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information sources in references of the Wikipedia article "아무르강" in Korean language version.
弱水의 명칭은 『尙書』「禹貢篇」에 처음으로 나타난다. ... 『通典』에는 ‘營州柳城縣東南有饒樂水 即弱水也’라 하였다. 현재에는 黑龍江이라는 說과(井上秀雄, 『東アジア民族史』p.43), 弱의 옛 발음이 nziak 혹은 niak이므로 弱水는 松花江의 지류인 嫩江(Nonni강)을 가리킨다는 說이 있다. (白鳥庫吉, 「夫餘國の始祖東明王の傳說に就いて」) 그러나 『晋書』肅愼傳의 ‘北極弱手’라는 史料에 유의한다면 黑龍江이 보다 타당하리라 생각된다. ...『尙書』「禹貢篇」, 『晋書』卷97「東夷列傳」肅愼氏條., 『通典』, 白鳥庫吉, 「夫餘國の始祖東明王の傳說に就いて」『白鳥庫吉全集』券5,1970., 井上秀雄, 『東アジア民族史』1974, 平凡社.
|제목=
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42)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弱水의 명칭은 『尙書』「禹貢篇」에 처음으로 나타난다. ... 『通典』에는 ‘營州柳城縣東南有饒樂水 即弱水也’라 하였다. 현재에는 黑龍江이라는 說과(井上秀雄, 『東アジア民族史』p.43), 弱의 옛 발음이 nziak 혹은 niak이므로 弱水는 松花江의 지류인 嫩江(Nonni강)을 가리킨다는 說이 있다. (白鳥庫吉, 「夫餘國の始祖東明王の傳說に就いて」) 그러나 『晋書』肅愼傳의 ‘北極弱手’라는 史料에 유의한다면 黑龍江이 보다 타당하리라 생각된다. ...『尙書』「禹貢篇」, 『晋書』卷97「東夷列傳」肅愼氏條., 『通典』, 白鳥庫吉, 「夫餘國の始祖東明王の傳說に就いて」『白鳥庫吉全集』券5,1970., 井上秀雄, 『東アジア民族史』1974, 平凡社.
|제목=
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42)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