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information sources in references of the Wikipedia article "문수보살" in Korean language version.
이들 가운데 문수동자상은 상원사와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으며, 오대산이 문수보살의 주처(住處)임을 증명하는 역사적 산물이다. 이 상은 세조가 직접 친견하였다는 오대산 문수동자의 진상(眞像)을 조각한 목조좌상이다.
문수는 문수사리(文殊師利) 또는 문수시리(文殊尸利)의 준말로, 범어 원어는 만주슈리(Manjushri)이다. ‘만주’는 달다[甘], 묘하다, 훌륭하다는 뜻이고, ‘슈리’는 복덕(福德)이 많다, 길상(吉祥)하다는 뜻으로, 합하여 훌륭한 복덕을 지녔다는 뜻이 된다.
또 누르하치주1가 건주여진(建州女眞)주2의 가장 존귀한 칭호였던 ‘만주(滿住)’를 사용하였고, 청나라 태종이 이를 ‘만주(滿洲)’로 바꾸어서 부족 이름으로 사용하였다는 설도 있다.
문수보살은 부처님이 돌아가신 뒤 인도에서 태어나 반야(般若)의 도리를 선양한 이로서, 항상 반야지혜의 상징으로 표현되어 왔다. 그는 『반야경』을 결집, 편찬한 이로 알려져 있고, 또 모든 부처님의 스승이요 부모라고 표현되어 왔다. 이는 『반야경』이 지혜를 중심으로 취급한 경전이고, 지혜가 부처를 이루는 근본이 되는 데서 유래된 표현이다.
일설에는 이 문수보살이 석가의 교화(敎化)를 돕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몸을 바꾸어 보살의 지위에 머물고 있으나, 오랜 옛적에 이미 성불하여 용존상불(龍尊上佛) · 대신불(大身佛) · 신선불(神仙佛)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었고, 또 미래에 성불하여 보견여래(普見如來)로 불릴 것이라고 하였다.
또 다른 일설에는, 현재 북방의 상희세계(常喜世界)에 있는 환회장마니보적불이 곧 문수보살로, 이 부처님의 이름을 들으면 사중죄(四重罪)주1가 없어진다고 하였다.
십대원 부분 인용
문수보살은 사자 위에 앉아 때로는 날카로운 칼을 지녀 모든 장애와 번뇌를 없애는 지혜를 나타낸다. 또한 불교의 실천을 상징하는 보현보살과 함께 석가여래와 비로자나불의 협시보살이다. 사자를 탄 문수보살상을 언급한 최초의 경전은 <다라니집경>이다. ‘문수보살의 몸은 흰색이며 정수리 뒤에 빛이 있다. 칠보의 영락과 보관, 천의 등 갖가지로 장엄하고 사자에 올라타고 있다’는 구절이 바로 그것이다.
불교 4대 보살은 일체중생 깨달음 이끄시는 문수·보현·관세음·지장보살 ~~~ 첫째, 문수보살(文殊菩薩)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왼편에 위치하여 지혜를 상징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문수보살을 대지(大智) 문수보살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다른 명호로는 환희장마니보적불(歡喜藏摩尼寶積佛)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사자좌에 앉아 오른손에는 지혜의 칼을 쥐고, 왼손으로는 푸른 연꽃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많이 표현되고 있습니다.
월정사를 품고 있는 오대산은 문수보살의 성산聖山으로, 산 전체가 불교성지가 되는 곳은 남한에서는 오대산이 유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