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GRR I, 1509. 이 날짜는 티투스 플라비우스 크세니온(Titus Flavius Xenion)에게 헌정된 한 비문에서 발견되었다.[103] 반세기 뒤에 쓰여진 ‘페리알레 두라눔’ 1.21.는 안토니누스의 후임자들이 그 이전에 권력을 잡았다는 내용을 암시한다 "Prid(ie) Non[is Ma]r[tis". 그렇지만, 몇 가지 이유로, 이 문구를 이용한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사망 날짜가 3월 7일이라고 말한다 (nones martis).[104][105][106] 이 오류 내용들이 작가들에서 비롯했는지 아니면 숫자로 표기되면서 비롯했는지는 확실치 않다. 어떻든간, 이 시기가 널리 받아들여지는 시기이다.[8]
Harper, Kyle (2017). 《The Fate of Rome》. Princeton, New Jersey, United Stat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 其王常欲通使于汉,而安息欲以汉缯彩与之交市,故遮阂不得自达。至桓帝延熹九年,大秦王安敦遣使自日南徼外献象牙、犀角、瑇瑁,始乃一通焉。其所表贡,并无珍异,疑传者过焉。" 《后汉书·西域传》 해석: "... 이 나라의 왕은 언제나 한과 외교적 관계를 이루고 싶어 했다. 그렇지만 안식국은 대진과 한의 비단을 교역하고 싶어 하였고 그리하여 대진과 한 사이에 방해를 놓았는데, 그리하여 대진은 결코 [한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을 수 없었다. 이 상태는 후한의 환희 황제 연호인 연희 (延熹) 9년 (서기 166년)까지 계속되다가, 대진의 왕 안돈(安敦)이 국경 지대인 일남군 (日南) 너머로 사절단을 보내었으며, 이 사절단은 코끼리의 엄니, 코뿔소의 뿔, 땅거북의 껍질 등을 전달했다. 이때서야 처음으로 [두 국가 간] 교류가 이뤄졌다." 후한서 ‘서역전’ (ch. 88) in YU, Taishan (중국사회과학원) (2013). “China and the Ancient Mediterranean World: A Survey of Ancient Chinese Sources”. 《Sino-Platonic Papers》 242: 25–26. CiteSeerX10.1.1.698.1744.. Chinese original: “Chinese Text Project Dictionary”. 《ctext.org》 (영어).
Pulleyblank, Edwin G.; Leslie, D. D.; Gardiner, K. H. J. (1999). “The Roman Empire as Known to Han China”.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119 (1): 71–79. doi:10.2307/605541. JSTOR605541.
Pulleyblank, Edwin G.; Leslie, D. D.; Gardiner, K. H. J. (1999). “The Roman Empire as Known to Han China”.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119 (1): 71–79. doi:10.2307/605541. JSTOR605541.
papyri.info
IGRR I, 1509. 이 날짜는 티투스 플라비우스 크세니온(Titus Flavius Xenion)에게 헌정된 한 비문에서 발견되었다.[103] 반세기 뒤에 쓰여진 ‘페리알레 두라눔’ 1.21.는 안토니누스의 후임자들이 그 이전에 권력을 잡았다는 내용을 암시한다 "Prid(ie) Non[is Ma]r[tis". 그렇지만, 몇 가지 이유로, 이 문구를 이용한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사망 날짜가 3월 7일이라고 말한다 (nones martis).[104][105][106] 이 오류 내용들이 작가들에서 비롯했는지 아니면 숫자로 표기되면서 비롯했는지는 확실치 않다. 어떻든간, 이 시기가 널리 받아들여지는 시기이다.[8]
H.G. Pflaum, "Les prêtres du culte impérial sous le règne d'Antonin le Pieux". In: Comptes rendus des séances de l'Académie des Inscriptions et Belles-Lettres, 111ᵉ année, N. 2, 1967. pp. 194–209. Available at [1]보관됨 2 6월 2018 - 웨이백 머신. Accessed 27 January 2016
Jean-Louis Voisin, "Les Romains, chasseurs de têtes". In: Du châtiment dans la cité. Supplices corporels et peine de mort dans le monde antique. Table ronde de Rome (9-11 novembre 1982) Rome : École Française de Rome, 1984. pp. 241–293. Available at [3]보관됨 2 3월 2017 - 웨이백 머신. Accessed 14 January 2016
Emmanuelle Collas-Heddeland, "Le culte impérial dans la compétition des titres sous le Haut-Empire. Une lettre d'Antonin aux Éphésiens". In: Revue des Études Grecques, tome 108, Juillet-décembre 1995. pp. 410–429. Available at [4]보관됨 3 6월 2018 - 웨이백 머신. Retrieved 22 January 2016; Edmund Thomas,(2007): Monumentality and the Roman Empire: Architecture in the Antonine Age. Oxford U. Press, ISBN978-0-19-928863-2, page 133
