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 (불교) (Korean Wikipedia)

Analysis of information sources in references of the Wikipedia article "색 (불교)" in Korean language version.

refsWebsite
Global rank Korean rank
low place
low place
low place
527th place
low place
167th place
low place
3,452nd place
low place
3,410th place
low place
260th place
low place
low place
27th place
10th place

buddhism-dict.net

  • DDB, "三色". 2013년 5월 23일에 확인
    "三色:
    Pronunciations: [py] sānsè [wg] san-se [hg] 삼색 [mc] samsaek [mr] samsaek [kk] キンシキ [hb] sanshiki [qn] tam sắc
    Basic Meaning: three kinds of form
    Senses:
    # The three kinds of form or form-realms: the five organs (of sense) 五根, their objects 五境, and non-indicative form 無表色. 〔大毘婆沙論 T 1545.27.65b1〕 . [Charles Muller, Dan Lusthaus]
    # Also an abbreviation for 三種色. [Charles Muller]
    [Dictionary References]
    Bukkyō jiten (Ui) 352
    Bukkyōgo daijiten (Nakamura) 466b
    Fo Guang Dictionary 550
    Ding Fubao
    Bukkyō daijiten (Mochizuki) (v.9-10)265c
    Bukkyō daijiten (Oda) 621-3
    (Soothill's)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75"
  • DDB, "三種色". 2013년 5월 23일에 확인
    "三種色:
    Pronunciations: [py] sānzhǒng sè [wg] san-chung se [hg] 삼종색 [mc] samjong saek [mr] samjong saek [kk] サンシュシキ [hb] sanshu shiki [qn] tam chủng sắc
    Basic Meaning: three kinds of form
    Senses:
    # (a) color, (b) shape, (c) quality. [Charles Muller; source(s): Soothill]
    # See 三色. [Charles Muller; source(s): Soothill]
    # 〔倶舍論 T 1559.29.194a9〕 [Charles Muller]
    [Dictionary References]
    Bukkyō jiten (Ui) 355
    Bulgyo sajeon 420a
    Ding Fubao
    Bukkyō daijiten (Mochizuki) (v.9-10)265c
    Bukkyō daijiten (Oda) 625-2*690-1
    (Soothill's)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73"

