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포니모스 아르콘 (Korean Wikipedia)

Analysis of information sources in references of the Wikipedia article "에포니모스 아르콘" in Korean language version.

refsWebsite
Global rank Korean rank
26th place
70th place
3rd place
9th place
6th place
18th place
515th place
4,954th place

archive.org

  • John Blair, Blair's Chronological and Historical Tables: From the Creation to the Present Time, with Additions and Corrections from the Most Authentic Writers, Including the Computation of St. Paul, as Connecting the Period from the Exode to the Temple. London: Longman, Brown, Green and Longmans, 1844. pg. 27
  • Michael Russell, A Connection of Sacred and Profane History, Pg 355
  • Blair, Chronological and Historical Tables pg. 30
  • Henry-Fines Clinton. Fasti Hellenici, the Civil and Literary Chronology of Greece, from the Earliest Accounts to the Death of Augustus. University Press, 1834 pg 241, Pg 166
  • John Blair. Blair's Chronological and Historical Tables: From the Creation to the Present Time, with Additions and Corrections from the Most Authentic Writers, Including the Computation of St. Paul, as Connecting the Period from the Exode to the Temple. Longman, Brown, Green and Longmans, Paternoster Row., 1844. Pg 38
  • Blair's Chronological and Historical Tables. Pg 39
  • Thucydides: Arguments. Peloponnesian War, Book III (cont'd.)-VI By Thucydides. Pg 208

books.google.com

  • "아테네의 아르콘들은 아르콘 직을 맡을 때 머틀로 된 관을 쓰고 아크로폴리스에 올라, 도시의 신에게 재물을 바친다. 이들이 의식을 행할 때 잎으로 된 관을 쓰는 것 역시도 관습이다. 그리고 권력의 상징이 되었으며 여전히도 그런 기능을 유지했던 그 관이 그 당시에는 단지 기도와 제물을 동반한 외부적 상징으로서 종교적 상징에 불과했다는 것이 확실하다. 아르콘 9명 중에서, 왕이라고 불렸던 두 번째 아르콘은 옛 왕들의 고위 성직자로서의 기능을 대표하는 것으로, 그렇지만 그 밖의 아르콘들도 신들에게 일부 제물을 바치는 등 일부 성직 의무를 수행했다. ("Gustave Ducoudray, The history of ancient civilization: a handbook, 1889 pg 129).
  • Green, Peter (2009). 〈Diodorus Siculus on the Third Sacred War〉. Marincola, John. 《A Companion to Greek and Roman Historiography》. Blackwell Companions to the Ancient World 2. Oxford, United Kingdom: John Wiley & Sons. 364쪽. ISBN 9780470766286. 
  • Constitution of Athens and Related Texts – Page 70
  • John Lemprière, A Classical Dictionary pg. 183
  •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Volume 3 – Page 64. (cf. "코드로스의 후임자들은 메돈 (코드로스의 아들), 아카스토스 (메돈의 아들), 아르키포스 (아카스토스의 아들), 테르시포스 (아르키포스의 아들), 포르바스 (테르시포스의 아들), 메가클레스 (포르바스의 아들), 디오그네투스 (메가클레스의 아들), 페레클레스 (디오그네투스의 아들), 아리프론 (페레클레스의 아들), 테스피에우스 (아리프론의 아들), 아가메스토르 (테스피에오스의 아들), 아이스킬로스 (아가메스토르의 아들), 알크마이온 등이다. 일반적인 전승에 의하면 이들 모두 종신직이었다고 한다. 알크마이온 이후로 아르콘의 임기는 10년제가 되었다. 10년제 최초의 아르콘은 카롭스였고, 제2대는 아이시미데스, 3대는 클리디코스였다. 에우세비오스의 Chronic. vol. 1. pp. 185–190, ed. Schone 참조")
  • George Crabb, Universal Historical Dictionary pg. 91
  • Herodotus, George Rawlinson, Sir Henry Creswicke Rawlinson, Sir John Gardner Wilkinson. The History of Herodotus: A New English Version, Ed. with Copious Notes and Appendices, Illustrating the History and Geography of Herodotus, from the Most Recent Sources of Information; and Embodying the Chief Results, Historical and Ethnographical, which Have Been Obtained in the Progress of Cuneiform and Hieroglyphical Discovery, Volume 3. Appleton, 1882. Pg 316
  • Evelyn Abbott. A Skeleton Outline of Greek History: Chronologically Arranged. Pg 27.
  • The Roman Antiquities, Volume 1. By Dionysius (Halicarnassensis). pg 162.
  • History of Ancient and Modern Greece. By John Frost. Pg 35
  • Pausanias's Description of Greece, 4.5.3; Volume 3 By 파우사니아스. Pg 64
  • Nicolas Lenglet Dufresnoy. Chronological Tables of Universal History: Sacred and Profane, Ecclesiastical and Civil; from the Creation of the World, to the Year One Thousand Seven Hundred and Forty-three. With a Preliminary Discourse on the Short Method of Studying History; and a Catalogue of Books Necessary for that Purpose; with Some Remarks on Them, Volume 1. A. Millar, 1762. Pg 124
  • Herodotus, Histories, books V and VI Google Books link
  • Classical Philology. p. 53
  • The Works of Xenophon: & II and Anabasis. 1890 By Xenophon. Pg 98
  • Sophocles: The Oedipus Coloneus. 3d ed. 1900 By Sophocles, Sir Richard Claverhouse Jebb. Pg 4. (cf. Micon was [the Archon of] 402 B.C., Callias of [the Archon of] 406 B.C. Between them came Alexias (405), Pythodorus (404, the Anarchy), and Eucleides (403).)

