 guna-sāgara),其貴重如寶而謂功德寶(梵 guna-ratna),其他尚有功德藏、功德聚、功德莊嚴、功德林等多種名稱。〔維摩義記卷一(慧遠)、仁王般若經疏卷上一(吉藏)〕(參閱「利益」2809) p1566"

wikipedia.org

en.wikipedia.org

  • 佛門網, "教化". 2013년 4월 19일에 확인
    "教化: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o transform by instruction; teach and convert; to cause another to give alms.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教訓勸化。"
  • 운허, "敎化(교화)". 2013년 4월 19일에 확인
    "敎化(교화): 교도전화(敎導轉化)의 뜻. 사람을 가르쳐 범부를 성인이 되게 하고, 의심하는 이를 믿게 하고, 그릇된 이를 바른 길로 돌아가게 하는 것."
  • 星雲, "教化". 2013년 4월 19일에 확인
    "教化:   (一)梵語 pari-pac。教,以善法教導他人;化,令遠離惡法。為教導感化之意,即說法引導眾生而令其受感化。如經上所言,轉無上法輪教化諸菩薩;教化安立無數眾生,令住無上正真之道。凡此皆屬轉惡為善、轉凡化聖之教化。與「開化」、「攝化」、「施化」、「勸化」等詞同義。〔長阿含卷一大本經、增一阿含經卷一、法華經卷四〕
     (二)日本佛教用語。在佛前舉行法會之際,所唱誦之一種讚歌。 p4596"
  • 혜원 찬 & T.1851, 제20권. p. T44n1851_p0863b07 - T44n1851_p0863b12. 10호(十號)
    "其十號者。是佛如來名稱功德。名有通別。釋迦彌勒阿[門@(人/(人*人))]佛等是其別也。如來等十是其通也。應相須分故立別名。實德須顯故立通稱。實德無量。依德施名名亦無邊。今據一數且論十種。所謂如來應供正遍知明行足善逝世間解無上士調御丈夫天人師佛世尊。"
  • 혜원 찬 & T.1851, 제20권. p. T44n1851_p0863b15 - T44n1851_p0863b17. 10호(十號)의 자리(自利)·이타(利他) 구분
    "十中前五是自利德。後五利他。就自利中分為兩對。初二一對。前明道圓。後彰滅極。後三一對。前二因圓。後一果極。"
  • 혜원 찬 & T.1851, 제20권. p. T44n1851_p0864b04 - T44n1851_p0864b08. 10호(十號)의 자리(自利)·이타(利他) 구분
    "前五自德。後五化德。於中前四德能化物。後之一種為世欽敬。就前四中。初一明其化他之智。解了世間。第二明其化他之能。能調物心。第三明其化他之德。師德具足。第四明其化他之行。覺行窮滿。"
  • 혜원 찬 & T.1851, 제20권. pp. T44n1851_p0863b07 - T44n1851_p0864b08. 10호(十號)와 그 의미
    "其十號者。是佛如來名稱功德。名有通別。釋迦彌勒阿[門@(人/(人*人))]佛等是其別也。如來等十是其通也。應相須分故立別名。實德須顯故立通稱。實德無量。依德施名名亦無邊。今據一數且論十種。所謂如來應供正遍知明行足善逝世間解無上士調御丈夫天人師佛世尊。此十經中說之為號。或云名稱。通釋義齊。隨相分別。顯體為名。標德云稱。名稱外彰。號令天下。說之為號。十中前五是自利德。後五利他。就自利中分為兩對。初二一對。前明道圓。後彰滅極。後三一對。前二因圓。後一果極。 ... 前五自德。後五化德。於中前四德能化物。後之一種為世欽敬。就前四中。初一明其化他之智。解了世間。第二明其化他之能。能調物心。第三明其化他之德。師德具足。第四明其化他之行。覺行窮滿。"
  •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4권. p. T29n1558_p0021a03 - T29n1558_p0021a09. 무참(無慚)
    "今次當說於前所辯諸心所中少分差別。無慚無愧愛之與敬差別云何。頌曰。
     無慚愧不重 於罪不見怖
     愛敬謂信慚 唯於欲色有
    論曰。此中無慚無愧別者於諸功德及有德者。無敬無崇無所忌難無所隨屬說名無慚。"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80 / 1397. 무참(無慚)
    "이제 다음으로 마땅히 앞에서 분별한 온갖 심소법 가운데 약간의 차별에 대해 논설해 보아야 할 것이다.
    무참(無慚)과 무괴(無愧), 애(愛)와 경(敬)의 차별은 어떠한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무참과 무괴는 존중하지 않는 것이고
     죄를 두렵게 여기지 않는 것이며,
     '애'와 '경'이란 말하자면 신(信)과 참(慚)으로서
     오로지 욕계와 색계에만 있을 뿐이다.