buddhistdoor.com

dictionary.buddhistdoor.com

  • 佛門網, "三色". 2013년 5월 23일에 확인
    "三色: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he three kinds of rūpa or form-realms: the five organs (of sense), their objects, and invisible perceptions, or ideas. Cf. 三種色.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名數)三種之色法,五根,五境,無表色。"
  • 佛門網, "三種色". 2013년 5월 23일에 확인
    "三種色: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hree kinds of rūpa, i.e. appearance or object: (1) (a) visible objects; (b) invisible objects, e.g. sound; (c) invisible, immaterial, or abstract objects. (2) (a) colour, (b) shape, (c) quality.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三種色===﹝出五蘊論
    〔一、顯色〕,顯即明顯,色即質礙之色,謂青黃赤白、光影明暗、煙雲、塵霧、虛空等色,明顯可見,故名顯色。
    〔二、形色〕,形即形相,謂長短方圓、麤細高下,若正不正,皆有形相,故名形色。
    〔三、表色〕,表,顯也、對也,謂行住坐臥,取捨屈伸,雖是所行之事,而有表對,顯然可見,故名表色。
    三種色===﹝出阿毘曇論﹞
    〔一、可見有對色〕,可見有對色者,即一切色塵也。謂世間之色,眼則可見,有對於眼故也。
    〔二、不可見有對色〕,不可見有對色者,即五根、四塵也。謂眼識不可見而能對色,耳識不可見而能對聲,鼻識不可見而能對香,舌識不可見而能對味,身識不可見而能對觸,皆言勝義根也。四塵,即聲香味觸也;此四亦不可見,而有對於耳鼻舌身故也。
    〔三、不可見無對色〕,不可見無對色者,即無表色也。謂意識緣於過去所見之境,名為落謝五塵。雖於意識分別明了,皆不可見,亦無表對故也。(五塵者,色塵、聲塵、香塵、味塵、觸塵也。)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瑜伽一卷六頁云:彼所緣色,略說有三。謂顯色、形色、表色。顯色者:謂青、黃、赤、白、光、影、明、暗、雲、煙、塵、霧、及空一顯色。形色者:謂長、短、方、圓、麤、細、正、不正、高、下色。表色者:謂取、捨、屈、伸、行、住、坐、臥、如是等色。又顯色者:謂若色、顯了,眼識所行。形色者:謂若色,積集長短等分別相。表色者:謂即此積集色,生滅相續;由變異因,於先生處,不復重生;轉於異處,或無間、或有間、或近、或遠、差別生。或即於此處異生變。是名表色。又顯色者:謂光明等差別。形色者:謂長短等積集差別。表色者:謂業用為依,轉動差別。
    二解 瑜伽一卷六頁云:復有三種,謂若好顯色,若惡顯色,若俱異顯色,似色顯現。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名數)【參見: 色】"
  • 佛門網, "可見有對色". 2013년 5월 23일에 확인
    "可見有對色: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術語)又曰有見有對色。色法有眼等五根,色等五境及無表色之十一種,此中色境之一為可見有對色,眼等五根與聲等四境為不可見有對色。無表色為不可見無對色。眼可見者曰可見,由極微組織而有障礙者曰有對。智度論二十曰:「佛說三種色:有色可見有對,有色不可見有對,有色不可見無對。」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可見有對色者,即一切色塵也。謂世間之色,眼則可見,有對於眼故也。"
  • 佛門網, "不可見有對色". 2013년 5월 23일에 확인
    "不可見有對色: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術語)三種色之一。色法十一中,眼等五根(指內之勝義根),與聲香味觸四塵之丸法者,非眼所見,故云不可見。為極微所成,故云有對色。對者,對待障礙之義也。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invisible, perceptible, or material things, e. g. sound, smell, etc.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不可見有對色者,即五根、四塵也。謂眼識不可見而能對色,耳識不可見而能對聲,鼻識不可見而能對香,舌識不可見而能對味,身識不可見而能對觸,皆言勝義根也。四塵,即聲香味觸也;此四亦不可見,而有對於耳鼻舌身故也。"
  • 佛門網, "不可見無對色". 2013년 5월 23일에 확인
    "不可見無對色: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術語)三種色之一。色法十一中有無表色之一法,是非眼見,故云不可見,為極微所生之法,而非極微所成之法,故云無對。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Invisible, imperceptible, or immaterial things.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不可見無對色者,即無表色也。謂意識緣於過去所見之境,名為落謝五塵。雖於意識分別明了,皆不可見,亦無表對故也。(五塵者,色塵、聲塵、香塵、味塵、觸塵也。)"

