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마음작용) (Korean Wikipedia)

Analysis of information sources in references of the Wikipedia article "뇌 (마음작용)" in Korean language version.

refsWebsite
Global rank Korean rank
low place
low place
46th place
2nd place
low place
260th place
low place
167th place
low place
3,452nd place
low place
527th place

cbeta.org

dongguk.ac.kr

ebti.dongguk.ac.kr

  •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3권. p. 47 / 463. 뇌(惱,)
    "뇌(惱)는 무엇인가? 마음이 맞지 않아 번민하면서 이미 괴로워했고 지금 막 괴로워하고 앞으로 괴로워 할 것[惱]이다."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21권. p. 956 / 1397. 뇌(惱)
    "'뇌'란 이를테면 온갖 나쁜 일[罪事]에 대해 견고히 집착하는 것을 말하니, 이것으로 말미암아 참다운 충고[諫]도 받아들이지 않고 회개하지도 않는다."

dongguk.edu

buddha.dongguk.edu

  • 운허, "惱(뇌)". 2012년 10월 9일에 확인
    "惱(뇌): 【범】 pradāśa 심소(心所)의 이름. (1) 구사종(俱舍宗)에서는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의 하나. 죄악을 범하고, 그것이 나쁜 일인 줄 알면서도 집착하여, 다른 이가 타일러도 고치지 못하고 스스로 번민하는 것. (2) 유식종(唯識宗)에서는 20수번뇌(隨煩惱)의 하나. 과거에 분하게 여기던 것을 돌이켜 생각하거나, 현재의 사물이 자기 마음에 맞지 아니하여 괴로워하는 정신작용."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683B1rowno6 惱(뇌)]". 2012년 10월 9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fgs.org.tw

etext.fgs.org.tw

  • 星雲, "". 2012년 10월 9일에 확인
    "惱:  梵語 pradāśa。音譯作波羅陀舍。心所名。為俱舍七十五法之一,唯識百法之一。與愁、悲、苦、憂等,皆表迷界苦之現象。依俱舍宗之解釋,所謂惱,即雖自知其罪過,猶不聽他人勸誨,一味使心神懊惱煩悶;俱舍宗視為小煩惱法之一,六垢之一,為拘繫於欲界之法,於修道位斷之;與五受中之憂根相應,又為見取見之等流,立有別體。唯識宗則解釋為起瞋怒之心,追想過去之行事或現在不悅之事物,而心中懊惱之精神作用;以其為二十隨煩惱之一,因離瞋之外,別無惱之作用,故屬於瞋之一部分;與捨根相應。〔大毘婆沙論卷四十二、俱舍論卷二十一、成唯識論卷六、成實論卷十瞋恚品、雜阿毘曇心論卷四、入阿毘達磨論卷上、瑜伽師地論卷五十五、顯揚聖教論卷一、大乘廣五蘊論、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一〕 p4956"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6570DTITLEB4o 惱]". 2012년 10월 9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hanja.naver.com

  • "悔改", 《네이버 한자사전》. 2012년 10월 10일에 확인.
  • "瞋怒", 《네이버 한자사전》. 2012년 10월 10일에 확인.

krdic.naver.com

  • "번민(煩悶)",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0월 10일에 확인.

wikipedia.org

en.wikipedia.org

  • 星雲, "". 2012년 10월 9일에 확인
    "惱:  梵語 pradāśa。音譯作波羅陀舍。心所名。為俱舍七十五法之一,唯識百法之一。與愁、悲、苦、憂等,皆表迷界苦之現象。依俱舍宗之解釋,所謂惱,即雖自知其罪過,猶不聽他人勸誨,一味使心神懊惱煩悶;俱舍宗視為小煩惱法之一,六垢之一,為拘繫於欲界之法,於修道位斷之;與五受中之憂根相應,又為見取見之等流,立有別體。唯識宗則解釋為起瞋怒之心,追想過去之行事或現在不悅之事物,而心中懊惱之精神作用;以其為二十隨煩惱之一,因離瞋之外,別無惱之作用,故屬於瞋之一部分;與捨根相應。〔大毘婆沙論卷四十二、俱舍論卷二十一、成唯識論卷六、成實論卷十瞋恚品、雜阿毘曇心論卷四、入阿毘達磨論卷上、瑜伽師地論卷五十五、顯揚聖教論卷一、大乘廣五蘊論、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一〕 p4956"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6570DTITLEB4o 惱]". 2012년 10월 9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운허, "惱(뇌)". 2012년 10월 9일에 확인
    "惱(뇌): 【범】 pradāśa 심소(心所)의 이름. (1) 구사종(俱舍宗)에서는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의 하나. 죄악을 범하고, 그것이 나쁜 일인 줄 알면서도 집착하여, 다른 이가 타일러도 고치지 못하고 스스로 번민하는 것. (2) 유식종(唯識宗)에서는 20수번뇌(隨煩惱)의 하나. 과거에 분하게 여기던 것을 돌이켜 생각하거나, 현재의 사물이 자기 마음에 맞지 아니하여 괴로워하는 정신작용."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683B1rowno6 惱(뇌)]". 2012년 10월 9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3권. p. T26n1542_p0700b13 - T26n1542_p0700b14. 뇌(惱,)
    "惱云何。謂心佷悷。已正當惱。是名為惱。"
  •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3권. p. 47 / 463. 뇌(惱,)
    "뇌(惱)는 무엇인가? 마음이 맞지 않아 번민하면서 이미 괴로워했고 지금 막 괴로워하고 앞으로 괴로워 할 것[惱]이다."
  • 권오민 2003, 69–81쪽.
  •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21권. p. T29n1558_p0109c09 - T29n1558_p0109c10. 뇌(惱)
    "惱謂堅執諸有罪事。由此不取如理諫悔。"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21권. p. 956 / 1397. 뇌(惱)
    "'뇌'란 이를테면 온갖 나쁜 일[罪事]에 대해 견고히 집착하는 것을 말하니, 이것으로 말미암아 참다운 충고[諫]도 받아들이지 않고 회개하지도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