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목록에 포함된 국가의 이름은 한국어로 표시되며, 짧은 공식 한국어 명칭 (예: 아프가니스탄)과 (긴) 공식 한국어 명칭 (예: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나라의 (법률상, 또는 사실상의) 공용어로 된 동일한 명칭도 포함하고 있다. 공용어 명칭의 주요 출처는 독일 외교부 와 CIA World Fact Book보관됨 2018-12-25 - 웨이백 머신 (2007년 8월 14일 확인)이다. 필요에 따라서 명칭을 한글 표기로 바꾸었으나, 본래의 문자 표기 (키릴 문자나 한자)도 함께 싣고 있다. 로마자 표기를 선호하는 나라의 경우에는 이를 한글 표기와 함께 실었다. 지도와 명칭, 공용어, 한글 표기에 대한 출처는 각 국가 문서이다. 다른 출처가 사용되었을 경우에는 그 출처를 주석으로 달았다. 나라별 국기는 국기 목록에서 자세히 볼 수 있다.
이 목록에 포함된 국가의 이름은 한국어로 표시되며, 짧은 공식 한국어 명칭 (예: 아프가니스탄)과 (긴) 공식 한국어 명칭 (예: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나라의 (법률상, 또는 사실상의) 공용어로 된 동일한 명칭도 포함하고 있다. 공용어 명칭의 주요 출처는 독일 외교부 와 CIA World Fact Book보관됨 2018-12-25 - 웨이백 머신 (2007년 8월 14일 확인)이다. 필요에 따라서 명칭을 한글 표기로 바꾸었으나, 본래의 문자 표기 (키릴 문자나 한자)도 함께 싣고 있다. 로마자 표기를 선호하는 나라의 경우에는 이를 한글 표기와 함께 실었다. 지도와 명칭, 공용어, 한글 표기에 대한 출처는 각 국가 문서이다. 다른 출처가 사용되었을 경우에는 그 출처를 주석으로 달았다. 나라별 국기는 국기 목록에서 자세히 볼 수 있다.
예: 독일 연방 공화국은 쿡 제도와 외교 관계를 맺었다. 출처: 독일 외무부, 2007년 8월 14일 확인. 자세한 정보는 쿡 제도의 외교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목록에 포함된 국가의 이름은 한국어로 표시되며, 짧은 공식 한국어 명칭 (예: 아프가니스탄)과 (긴) 공식 한국어 명칭 (예: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나라의 (법률상, 또는 사실상의) 공용어로 된 동일한 명칭도 포함하고 있다. 공용어 명칭의 주요 출처는 독일 외교부 와 CIA World Fact Book보관됨 2018-12-25 - 웨이백 머신 (2007년 8월 14일 확인)이다. 필요에 따라서 명칭을 한글 표기로 바꾸었으나, 본래의 문자 표기 (키릴 문자나 한자)도 함께 싣고 있다. 로마자 표기를 선호하는 나라의 경우에는 이를 한글 표기와 함께 실었다. 지도와 명칭, 공용어, 한글 표기에 대한 출처는 각 국가 문서이다. 다른 출처가 사용되었을 경우에는 그 출처를 주석으로 달았다. 나라별 국기는 국기 목록에서 자세히 볼 수 있다.
이 목록에 포함된 국가의 이름은 한국어로 표시되며, 짧은 공식 한국어 명칭 (예: 아프가니스탄)과 (긴) 공식 한국어 명칭 (예: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나라의 (법률상, 또는 사실상의) 공용어로 된 동일한 명칭도 포함하고 있다. 공용어 명칭의 주요 출처는 독일 외교부 와 CIA World Fact Book보관됨 2018-12-25 - 웨이백 머신 (2007년 8월 14일 확인)이다. 필요에 따라서 명칭을 한글 표기로 바꾸었으나, 본래의 문자 표기 (키릴 문자나 한자)도 함께 싣고 있다. 로마자 표기를 선호하는 나라의 경우에는 이를 한글 표기와 함께 실었다. 지도와 명칭, 공용어, 한글 표기에 대한 출처는 각 국가 문서이다. 다른 출처가 사용되었을 경우에는 그 출처를 주석으로 달았다. 나라별 국기는 국기 목록에서 자세히 볼 수 있다.
긴 공식 영어 명칭의 비공식 직역일 뿐, 공식 한국어 명칭으로는 짧은 형태인 '영국'만이 쓰인다. 대한민국과 정식 외교 관계를 맺은 국가 중 원어로 긴 공식 명칭이 있음에도 한국어로는 긴 공식 명칭을 쓰지 않는 국가는 영국이 유일하다. 여기보관됨 2016-08-20 - 웨이백 머신에서 영국과 기타 국가들을 비교해볼 것.
nzherald.co.nz
토켈라우는 국민 투표를 통해 속령 국가로 남았다. 출처: 뉴질랜드 해롤드, 2008년 8월 8일 확인.
이 목록에 포함된 국가의 이름은 한국어로 표시되며, 짧은 공식 한국어 명칭 (예: 아프가니스탄)과 (긴) 공식 한국어 명칭 (예: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나라의 (법률상, 또는 사실상의) 공용어로 된 동일한 명칭도 포함하고 있다. 공용어 명칭의 주요 출처는 독일 외교부 와 CIA World Fact Book보관됨 2018-12-25 - 웨이백 머신 (2007년 8월 14일 확인)이다. 필요에 따라서 명칭을 한글 표기로 바꾸었으나, 본래의 문자 표기 (키릴 문자나 한자)도 함께 싣고 있다. 로마자 표기를 선호하는 나라의 경우에는 이를 한글 표기와 함께 실었다. 지도와 명칭, 공용어, 한글 표기에 대한 출처는 각 국가 문서이다. 다른 출처가 사용되었을 경우에는 그 출처를 주석으로 달았다. 나라별 국기는 국기 목록에서 자세히 볼 수 있다.
이 목록에 포함된 국가의 이름은 한국어로 표시되며, 짧은 공식 한국어 명칭 (예: 아프가니스탄)과 (긴) 공식 한국어 명칭 (예: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나라의 (법률상, 또는 사실상의) 공용어로 된 동일한 명칭도 포함하고 있다. 공용어 명칭의 주요 출처는 독일 외교부 와 CIA World Fact Book보관됨 2018-12-25 - 웨이백 머신 (2007년 8월 14일 확인)이다. 필요에 따라서 명칭을 한글 표기로 바꾸었으나, 본래의 문자 표기 (키릴 문자나 한자)도 함께 싣고 있다. 로마자 표기를 선호하는 나라의 경우에는 이를 한글 표기와 함께 실었다. 지도와 명칭, 공용어, 한글 표기에 대한 출처는 각 국가 문서이다. 다른 출처가 사용되었을 경우에는 그 출처를 주석으로 달았다. 나라별 국기는 국기 목록에서 자세히 볼 수 있다.
긴 공식 영어 명칭의 비공식 직역일 뿐, 공식 한국어 명칭으로는 짧은 형태인 '영국'만이 쓰인다. 대한민국과 정식 외교 관계를 맺은 국가 중 원어로 긴 공식 명칭이 있음에도 한국어로는 긴 공식 명칭을 쓰지 않는 국가는 영국이 유일하다. 여기보관됨 2016-08-20 - 웨이백 머신에서 영국과 기타 국가들을 비교해볼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