cbeta.org

dongguk.ac.kr

ebti.dongguk.ac.kr

dongguk.edu

buddha.dongguk.edu

  • 운허, "色(색)". 2012년 9월 13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色境(색경)". 2012년 8월 31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四大種(사대종)". 2012년 9월 5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色(색)". 2012년 8월 31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由旬(유순)". 2012년 9월 16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五眼(오안)". 2012년 9월 15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五境(오경)". 2012년 9월 17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境界(경계)". 2012년 9월 17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顯色(현색)". 2012년 9월 17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形色(형색)". 2012년 9월 17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身業(신업)". 2012년 9월 19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語業(어업)". 2012년 9월 19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表業(표업)". 2012년 9월 19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語表業(어표업)". 2012년 9월 19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無想定(무상정)". 2012년 9월 19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滅盡定(멸진정)". 2012년 9월 19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二無心定(이무심정)". 2012년 9월 19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無表色(무표색)". 2012년 9월 19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可見有對色(가견유대색)". 2011년 8월 31일에 확인
    "可見有對色(가견유대색): 또는 유견유대색(有見有對色). 색법(色法)에 5근(根)ㆍ5경(境)ㆍ무표색(無表色)의 11종이 있는데, 그중 색경(色境)을 말함. 눈으로 볼 수 있고, 극미(極微)로 조직되어 장애되는 것이란 뜻. 눈에 보이기도 하고, 감촉할 수도 있는 형체가 있고 빛깔이 있는 물질."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不可見有對色(불가견유대색)". 2011년 8월 31일에 확인
    "不可見有對色(불가견유대색): 3종 색(色)의 하나. 5근(根:승의근)ㆍ4진(塵)의 9법은 눈으로 볼 수 없으므로 불가견이라 하고, 극미(極微)로 만들어진 것이며 다른 것에 장애되는 성품이 있으므로 유대색이라 함."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불가견무대색(不可見無對色)". 2011년 8월 31일에 확인
    "不可見無對色(불가견무대색): 3종 색(色)의 하나. 무표색(無表色)은 안식(眼識)으로 볼 수 없으므로 불가견이라 하고, 또 극미(極微)에서 났으나 극미로 된 것은 아니어서 다른 것에 대하여, 장애하는 성품을 가지지 않았으므로 무대색이라 함."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fgs.org.tw

etext.fgs.org.tw

  • 星雲, "極微分不分". 2012년 9월 6일에 확인.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중국어)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星雲, "四大". 2012년 9월 6일에 확인.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중국어)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星雲, "極微". 2012년 9월 4일에 확인.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중국어)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星雲, "由旬". 2012년 9월 16일에 확인.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중국어)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星雲, "微聚". 2012년 9월 16일에 확인.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중국어)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星雲, "三色". 2013년 5월 23일에 확인
    "三色:   (一)指五根、五境、無表色等三種色法。(一)五根,即眼、耳、鼻、舌、身等五種色根。(二)五境,又稱五塵。乃依五根而取之色、聲、香、味、觸等五種境界。(三)無表色,又作無作色。係由種種行為(業)熏習身體之一種勢用,為無意之習性,此乃招感果報之因;故無表由身體(色性)之業而起,依身體而存在。〔大毘婆沙論卷一四○、大乘義章卷七〕(參閱「五根」1137、「五境」1171、「無表色」5097)
     (二)三種色之略稱。指顯色、形色、表色等三色。(一)顯色,即明顯可見之色,如青黃赤白、光影、明暗、煙雲塵露、虛空等色。(二)形色,即有形相可見者,如長短、方圓、粗細、高下等。(三)表色,即所行之事有相對之表相可見者,如行住坐臥、取捨、屈伸。〔五蘊論、三藏法數卷十一〕
     (三)三藏法數卷十三以可見有對色、不可見有對色、不可見無對色等為三種色。(一)可見有對色,一切色塵,眼則可見,有對於眼。(二)不可見有對色,指五根四塵。眼識不可見而能對色,耳識不可見而能對聲,鼻識不可見而能對香,舌識不可見而能對味,身識不可見而能對觸。此五根皆指勝義根。聲、香、味、觸等四塵皆不可見,而有對於耳、鼻、舌、身,故稱不可見有對色。(三)不可見無對色,指無表色。意識緣於過去所見之境,稱為落謝;五塵雖於意識分別明了,皆不可見,亦無表對。〔雜阿含經卷十三、集異門足論卷三〕 p550"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중국어)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星雲, "可見有對色". 2013년 5월 23일에 확인
    "可見有對色:  可見,指肉眼可見者;有對,指由極微細物質組成而具有障礙之性者。可見有對色,即指色境。又作有見有對色。蓋色法有眼等五根、色等五境及無表色等十一種,其中,色境為可見有對色,眼等五根與聲等四境為不可見有對色,無表色為不可見無對色。如山河大地、草木器物等,具有色彩、形體,而能障礙其他物質者,皆為可見有對色。大智度論卷二十(大二五‧二一二上):「佛說三種色,(中略)有色不可見無對過色相者,是可見有對色;滅有對相者,是不可見有對色;不念異相者,是不可見無對色。」 p1604"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중국어)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星雲, "不可見有對色". 2013년 5월 23일에 확인
    "不可見有對色:  三種色之一。指十一色法中之五根、四塵。五根即眼、耳、鼻、舌、身,其勝義根及聲、香、味、觸四塵等,均非眼所能見及者,乃由極微所成,具對礙之自性,故稱不可見有對色。〔舍利弗阿毘曇論卷三〕(參閱「三色」550) p961"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중국어)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星雲, "不可見無對色". 2013년 5월 23일에 확인
    "不可見無對色:  三種色之一。指十一色法中之無表色。無表色非眼能見,非由極微所成,其自性無對礙,故稱不可見無對色。其自性雖無對礙,然係有對礙之四大所生之法,故攝之於色。〔舍利弗阿毘曇論卷三〕(參閱「三色」550) p962"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중국어)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wikipedia.org