Paul Graindor, "Antonin le Pieux et Athènes". Revue belge de philologie et d'histoire, tome 6, fasc. 3–4, 1927. pp. 753–756. Available at [5]보관됨 3 6월 2018 - 웨이백 머신. Retrieved 22 January 2016
Michel Christol, "Préfecture du prétoire et haute administration équestre à la fin du règne d’Antonin le Pieux et au début du règne de Marc Aurèle". In: Cahiers du Centre Gustave Glotz, 18, 2007. pp. 115–140. Available at [6]보관됨 2 6월 2018 - 웨이백 머신. Accessed 27 January 2016
Robert Turcan, "Origines et sens de l'inhumation à l'époque impériale". In: Revue des Études Anciennes. Tome 60, 1958, n°3–4. pp. 323–347. Available at [7]보관됨 3 6월 2018 - 웨이백 머신. Accessed 14 January 2016
"... 其王常欲通使于汉,而安息欲以汉缯彩与之交市,故遮阂不得自达。至桓帝延熹九年,大秦王安敦遣使自日南徼外献象牙、犀角、瑇瑁,始乃一通焉。其所表贡,并无珍异,疑传者过焉。" 《后汉书·西域传》 해석: "... 이 나라의 왕은 언제나 한과 외교적 관계를 이루고 싶어 했다. 그렇지만 안식국은 대진과 한의 비단을 교역하고 싶어 하였고 그리하여 대진과 한 사이에 방해를 놓았는데, 그리하여 대진은 결코 [한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을 수 없었다. 이 상태는 후한의 환희 황제 연호인 연희 (延熹) 9년 (서기 166년)까지 계속되다가, 대진의 왕 안돈(安敦)이 국경 지대인 일남군 (日南) 너머로 사절단을 보내었으며, 이 사절단은 코끼리의 엄니, 코뿔소의 뿔, 땅거북의 껍질 등을 전달했다. 이때서야 처음으로 [두 국가 간] 교류가 이뤄졌다." 후한서 ‘서역전’ (ch. 88) in YU, Taishan (중국사회과학원) (2013). “China and the Ancient Mediterranean World: A Survey of Ancient Chinese Sources”. 《Sino-Platonic Papers》 242: 25–26. CiteSeerX10.1.1.698.1744.. Chinese original: “Chinese Text Project Dictionary”. 《ctext.org》 (영어).
H.G. Pflaum, "Les prêtres du culte impérial sous le règne d'Antonin le Pieux". In: Comptes rendus des séances de l'Académie des Inscriptions et Belles-Lettres, 111ᵉ année, N. 2, 1967. pp. 194–209. Available at [1]보관됨 2 6월 2018 - 웨이백 머신. Accessed 27 January 2016
Jean-Louis Voisin, "Les Romains, chasseurs de têtes". In: Du châtiment dans la cité. Supplices corporels et peine de mort dans le monde antique. Table ronde de Rome (9-11 novembre 1982) Rome : École Française de Rome, 1984. pp. 241–293. Available at [3]보관됨 2 3월 2017 - 웨이백 머신. Accessed 14 January 2016
Emmanuelle Collas-Heddeland, "Le culte impérial dans la compétition des titres sous le Haut-Empire. Une lettre d'Antonin aux Éphésiens". In: Revue des Études Grecques, tome 108, Juillet-décembre 1995. pp. 410–429. Available at [4]보관됨 3 6월 2018 - 웨이백 머신. Retrieved 22 January 2016; Edmund Thomas,(2007): Monumentality and the Roman Empire: Architecture in the Antonine Age. Oxford U. Press, ISBN978-0-19-928863-2, page 133
Paul Graindor, "Antonin le Pieux et Athènes". Revue belge de philologie et d'histoire, tome 6, fasc. 3–4, 1927. pp. 753–756. Available at [5]보관됨 3 6월 2018 - 웨이백 머신. Retrieved 22 January 2016
Michel Christol, "Préfecture du prétoire et haute administration équestre à la fin du règne d’Antonin le Pieux et au début du règne de Marc Aurèle". In: Cahiers du Centre Gustave Glotz, 18, 2007. pp. 115–140. Available at [6]보관됨 2 6월 2018 - 웨이백 머신. Accessed 27 January 2016
Robert Turcan, "Origines et sens de l'inhumation à l'époque impériale". In: Revue des Études Anciennes. Tome 60, 1958, n°3–4. pp. 323–347. Available at [7]보관됨 3 6월 2018 - 웨이백 머신. Accessed 14 January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