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영주 2015, 323쪽: "수르지크가 언중들에게 일반적으로 러시아어와의 혼합물로 인식된다는 점을 명시하지 않음으로써 러시아어의 영향을 인정하기를 꺼리는 편찬자의 태도가 반영되었다" 정영주 (2015). “외국어로서의 우크라이나어 교육의 관점에서 본 수르지크”.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50): 321-353.
허승철 2009: "오랜 기간 러시아의 지배와 소련 체제에서 생활해 온 우크라이나 국민들에게는 정치적 독립 이상으로 중요한 것이 문화적 정체성 확립이다. 언어적, 인종적으로 러시아, 벨로루시와 함께 동슬라브 그룹을 형성해 온 우크라이나는 민족어인 우크라이나어의 지위를 고양하고 문화적 독자성을 확보하는 것이 정치적 독립 못지않게 중요하다" 허승철 (2009). “우크라이나의 이중 언어 상황과 언어의 정치학”.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30): 315-341.
허승철 2009: "400년 가까이 지속된 러시아의 지배로 우크라이나어의 발달이 더디게 진행되었고, 러시아어로의 언어적 동화가 광범위하게 진행되었기 때문에 민족어인 우크라이나어가 국가 공식 언어(state language)로 제대로 기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언 어 정책의 3대 과제인 재료계획(corpus planning), 지위계획(status planning), 습득계획(acquisition planning)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1)" 허승철 (2009). “우크라이나의 이중 언어 상황과 언어의 정치학”.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30): 315-341.
허승철 2009: "이러한 정치적 상황이 언어 상황(language situation)과 언어 정책에 큰 영 향을 끼치는 것은 당연한 일로 볼 수 있다" 허승철 (2009). “우크라이나의 이중 언어 상황과 언어의 정치학”.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30): 315-341.
정영주 2015, 323쪽: "이 점은 설문이나 인터뷰에 응할 때 응답자들이 문항이나 질문의 수르지크의 뜻을 다시 확인하지 않고 바로 응답한다는 점에서 추론할 수 있다(정영주 2013a: 5-6)" 정영주 (2015). “외국어로서의 우크라이나어 교육의 관점에서 본 수르지크”.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50): 321-353.
정영주 2015, 338쪽: "수르지크는 문학작품에서도 만날 수 있다. 코틀랴렙스키(І. П. Котляре- вський)의 작품 나탈카 폴탑카(Наталка Полтавка)(1819)에서 처음으로 지면에 등장했는데" 정영주 (2015). “외국어로서의 우크라이나어 교육의 관점에서 본 수르지크”.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50): 321-353.
정영주 2015, 338쪽: "일상적인 수르지크가 작품 속에 반영된 대표적인 예로는 미하일로 스타리츠키(Михайло Старицький)의 희극 두 마리 토끼 쫓기(За двома зайцями)(1883)를 꼽을 수 있다. 이 작품에서 수르지크는 신분상승을 꾀하는 남녀 주인공을 희화화하기 위한 도구로 쓰였다." 정영주 (2015). “외국어로서의 우크라이나어 교육의 관점에서 본 수르지크”.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50): 321-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