en.wikipedia.org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13 / 1397쪽.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105-108 / 1397쪽.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色(색)". 2012년 9월 13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15 / 1397쪽.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色境(색경)". 2012년 8월 31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四大種(사대종)". 2012년 9월 5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권오민 2003, 56–61쪽. 권오민 (2003). 《아비달마불교》. 민족사. 
  • 남수영 1998, 208쪽. 남수영 (1998). 〈'유식이십론'의 극미설 비판〉. 《인도철학 제7집》. 인도철학회. 민족사. 
  • 남수영 1998, 197–199쪽. 남수영 (1998). 〈'유식이십론'의 극미설 비판〉. 《인도철학 제7집》. 인도철학회. 민족사. 
  • 星雲, "極微分不分". 2012년 9월 6일에 확인.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중국어)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40 / 1397쪽.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色(색)". 2012년 8월 31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24-26 / 1397쪽.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남수영 1998, 200쪽. 남수영 (1998). 〈'유식이십론'의 극미설 비판〉. 《인도철학 제7집》. 인도철학회. 민족사. 
  • 남수영 1998, 205–206쪽. 남수영 (1998). 〈'유식이십론'의 극미설 비판〉. 《인도철학 제7집》. 인도철학회. 민족사. 
  • 오형근 1988, 1쪽. 오형근 (1988). 〈부파불교의 물질론 연구(I)〉. 《불교학보 제26집》. 동대불교문화연구원. 
  • 권오민 2003, 61–67쪽. 권오민 (2003). 《아비달마불교》. 민족사.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18 / 1397쪽.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13-14 / 1397쪽.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오형근 1990, 118쪽. 오형근 (1990). 〈부파불교의 물질론 연구(II)〉. 《불교학보》. 동대불교문화연구원. 
  • 五百大阿羅漢等 造, 玄奘 譯 & T.1545, 제127권, p0663a08(04) - p0663a09(04)
    "便違法相。但隨聖教唯說四種"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23 / 1397쪽.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157 / 1397쪽.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22-23 / 1397쪽.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星雲, "四大". 2012년 9월 6일에 확인.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중국어)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22-24 / 1397쪽.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548-550 / 1397쪽.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546-551 / 1397쪽.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星雲, "極微". 2012년 9월 4일에 확인.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중국어)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551 / 1397쪽.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由旬(유순)". 2012년 9월 16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星雲, "由旬". 2012년 9월 16일에 확인.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중국어)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星雲, "微聚". 2012년 9월 16일에 확인.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중국어)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14 / 1397쪽.