     無慚愧不重 於罪不見怖
     愛敬謂信慚 唯於欲色有
    논하여 말하겠다. 무참과 무괴의 차별은 이러하다. 온갖 공덕(戒·定·慧의 삼학을 말함)과 공덕 있는 자(즉 스승)에 대해 공경하는 일이 없고, 숭배하는 일이 없으며, 어렵게 여겨 꺼리는 일[忌難]도 없을 뿐더러, 따라 속하는 일[隨屬], 즉 제자로서의 예의도 없는 것을 일컬어 무참이라고 한다. 즉 이는 바로 공경에 적대되는 법이다.68)
    68) 그러나 무참은 공경이 결여된 상태는 아니며, 개별적 존재[別體]로서 공경과 대응하는 법이다. 무명(無明)과 명(明)의 관계 역시 이러하다.(본론 「세간품」 권제10 참조.)"
  • DDB, "功德". 2013년 4월 20일에 확인
    "功德:
    Pronunciations: [py] gōngdé [wg] kung-te [hg] 공덕 [mc] gongdeok [mr] kongdŏk [kk] クドク [hb] kudoku [qn] công đức
    Basic Meaning: merit(s)
    Senses:
    # A quality, a virtue; (Skt. guṇa; puṇya; Tib. bsod nams, Tib. yon tan). Blessedness, virtue, fortune, goodness. Excellent virtue, valuable quality; that which is accumulated according to one's good actions. Attribute. The opposite of a fault 過失. [Stephen Hodge, cmuller]
    # The causes of good destiny; virtuous roots. The necessary materials for attaining the Buddha's enlightenment. [Charles Muller]
    # Good actions, practices. [Charles Muller]
    # Great power. [Charles Muller]
    # Literally 'distinguished virtue' is translated as merit, which is acquired through virtuous deeds or the grace of the Buddha; 福德 literally 'felicitous or beneficial virtue' is translated as virtuous merit as it relates more to accumulated merit and its benefits than a quality of virtue; 利 literally 'benefits' is translated as such as it refers to the benefits acquired through accumulating merit and in this sutra is nearly synonymous with the usage of merit; 德 literally 'virtue' is translated as such since it is a quality acquired though virtuous or meritorious deeds. That being said, as can be seen, their meaning is highly similar, their usage inconsistent, and they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For more on the meaning in the Pure Land context, see Jōdoshū Daijiten v. 1 p. 344-5. [K.Mack]
    # Benefit, ānisaṃsa. Used to describe the benefits of states such as sati, kasiṇa, jhāna, upekkhā, buddhānussati, etc. T 1648.32.400c1, etc. [Nyanatusita]
    # A name for 弗若多羅 Puṇyatara, one of the twenty-four deva āryas 天尊 worshipped in China. (Skt. anuśaṃsa, aṅga, anuśaṃsana, anuśaṃsā, ānuśaṃsa, ānuśaṃsā, āveṇika-guṇa, *ugra, kuśala-mūla, guṇa-dharmatva, guṇa-pāramitā, guṇa-bhājana, guṇa-yukta, guṇa-ratna, guṇa-varṇa, guṇa-vibhāga, guṇa-vyūha, guṇa-samanvāgata, guṇâbhinna-lakṣaṇa, guṇôpeta, guṇya, dharma, puṇya-jñāna-saṃbhāra, puṇya-pāramitā, puṇyâbhisaṃskāra, bhāgya, maṇi-guṇa, māhātmya, lakṣmī, varṇa, vibhūti, vṛddhi, śirī, śrī, samudāgama, saṃbhāra, susīma, sva-guṇa) [Charles Muller; source(s): Soothill, Hirakawa]
