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법연화경 (Korean Wikipedia)

Analysis of information sources in references of the Wikipedia article "묘법연화경" in Korean language version.

refsWebsite
Global rank Korean rank
1st place
1st place
2,602nd place
26th place
6,561st place
42nd place
27th place
10th place
low place
low place

aks.ac.kr

encykorea.aks.ac.kr

bongjeongsa.org

mois.go.kr

gwanbo.mois.go.kr

web.archive.org

wikisource.org

ko.wikisource.org

  •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교 > 불교의 성전 > 법화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법화경(法華經) 원명을 삿다르마푼다리카 수트라(Saddharmapundarika­sutra)라고 하며 '백련화(白蓮華)와 같은 올바른 가르침'이라는 뜻으로서 예로부터 제경(諸經)의 왕으로 생각되었고, 초기 대승경전(大乘經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다. 산스크리트어 원본은 영국인 호지슨이 네팔에서 발견한 것을 비롯하여 여러가지의 단편(斷片)이 존재하며, 이들의 불역(佛譯)·영역(英譯)이 있는 한편 한역·티베트어역·위구르어역·서하어역(西夏語譯)·몽고어역·만주어역 등이 있어서, 이 경이 매우 넓은 범위에 걸쳐 여러 민족에게 애호되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그 성립 시기는 기원 전후에 신앙심이 강한 진보적인 일단의 사람들에 의해 서북 인도에서 소부(小部)의 것이 만들어졌고 후일에 증광(增廣)되었다고 한다. 현존하는 3종의 한역 중에는 라습(羅什)역의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7권(후에 8권이 되었음)이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이 경(經)에서는, 불타는 구원(久遠)한 옛날부터 미래 영겁(未來永劫)에 걸쳐 존재하는 초월적 존재(超越的存在)로 되어 있고, 이 세상에 출현한 것은 모든 인간들이 부처의 깨달음을 열 수 있는 대도(大道, 一乘)를 보이기 위함이며, 그 대도를 실천하는 사람은 누구라도 부처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 그 중심으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