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권오민 2003, 67쪽. 권오민 (2003). 《아비달마불교》. 민족사.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77-78 / 1397쪽.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五眼(오안)". 2012년 9월 15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五境(오경)". 2012년 9월 17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境界(경계)". 2012년 9월 17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顯色(현색)". 2012년 9월 17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최봉수 1999, 273쪽. 최봉수 (1999). 〈색온에서의 색의 의미 - 구사론과 청정도론의 색온론을 비교하여〉. 《불교학보》. 
  • 운허, "形色(형색)". 2012년 9월 17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17 / 1397쪽.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身業(신업)". 2012년 9월 19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語業(어업)". 2012년 9월 19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表業(표업)". 2012년 9월 19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語表業(어표업)". 2012년 9월 19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22 / 1397쪽.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21 / 1397쪽.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20-22 / 1397쪽.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p0003a15(03) - p0003a21(02)
    "頌曰。
    亂心無心等  隨流淨不淨
    大種所造性  由此說無表
    論曰。亂心者。謂此餘心。無心者。謂入無想及滅盡定。等言顯示不亂有心。 相似相續說名隨流。善與不善名淨不淨。為簡諸得相似相續。是故復言大種所造。"
  •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p0003a26(11)
    "略說表業及定所生善不善色名為無表。"
  • 운허, "無想定(무상정)". 2012년 9월 19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滅盡定(멸진정)". 2012년 9월 19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二無心定(이무심정)". 2012년 9월 19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無表色(무표색)". 2012년 9월 19일에 확인.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星雲, "三色". 2013년 5월 23일에 확인
    "三色:   (一)指五根、五境、無表色等三種色法。(一)五根,即眼、耳、鼻、舌、身等五種色根。(二)五境,又稱五塵。乃依五根而取之色、聲、香、味、觸等五種境界。(三)無表色,又作無作色。係由種種行為(業)熏習身體之一種勢用,為無意之習性,此乃招感果報之因;故無表由身體(色性)之業而起,依身體而存在。〔大毘婆沙論卷一四○、大乘義章卷七〕(參閱「五根」1137、「五境」1171、「無表色」5097)
     (二)三種色之略稱。指顯色、形色、表色等三色。(一)顯色,即明顯可見之色,如青黃赤白、光影、明暗、煙雲塵露、虛空等色。(二)形色,即有形相可見者,如長短、方圓、粗細、高下等。(三)表色,即所行之事有相對之表相可見者,如行住坐臥、取捨、屈伸。〔五蘊論、三藏法數卷十一〕
     (三)三藏法數卷十三以可見有對色、不可見有對色、不可見無對色等為三種色。(一)可見有對色,一切色塵,眼則可見,有對於眼。(二)不可見有對色,指五根四塵。眼識不可見而能對色,耳識不可見而能對聲,鼻識不可見而能對香,舌識不可見而能對味,身識不可見而能對觸。此五根皆指勝義根。聲、香、味、觸等四塵皆不可見,而有對於耳、鼻、舌、身,故稱不可見有對色。(三)不可見無對色,指無表色。意識緣於過去所見之境,稱為落謝;五塵雖於意識分別明了,皆不可見,亦無表對。〔雜阿含經卷十三、集異門足論卷三〕 p550"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중국어)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佛門網, "三色". 2013년 5월 23일에 확인
    "三色: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he three kinds of rūpa or form-realms: the five organs (of sense), their objects, and invisible perceptions, or ideas. Cf. 三種色.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名數)三種之色法,五根,五境,無表色。"