    # Also in: CJKV-E
    [Compounds]
    功德主 功德五念門 功德位 功德使 功德利 功德利益 功德力 功德叢林 功德品 功德圓滿 功德增上 功德天 功德天女 功德寶 功德差別 功德成就 功德持慧 功德林 功德殊勝 功德水 功德池 功德無量 功德田 功德直 功德相應 功德福 功德聚 功德莊嚴 功德華 功德藏 功德衣 功德賢 功德遊 功德過失 一切功德 一切淨功德莊嚴 一切過患及與功德 一千二百功德 三寶功德 不共功德 五功德 五功德門 五十功德 五種功德 佛功德 佛無量功德 作功德 信爲道元功德母 修功德 修諸功德 修諸功德願 八功德 八功德水 八功德水湛然盈滿 八功德池 六根功德 具功德 具諸功德 具足功德 出世功德因 分別功德論 利他功德 勝功德 勝品功德 十事功德 十二佛名神呪校量功德除障滅罪經 十功德 千二百意功德 千二百耳功德 千二百舌功德 受持七佛名號所生功德經 可稱讚功德殊勝 和合衆僧功德聚 善根功德 大功德 大功德天 大辯功德天 大辯才功德天 如來功德 如來無量功德 小功德 我功德力 所得功德 支分功德 智慧功德 有爲功德 正行功德殊勝 殊勝功德 無上功德 無功德 無盡功德藏 無量功德 無量功德藏 眞實功德 種種事功德 稱讚功德殊勝 見勝功德 諸功德 讚功德 過失功德 隨喜功德 集一切功德 麤相功德
    [Dictionary References]
    Bukkyō jiten (Ui) 202
    Bulgyo sajeon 51a
    Bukkyō daijiten (Oda) 302-3
    Zengaku daijiten (Komazawa U.) 251b
    Iwanami bukkyō jiten 210
    Japanese-English Buddhist Dictionary (Daitō shuppansha) 184b/205
    Japanese-English Zen Buddhist Dictionary (Yokoi) 418
    Bukkyōgo daijiten (Nakamura) 260c
    Fo Guang Dictionary 1566
    Ding Fubao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Hirakawa) 0199
    Bukkyō daijiten (Mochizuki) (v.1-6)689c
    Sanskrit-Tibetan Index for the Yogâcārabhūmi-śāstra (Yokoyama and Hirosawa)
    (Soothill's)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167"
  • 운허, "功德(공덕)". 2013년 4월 20일에 확인
    "功德(공덕): 범어 구나(求那, gua)의 번역. 또는 구낭(懼囊)ㆍ우낭(麌囊)이라고도 씀. 좋은 일을 쌓은 공과 불도를 수행한 덕을 말함. 공덕을 해석하는 데 여러 가지 말이 있음. (1) 복덕과 같은 뜻으로, 복은 복리, 선(善)을 수행하는 이를 도와 복되게 하므로 복이라 하며, 복의 덕이므로 복덕이라 함. (2) 공(功)을 공능(功能)이라 해석. 선(善)을 수행하는 이를 도와 이롭게 하므로 공이라 하고, 공의 덕이란 뜻으로 공덕이라 함. (3) 공을 베푸는 것을 공이라 하고, 자기에게 돌아옴을 덕이라 함. (4) 악(惡)이 다함을 공, 선이 가득 차는 것을 덕이라 함. (5) 덕은 얻었다[得]는 것이니, 공을 닦은 뒤에 얻는 것이므로 공덕이라 함."
  • 운허, "佛陀(불타)". 2013년 4월 20일에 확인
    "佛陀(불타): 【범】 Buddha 부도(浮圖ㆍ浮屠)ㆍ부타(浮陀ㆍ部陀)ㆍ부두(浮頭)ㆍ발타(勃馱)ㆍ모타(母馱)ㆍ몰타(沒馱)라고도 음역. 각자(覺者)라 번역. 불(佛)이라 약칭. 미망(迷妄)을 여의고 스스로 모든 법의 진리를 깨닫고, 또 다른 중생을 교도하여 깨닫게 하는 자각(自覺)ㆍ각타(覺他)의 2행(行)을 원만히 성취한 이. 이 말은 처음 보리수나무 아래서 성도한 석존에 대한 칭호로 쓴 것. 불타는 석존뿐이었으나, 뒤에 불교의 교리가 발달함에 따라 과거ㆍ현재ㆍ미래의 모든 부처님이 있게 되고, 10방(方)의 모든 부처님으로 발전하여 드디어 그 수가 한량없게 되었고, 이것이 처음은 역사적 인물이던 것이 점점 이상화(理想化)되어 유형 무형 온갖 방면으로도 원만한 인격적 존재가 됨. ⇒불(佛)"
  • 星雲, "功德". 2013년 4월 20일에 확인
    "功德:  梵語 guna。音譯作懼曩、麌曩、求那。意指功能福德。亦謂行善所獲之果報。景德傳燈錄卷三有如下記載,梁武帝問於菩提達磨(大五一‧二一九上):「朕即位已來,造寺、寫經、度僧不可勝紀,有何功德?」師曰:「並無功德。」蓋此僅為人天小果有漏之因,雖有非實。所謂真功德,乃淨智妙圓、體自空寂,不求於世。往生論註卷上亦詳論虛偽、真實之二種功德。大乘義章卷九(大四四‧六四九下):「言功德,功謂功能,善有資潤福利之功,故名為功;此功是其善行家德,名為功德。」勝鬘寶窟卷上本(大三七‧一一中):「惡盡曰功,善滿稱德。又德者,得也;修功所得,故名功德也。」又功德之深廣喻為海,稱功德海(梵 guna-sāgara),其貴重如寶而謂功德寶(梵 guna-ratna),其他尚有功德藏、功德聚、功德莊嚴、功德林等多種名稱。〔維摩義記卷一(慧遠)、仁王般若經疏卷上一(吉藏)〕(參閱「利益」2809) p1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