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국사 (Korean Wikipedia)

Analysis of information sources in references of the Wikipedia article "불국사" in Korean language version.

refsWebsite
Global rank Korean rank
2,602nd place
26th place
low place
1,580th place
low place
195th place
low place
130th place
low place
7,060th place
2,338th place
24th place
812th place
12th place
low place
274th place
low place
483rd place
low place
114th place
46th place
2nd place
5,557th place
41st place
3,954th place
28th place
low place
3,293rd place

aks.ac.kr

encykorea.aks.ac.kr

  • “토함산 (吐含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중앙학연구원. 2023년 4월 27일에 확인함. 호국의 진산으로 신성시하였으며 
  • 신, 용철. “경주 불국사 다보탑 (慶州佛國寺多寶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 한국학중앙연구. 2023년 4월 26일에 확인함.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불국사 대웅전 앞뜰에 석가탑과 함께 나란히 서 있다. 다보탑과 석가탑은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의 「견보탑품(見寶塔品)」에 근거하여 건립되었다고 한다. 즉 다보여래가 『법화경』을 설법하는 석가모니를 찬양하기 위해 보탑의 형상으로 솟아나 공중에 머물며 찬양한 후, 탑내의 자리를 반으로 나누어 나란히 앉았다는 내용이다. 『불국사 사적기』에는 다보탑을 다보여래상주증명탑(多寶如來常住證明塔)으로, 석가탑을 석가여래상주설법탑(釋迦如來常住說法塔)으로 지칭한다. 
  • 박, 홍. “당간지주 (幢竿支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중앙학연구원. 2023년 5월 3일에 확인함. 당(幢: 불화를 그린 기)을 걸던 당간을 지탱하기 위하여 당간 좌·우에 세우는 기둥. 

beopbo.com

  • 이, 미령 (2004년 5월 3일). “[48] 이미령의 관세음보살보문폼읽기”. 《법보신문》. 법보신문사. 2023년 6월 22일에 확인함. 그런데 좥보문품좦을 설하시기 전에 이미 다보부처님은 탑만 남겨둔 채 그 자리를 떠나셨습니다. 그래서 다보부처님의 탑에 올렸다고 말한 것이지요. 

bulguksa.or.kr

dbpia.co.kr

  • 신은영(인천시립송암미술관), 신은영(인천시립송암미술관) (2018년 6월). “불국사 사리탑의 流轉과 식민주의”. 《한국미술사학회,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학술저널, 美術史學硏究 第298號》 (298): 127 - 153 (27page). 2023년 4월 26일에 확인함. 

donga.com

shindonga.donga.com

  • 최, 완수 (2005년 5월 13일). “불국사가 김대성의 개인사찰로 둔갑한 까닭”. 《신동아》. 동아닷컴. 2023년 5월 3일에 확인함. 원성왕은, 경덕왕의 아들이며 성덕왕의 손자인 혜공왕을 시해하고 왕위를 찬탈한 장본인 중 한 사람으로, 자립한 후에는 경덕왕은 물론 성덕왕의 사당까지 허물고 자신의 조부와 부친의 사당을 대신 세워 새 왕조의 개창을 표방한 것을 알 수 있다. 성덕왕과 경덕왕으로 이어지는 전왕조, 즉 진흥왕의 혈통을 이은 순수 진골 왕통과의 단절을 표방했으니 경덕왕이 성덕왕의 추복사찰로 국력을 기울여 건립해온 불국사의 건립 시말을 자세히 밝힌다는 것은 원성왕 자신의 정통성을 부인하는 사실을 공표하는 결과가 된다. 

gjnews.com

m.gjnews.com

gyeongju.go.kr

  • “토함산”. 《경주문화관광》. 경주문화관광. 2023년 4월 27일에 확인함. 안개를 산이 마시고 토해 내는듯한 모습을 표현해 ‘토함산 
  • “경주 불국사 연화교 및 칠보교”. 《경주문화관광》. 경주문화관광(경주시청). 2023년 4월 28일에 확인함. 세속 사람들이 밟는 다리가 아니라, 서방 극락세계의 깨달은 사람만이 오르내리던 다리라고 전해지고 있다. 

heritage.go.kr

  • 유형문화재과, 유형문화재과. “경주 불국사 대웅전 (慶州 佛國寺 大雄殿)”.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4월 26일에 확인함. 불국사 대웅전 전면의 동측에는 다보탑이 배치되어 있고, 서측에는 석가탑이 배치되어 있다. 또, 대웅전 전면에는 팔각을 기본으로 한 전형적인 통일신라 석등이 배치되어 있다. 

history.go.kr

contents.history.go.kr

ibulgyo.com

joongang.co.kr

korea.kr

news.naver.com

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