  • 佛門網, "三種色". 2013년 5월 23일에 확인
    "三種色: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hree kinds of rūpa, i.e. appearance or object: (1) (a) visible objects; (b) invisible objects, e.g. sound; (c) invisible, immaterial, or abstract objects. (2) (a) colour, (b) shape, (c) quality.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三種色===﹝出五蘊論
    〔一、顯色〕,顯即明顯,色即質礙之色,謂青黃赤白、光影明暗、煙雲、塵霧、虛空等色,明顯可見,故名顯色。
    〔二、形色〕,形即形相,謂長短方圓、麤細高下,若正不正,皆有形相,故名形色。
    〔三、表色〕,表,顯也、對也,謂行住坐臥,取捨屈伸,雖是所行之事,而有表對,顯然可見,故名表色。
    三種色===﹝出阿毘曇論﹞
    〔一、可見有對色〕,可見有對色者,即一切色塵也。謂世間之色,眼則可見,有對於眼故也。
    〔二、不可見有對色〕,不可見有對色者,即五根、四塵也。謂眼識不可見而能對色,耳識不可見而能對聲,鼻識不可見而能對香,舌識不可見而能對味,身識不可見而能對觸,皆言勝義根也。四塵,即聲香味觸也;此四亦不可見,而有對於耳鼻舌身故也。
    〔三、不可見無對色〕,不可見無對色者,即無表色也。謂意識緣於過去所見之境,名為落謝五塵。雖於意識分別明了,皆不可見,亦無表對故也。(五塵者,色塵、聲塵、香塵、味塵、觸塵也。)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瑜伽一卷六頁云:彼所緣色,略說有三。謂顯色、形色、表色。顯色者:謂青、黃、赤、白、光、影、明、暗、雲、煙、塵、霧、及空一顯色。形色者:謂長、短、方、圓、麤、細、正、不正、高、下色。表色者:謂取、捨、屈、伸、行、住、坐、臥、如是等色。又顯色者:謂若色、顯了,眼識所行。形色者:謂若色,積集長短等分別相。表色者:謂即此積集色,生滅相續;由變異因,於先生處,不復重生;轉於異處,或無間、或有間、或近、或遠、差別生。或即於此處異生變。是名表色。又顯色者:謂光明等差別。形色者:謂長短等積集差別。表色者:謂業用為依,轉動差別。
    二解 瑜伽一卷六頁云:復有三種,謂若好顯色,若惡顯色,若俱異顯色,似色顯現。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名數)【參見: 色】"
  • DDB, "三色". 2013년 5월 23일에 확인
    "三色:
    Pronunciations: [py] sānsè [wg] san-se [hg] 삼색 [mc] samsaek [mr] samsaek [kk] キンシキ [hb] sanshiki [qn] tam sắc
    Basic Meaning: three kinds of form
    Senses:
    # The three kinds of form or form-realms: the five organs (of sense) 五根, their objects 五境, and non-indicative form 無表色. 〔大毘婆沙論 T 1545.27.65b1〕 . [Charles Muller, Dan Lusthaus]
    # Also an abbreviation for 三種色. [Charles Muller]
    [Dictionary References]
    Bukkyō jiten (Ui) 352
    Bukkyōgo daijiten (Nakamura) 466b
    Fo Guang Dictionary 550
    Ding Fubao
    Bukkyō daijiten (Mochizuki) (v.9-10)265c
    Bukkyō daijiten (Oda) 621-3
    (Soothill's)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75"
  • DDB, "三種色". 2013년 5월 23일에 확인
    "三種色:
    Pronunciations: [py] sānzhǒng sè [wg] san-chung se [hg] 삼종색 [mc] samjong saek [mr] samjong saek [kk] サンシュシキ [hb] sanshu shiki [qn] tam chủng sắc
    Basic Meaning: three kinds of form
    Senses:
    # (a) color, (b) shape, (c) quality. [Charles Muller; source(s): Soothill]
    # See 三色. [Charles Muller; source(s): Soothill]
    # 〔倶舍論 T 1559.29.194a9〕 [Charles Muller]
    [Dictionary References]
    Bukkyō jiten (Ui) 355
    Bulgyo sajeon 420a
    Ding Fubao
    Bukkyō daijiten (Mochizuki) (v.9-10)265c
    Bukkyō daijiten (Oda) 625-2*690-1
    (Soothill's)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73"
  • 운허, "可見有對色(가견유대색)". 2011년 8월 31일에 확인
