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information sources in references of the Wikipedia article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 in Korean language version.
Fiji is to open a new embassy in South Korea next year, sending an ambassador from Suva to Seoul. The new embassy is expected to open in the first half of 2012 to foster trade and investment between Korea and the archipelago about 2,000 km northeast of New Zealand.
The Republic of Korea established the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the Republic of the Fiji islands on the 30th of January 1971, right after Fiji's independence, and confirming Korea's recognition of Fiji as a sovereign state on the 11th of October 1970.
한해동안 우리나라와 국교를 수립한 나라만해도 中國을 비롯, 베트남 남아共 탄자니아 등 무려 18개국에 달해 총수교국數가 1백70개국으로 늘어났고 정상회담이 12회, 외무장관회담이 41회에 이르는 등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한 외교를 벌였다. 특히 수교국수가 크게 늘어난 것은 舊蘇聯에서 독립한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벨로루시 아르메니아 그루지야등과 잇따라 국교를 수립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밖에도 주요 공산권 및 제3세계국가들이 대거 포함돼 있다는 사실은 6共정부가 그동안 추진해온 북방외교가 결실을 맺은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金溶植駐英韓國大使가 引率하는 同使節團은 지난 五月의 軍事革命以來 韓國政府의 諸政策을 說明하고 「에반·로스·아베로프」 「그리스」外相 및 「죠지·테멜리스」國防長官과 諸般問題를 討議하였다. 金大使는 駐伊韓國大使로 하여금 一個月內에 「아테네」에 가서 그의 信任狀을 提呈케 함으로써 韓國은 「그리스」와 外交關係를 樹立하는데 있어서 그 第一段階를 밟게 될 것이라고 말하였다.
최초의 駐「노르웨이」韓國公使로서 赴任한 金裕澤氏는 二十日 「올랍」王에게 信任狀을 提呈하였다.
한국과 몰도바 및 키르기스는 1일 대사급 외교관계를 각각 맺었다고 외무부가 발표했다.
현재 스위스 태권도 인구는 4만5천여명. 언론의 호응을 얻어 「태권도」라는 우리말도 어느 정도 퍼졌다. ... 9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스위스에서는 「북한식 태권도」가 주류를 이뤘다고 한다. 제3대 대한태권도협회장(65~66년)을 역임하고 월북한 최홍희의 제자들이 활동했다. 지금은 북한인들이 거의 활동하지 않는다고 한다.
外務部는 10日 우리나라와 北歐의 「아이슬란드」共和國과 正式外交關係를 갖기로 되었다고 聲明하였다. 이날 外務部聲明은 곧 全權大使를 派遣할 것을 덧붙이고 있는데 「나토」加盟國이기도 한 「아이슬란드」共和國은 人口十七萬의 섬나라이다.
정부는 23일 ...韓相國주노르웨이 대사를 주아이슬란드공화국 겸임대사로... 각각 발령했다.
발트3국중 리투아니아에 이어 에스토니아공화국이 17일자로 韓國과 수교했다. 對발트3국 수교사절단으로 에스토니아를 방문중인 韓鐸埰외무부본부대사는 이날 수도 탈린에서 메리 에스토니아 외무장관과 회담을 갖고 수교의정서에 서명했다.
우리나라와 잠비아 공화국은 4일 李東翊駐케냐대사와 캔사사駐케냐 잠비아대사가 수교 공동성명서에 서명함으로써 대사급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고 외무부가 5일 발표했다.
정부는 오는30일 영국 및 프랑스 공동통치령으로부터 독립하는 남태평양상의 도서국인 바누아투(舊名 뉴헤브리데스)의 독립경축식에 尹河珽 駐뉴질랜드 대사를 경축사절로 파견키로 했다고 28일 외무부가 발표했다.
외교·통일분야에서의 盧泰愚정부 5년은 대체적으로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북방정책으로 불리는 외교정책을 통해 일단 量的인면에서 우리 나라 외교를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성과를 거두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북방정책은 盧정부의 노력의 결과라기보다는 국내외의 외교환경이 만들어준 蓋然性의 덕택이 컸다는 점에서 평가절하되기도 한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교·통일분야에서의 盧泰愚정부 5년은 대체적으로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북방정책으로 불리는 외교정책을 통해 일단 量的인면에서 우리 나라 외교를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성과를 거두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북방정책은 盧정부의 노력의 결과라기보다는 국내외의 외교환경이 만들어준 蓋然性의 덕택이 컸다는 점에서 평가절하되기도 한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The Republic of Korea established the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the Republic of the Fiji islands on the 30th of January 1971, right after Fiji's independence, and confirming Korea's recognition of Fiji as a sovereign state on the 11th of October 1970.