jstor.org

  • 별도로 언급이 없을 시, 기원전 481/480년 이후의 아르콘의 이름과 임기는 T. J. Cadoux, "The Athenian Archons from Kreon to Hypsichides", Journal of Hellenic Studies, 68 (1948), pp. 70-123을 출처로 한다
  • Per one surviving fragment of the Athenian Archon list. Donald W. Bradeen, "The Fifth-Century Archon List", Hesperia, 32 (1963), pp. 187-208
  • 그의 정체에 대해서 Matthew P. J. Dillon의 "Was Kleisthenes of Pleisthenes Archon at Athens in 525 BC?", Zeitschrift für Papyrologie und Epigraphik, 155 (2006), pp. 91-107에서 제기된 바가 있다.
  • 별다른 언급이 없을 시, 기원전 347/6년부터 301/0년까지 아르콘은 Benjamin D. Meritt, "Athenian Archons 347/6–48/7 B.C.", Historia: Zeitschrift für Alte Geschichte, 26 (1977), pp. 161–191을 출처로 한다
  • 별다른 언급이 없을 시, 기원전 300/299년부터 228/7년까지의 아르콘들은 Michael J. Osborne의 "The Archons of Athens 300/299-228/7", Zeitschrift für Papyrologie und Epigraphik, 171 (2009), pp. 83-99을 출처로 한다.
  • Voula Bardani and Stephen Tracy, "A New List of Athenian Ephebes and a New Archon of Athens", Zeitschrift für Papyrologie und Epigraphik, 163 (2007), pp. 75-80
  • 별다른 언급이 없을 시, 기원전 227/6년에서 211/0년까지 아르콘들은 Michael Osborne의 "The Date of the Athenian Archon Thrasyphon", Zeitschrift für Papyrologie und Epigraphik, 164 (2008), pp. 85-8을 근거로 한다.
  • Aleshire은 공백이 존재해서 이 해에 호플론이 아르콘이라 하였다. 그렇지만 Osborne의 최신 개정판은 이 공백을 없앴다. 추가적인 정보에 대해선 Aleshire의 "The Athenian Archon Hoplon", Hesperia, 57 (1988), pp. 253-5 참조
  • 별다른 언급이 없을 시, 기원전 209/8년부터 201/0년까지 아르콘들은 John S. Traill의 "A Revision of Hesperia, XLIII, 1974, 'A New Ephebic Inscription from the Athenian Agora'", Hesperia, 45 (1976), pp. 296-303을 근거로 한다.
  • Following the arguments of John S. Traill, "The Athenian Archon Pleistainos", Zeitschrift für Papyrologie und Epigraphik, 103 (1994), pp. 109-114
  • 별다른 언급이 없을 시, 기원전 159/8년에서 141/0년까지 Christian Habicht의 "The Eponymous Archons of Athens from 159/8 to 141/0 B. C.", Hesperia, 57 (1988), pp. 237-247을 출처로 한 것이다.
  • IG II2 1070을 근거로 트라키아 왕족 출신으로 확인되었으며, 그는 아테네의 에포니모스 아르콘이었던 것으로 최초로 확인된 외국인이었다. (Robert K. Sherk, "The Eponymous Officials of Greek Cities: I", Zeitschrift für Papyrologie und Epigraphik, 83 (1990), p. 275)
  • R. Neubauer, "Das Archontat des Rhoemetalkas in Athen", Hermes, 10 (1876), pp. 145–152
  • James H. Oliver의 "Greek Inscriptions", Hesperia: The American Excavations in the Athenian Agora: Twenty-First Report, 11 (1942), p. 80
  • Gustav Hirschfeld의 "Die Familie des Titus Flavius Aklibiades", Hermes, 7 (1873), pp. 52–61
  • 별다른 언급이 없을 시, 166/7년부터 188/9년까지 아르콘들은 Susan I. Rotoff의 "An Athenian Archon List of the Late Second Century after Christ", Hesperia, 44 (1975), pp. 402–408를 출처로 한다
  • 다음의 197/8년부터 204/5년까지 아르콘 순서는 James A. Notopoulos의 "Studies in the Chronology of Athens under the Empire", Hesperia, 18 (1949), pp. 21f에서 제시된 것이다. Notopoulos와 Samuels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여기에 있는데, Samuels은 197/8년 당시를 ‘알려지지 않음’이라 표시했고, 다음 세 아르콘들에는 디오니소도로스 - T. Ph. 소시게네스 - 크세노클레스 등을 기입했으며, 그런 다음 [...]mos 부분을 빠트리고, 다른 네 명의 아르콘을 집어넣었다. Notopoulos는 200/1-202/3년에서 아르콘들을 할당하여 201/2–202/3년 시기로 압축시켜 넣었다. Notopoulos는 [...]mos 부분이 기록이 확실한, 이 시기의 유일한 아르콘이라고 생각했었고, Samuels는 이 부분을 지워낸 것에 근거를 대지 않았기에, Notopoulos는 이 방식을 따랐다.
  • James H. Oliver의 "Review", American Journal of Philology, 69 (1948), pp. 440f
  • James H. Oliver의 "Roman Emperors and Athens", Historia: Zeitschrift für Alte Geschichte, 30 (1981), 423에서 제시되었다

persee.f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