    "可見有對色(가견유대색): 또는 유견유대색(有見有對色). 색법(色法)에 5근(根)ㆍ5경(境)ㆍ무표색(無表色)의 11종이 있는데, 그중 색경(色境)을 말함. 눈으로 볼 수 있고, 극미(極微)로 조직되어 장애되는 것이란 뜻. 눈에 보이기도 하고, 감촉할 수도 있는 형체가 있고 빛깔이 있는 물질."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星雲, "可見有對色". 2013년 5월 23일에 확인
    "可見有對色:  可見,指肉眼可見者;有對,指由極微細物質組成而具有障礙之性者。可見有對色,即指色境。又作有見有對色。蓋色法有眼等五根、色等五境及無表色等十一種,其中,色境為可見有對色,眼等五根與聲等四境為不可見有對色,無表色為不可見無對色。如山河大地、草木器物等,具有色彩、形體,而能障礙其他物質者,皆為可見有對色。大智度論卷二十(大二五‧二一二上):「佛說三種色,(中略)有色不可見無對過色相者,是可見有對色;滅有對相者,是不可見有對色;不念異相者,是不可見無對色。」 p1604"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중국어)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佛門網, "可見有對色". 2013년 5월 23일에 확인
    "可見有對色: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術語)又曰有見有對色。色法有眼等五根,色等五境及無表色之十一種,此中色境之一為可見有對色,眼等五根與聲等四境為不可見有對色。無表色為不可見無對色。眼可見者曰可見,由極微組織而有障礙者曰有對。智度論二十曰:「佛說三種色:有色可見有對,有色不可見有對,有色不可見無對。」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可見有對色者,即一切色塵也。謂世間之色,眼則可見,有對於眼故也。"
  • 운허, "不可見有對色(불가견유대색)". 2011년 8월 31일에 확인
    "不可見有對色(불가견유대색): 3종 색(色)의 하나. 5근(根:승의근)ㆍ4진(塵)의 9법은 눈으로 볼 수 없으므로 불가견이라 하고, 극미(極微)로 만들어진 것이며 다른 것에 장애되는 성품이 있으므로 유대색이라 함."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星雲, "不可見有對色". 2013년 5월 23일에 확인
    "不可見有對色:  三種色之一。指十一色法中之五根、四塵。五根即眼、耳、鼻、舌、身,其勝義根及聲、香、味、觸四塵等,均非眼所能見及者,乃由極微所成,具對礙之自性,故稱不可見有對色。〔舍利弗阿毘曇論卷三〕(參閱「三色」550) p961"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중국어)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佛門網, "不可見有對色". 2013년 5월 23일에 확인
    "不可見有對色: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術語)三種色之一。色法十一中,眼等五根(指內之勝義根),與聲香味觸四塵之丸法者,非眼所見,故云不可見。為極微所成,故云有對色。對者,對待障礙之義也。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invisible, perceptible, or material things, e. g. sound, smell, etc.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不可見有對色者,即五根、四塵也。謂眼識不可見而能對色,耳識不可見而能對聲,鼻識不可見而能對香,舌識不可見而能對味,身識不可見而能對觸,皆言勝義根也。四塵,即聲香味觸也;此四亦不可見,而有對於耳鼻舌身故也。"
  • 운허, "불가견무대색(不可見無對色)". 2011년 8월 31일에 확인
    "不可見無對色(불가견무대색): 3종 색(色)의 하나. 무표색(無表色)은 안식(眼識)으로 볼 수 없으므로 불가견이라 하고, 또 극미(極微)에서 났으나 극미로 된 것은 아니어서 다른 것에 대하여, 장애하는 성품을 가지지 않았으므로 무대색이라 함."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星雲, "不可見無對色". 2013년 5월 23일에 확인
    "不可見無對色:  三種色之一。指十一色法中之無表色。無表色非眼能見,非由極微所成,其自性無對礙,故稱不可見無對色。其自性雖無對礙,然係有對礙之四大所生之法,故攝之於色。〔舍利弗阿毘曇論卷三〕(參閱「三色」550) p962"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중국어)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佛門網, "不可見無對色". 2013년 5월 23일에 확인
    "不可見無對色: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術語)三種色之一。色法十一中有無表色之一法,是非眼見,故云不可見,為極微所生之法,而非極微所成之法,故云無對。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Invisible, imperceptible, or immaterial things.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不可見無對色者,即無表色也。謂意識緣於過去所見之境,名為落謝五塵。雖於意識分別明了,皆不可見,亦無表對故也。(五塵者,色塵、聲塵、香塵、味塵、觸塵也。)"

wikisource.org

ko.wikisource.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