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크래프트 (Korean Wikipedia)

Analysis of information sources in references of the Wikipedia article "스타크래프트" in Korean language version.

refsWebsite
Global rank Korean rank
1st place
1st place
125th place
256th place
53rd place
174th place
8,041st place
4,437th place
8,880th place
3,936th place
low place
159th place
24th place
58th place
46th place
2nd place
6,493rd place
45th place
820th place
520th place
37th place
160th place
2,419th place
2,467th place
3,173rd place
2,824th place
low place
low place
low place
261st place
low place
low place
low place
2,550th place
342nd place
8th place
low place
low place
low place
926th place
low place
454th place
low place
5,531st place
1,256th place
1,122nd place
2,170th place
1,309th place
1,767th place
1,229th place
14th place
15th place
1,992nd place
930th place
low place
368th place
low place
123rd place
1,683rd place
16th place
low place
5,342nd place

allgame.com

archive.today

  • Chick, Tom (June 2, 2000). StarCraft. IGN. February 23, 2017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February 16, 2016에 확인함. 

battle.net

classic.battle.net

kr.battle.net

battle.net

blizzard.com

blizzard.com

us.blizzard.com

bloter.net

busanilbo.com

chosun.com

game.chosun.com

computerandvideogames.com

dipts.com

dt.co.kr

edge-online.com

empas.com

news.empas.com

gamechart.co.kr

gamedonga.co.kr

gamepro.com

gamerankings.com

gamerevolution.com

gamespot.com

gamespot.com

uk.gamespot.com

gamespy.com

xbox.gamespy.com

ign.com

ign.com

top100.ign.com

pc.ign.com

joongdoilbo.co.kr

khan.co.kr

news.khan.co.kr

metacritic.com

naeil.com

news.naver.com

n.news.naver.com

originsgamefair.com

segye.com

  • 1998년 4월 9일 대한민국에서 스타크래프트가 패키지 게임으로 발매되었을 때 동봉된 매뉴얼에는 유닛과 건물의 명칭이 한국어로 완역되었다. 하지만 이 명칭은 실제 사용자와 대한민국 스타크래프트 리그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며, 그동안 대한민국 스타크래프트 커뮤니티와 게임리그 산업은 다른 국가와 마찬가지로 현지 발음을 기준으로 유닛과 건물을 불렀다. 하지만 이것은 대한민국의 외래어 표기법과 전혀 일치하지 않았다. 이러한 상태에서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자사 게임을 현지화할 때, 게임 세계 속의 일반 명사는 현지 언어로 완역하는 정책을 천명하였다. 이 정책에 따라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는 현재 한국어로 완역되어 서비스하고 있으며, 스타크래프트의 후속작인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에서는 모든 유닛 및 건물 명칭(영웅, 일부 유닛 제외)을 모두 한국어 어휘로 번역했다. (예: 해처리 → 부화장, SCV → 건설로봇) 그리고 현 시점까지 출시한 스타크래프트 2의 정보를 살펴보면, 전작인 스타크래프트에 등장했던 유닛과 건물의 명칭에도 이 정책이 소급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스타크래프트 유닛과 건물 명칭은 오랫동안 현지 발음을 기준으로 한 명칭을 고수하고 있었기 때문에 혼란이 있다는 프로게임 산업의 지적이 있었으며“화려해진 3D 그래픽… ‘스타2’ 어떻게 달라졌나”. , 이 건에 대하여 현재까지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로의 공식 입장은 발표된 바 없다. 현재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읽는 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이 문서에서는 유닛과 건물의 명칭을 표기할 때 기본적으로 대한민국 스타크래프트 리그에서 사용되는 통칭명을 사용하고, 옆에 스타크래프트 사용자 설명서에 나온 이름과 한국어 뜻을 달아 놓았다.
  • “화려해진 3D 그래픽… ‘스타2’ 어떻게 달라졌나”. 

starcraft.com

web.archive.org

webcitation.org

zdn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