Fiji is to open a new embassy in South Korea next year, sending an ambassador from Suva to Seoul. The new embassy is expected to open in the first half of 2012 to foster trade and investment between Korea and the archipelago about 2,000 km northeast of New Zealand.
그리하여 청·일 전쟁(淸日戰爭)과 러·일 전쟁을 겪으면서 소위 을사조약(乙巳條約)으로 일본의 침탈사가 개시됨으로써 한국의 외교권은 박탈당했으며, 제1·2차 세계대전을 체험할 때까지 한국과 서구제국과의 관계는 말할 것도 없고, 일체의 대외관계가 단절되어 버린 쓰라린 외교사를 경험했다. 제2차 세계대전의 결과 비록 38선 획정에 따른 국토분단을 초래하는 또 하나의 비운이 겹쳐오기도 하였지만, 그러나 해방과 독립이 재래했고, 그 결과 남한에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됨으로써 이후 한국의 서구제국과의 관계는 새로운 시대배경 속의 새로운 역사의 장(章)을 펴 나가게 되었다.
즉 한국이 서구제국과 정식 외교관계를 맺은 연차별 순위를 보면 영·불(1949년), 서독(1957년), 이탈리아(1959년), 덴마크·노르웨이·스웨덴 등 스칸디나비아 3국(1959년), 벨기에·그리스·네덜란드·포르투갈(1961년), 아이슬란드·스페인(1962년)과 오스트리아·로마교황청(1963년), 룩셈부르크·몰타(1965년), 그리고 스위스(1967년)의 순이다. 그 중 조약·협정의 종류별 순위를 분류해 보면 서독이 17개의 협정으로 수위이고, 다음이 영국(8개)이며, 그 다음은 스웨덴(5개), 프랑스(4개) 및 이탈리아(3개)의 순이며, 기타국은 대개 1·2개종의 협정을 체결하고 있다. 서독의 경우는 특히 상표·기술·사증(査證)·경제·재정·무역협정 등 각종 협정의 체결이 거의 모두 1961년 이후에 맺어졌다는 점과, 국가원수로서 박정희 대통령이 1964년 12월에 80여년의 한·독 관계사상 처음으로 독일연방 공화국을 공식 방문했고, 또한 뤼브케 독일 대통령이 1967년 3월 한국을 답례 방문한 것 등 1960년대 이후의 대서구제국과의 관계에 있어서 한·독 관계가 어떤 다른 서구제국보다 괄목할 만큼 증진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한국 외교의 전체상(全體像)으로 볼 때 서독은 미국·일본 다음으로 한국과 밀접한 유대관계를 형성·구축해 왔다고 이를 만하다. 무엇보다도 1970년대 이후부터는 한국의 외교자세가 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신축성을 가지고 전개되고 있다. 예컨대 중립국 외교의 확대·증진, 경제외교(經濟外交) 활동을 통해 협력국을 찾으려는 적극적이고도 전진적인 노력의 경주, 통상·무역정책상의 과감한 행동반경 및 진폭 증대의 시도 등으로 한국 외교가 방향전환을 하고 있기 때문에 장차는 서구제국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서구와 인접하고 있는 동구제국과도 공평한 외교관계의 수립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서는 한국의 동·서구 제국과의 관계와 간접적으로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소련과도 국가관계의 정상화가 가능한 시기가 도래할 것을 기대하게도 되는 것이다. 말하자면 오늘날의 시대적 배경에 역류(逆流)하지 않는 현실적응적·전진적 자세 속의 자주적 다변외교야말로 한국의 생존과 번영과 국제사회의 성실한 일꾼으로서의 책임완수를 위해 필요 불가피한 요체(要諦)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리하여 한국외교는 장차 '서구제국과의 관계'에 국한된 시야에서가 아니라 '세계외교'의 소용돌이 속에서 건설적이고 발전적인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데 돌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