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계 (Korean Wikipedia)

Analysis of information sources in references of the Wikipedia article "오계" in Korean language version.

refsWebsite
Global rank Korean rank
low place
low place
low place
527th place
low place
3,452nd place
46th place
2nd place
27th place
10th place

dongguk.edu

buddha.dongguk.edu

  • 운허, "五惡(오악)".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五惡(오악): 5종의 악. (1) 5계(戒)에 위반하는 살생ㆍ도적질ㆍ음행ㆍ거짓말ㆍ음주. (2) 5상(常)에 위반하는 다섯 행위. 불인(不仁)ㆍ불의(不義)ㆍ불례(不禮)ㆍ부지(不智)ㆍ불신(不信)."
  • 운허, "惡(악)". 2012년 9월 2일에 확인.
  • 운허, "十惡(십악)".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十惡(십악): 열 가지 죄악. 신(身)3ㆍ구(口)4ㆍ의(意)3. ⇒신삼구사의삼(身三口四意三)"
  • 운허, "身三口四意三(신삼구사의삼)".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身三口四意三(신삼구사의삼): 10악(惡)을 신(身)ㆍ구(口)ㆍ의(意)의 셋에 배당. 살생(殺生)ㆍ투도(偸盜)ㆍ사음(邪婬)을 신삼(身三), 망어(妄語)ㆍ기어(綺語)ㆍ악구(惡口)ㆍ양설(兩舌)을 구사(口四), 탐욕(貪欲)ㆍ진에(瞋恚)ㆍ사견(邪見)을 의삼(意三)이라 함. ⇒십불선업(十不善業)ㆍ십악(十惡)"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linkDGUL_BS_T_010816 身三口四意三(신삼구사의삼)]". 2012년 11월 8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운허, "邪見(사견)".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邪見(사견): 5견(見)의 하나. 10악(5리사ㆍ5둔사)의 하나. 주로 인과의 도리를 무시하는 옳지 못한 견해. 온갖 망견(妄見)은 다 정리(正理)에 어기는 것이므로 사견이라 하거니와, 특히 인과의 도리를 무시하는 것은 그 허물이 중대하므로 사견이라 함."
  • 운허, "殺生(살생)".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殺生(살생): 10악(惡)의 하나. 인간ㆍ축생 따위의 목숨을 살해하는 것. 곧 생물의 목숨을 죽임."
  • 운허, "邪業(사업)".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邪業(사업): 부정(不正)한 행위. 중생을 죽이는 것ㆍ훔치는 것ㆍ사음(邪婬)하는 것 등."
  • 운허, "偸盜(투도)".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偸盜(투도): 10악(惡)의 하나. 불여취(不與取)라고도 함. 남이 주지 않는 것을 가지는 것. 곧 남의 것을 훔치는 것."
  • 운허, "邪婬(사음)". 2012년 10월 30일에 확인
    "邪婬(사음): 5계(戒)의 하나. 재가(在家) 2중(衆)으로서 우바새는 자기 처첩(妻妾)이 아닌 다른 여자와 음사(婬事)를 하는 것. 우바이도 우바새의 경우와 같음."
  • 운허, "妄語(망어)".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妄語(망어): 10악(惡)의 하나. 입[口]으로 지은 4과(過)의 하나. 허광어(虛誑語)라고도 한다. 진실치 못한 허망한 말을 하는 것. 거짓말."
  • 운허, "邪語(사어)".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邪語(사어): 정당하지 못한 말. 망어(妄語)ㆍ양설(兩說)ㆍ추악어(麤惡語)ㆍ기어(綺語)등."
  • 운허, "飮酒(음주)".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飮酒(음주): 술을 마심. 이로 인하여 살생(殺生)ㆍ투도(偸盜)ㆍ음행(淫行)ㆍ망어(妄語)의 4죄를 범하는 동기가 되므로 경계한 것. 음주의 10과실(過失). (1) 얼굴빛이 나쁘고 (2) 비열하고 (3) 눈이 밝지 못하고 (4) 성내게 되고 (5) 농사ㆍ살림살이를 파괴하고 (6) 병이 생기고 (7) 투쟁이 많아지고 (8) 나쁜 소문이 퍼지고 (9) 지혜가 감소되고 죽으면 악도에 떨어짐."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D8CECA3BCrowno2 飮酒(음주)]". 2012년 11월 7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fgs.org.tw

etext.fgs.org.tw

  • 星雲, "五惡".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五惡: 五種惡。(一)殺生,(二)偷盜,(三)邪婬,(四)兩舌、惡口、妄言、綺語,(五)飲酒。又五戒所防即為上述之五惡;造此五惡,於現世中,王法治罪,身遭厄難,稱為五痛;以此五惡,於未來世三途受報,稱為五燒。〔優婆塞五戒威儀經、四天王經、無量壽經義疏卷下(慧遠)〕"
  • 星雲, "五常五戒". 2013년 7월 14일에 확인
    "五常五戒:  指儒家五常與佛教之五戒。我國文化自古特重孝道與倫常,佛教傳入我國後,於孝道方面,乃特為強調父母恩重難報經、盂蘭盆經等;於倫常方面,則提倡「仁義禮智信」等五常係與「不殺、不盜、不婬、不飲酒、不妄語」等五戒為一致配合之思想。自是,遂有五常五戒相提並論之稱。(參閱「孝」2858) p1145"
  • 星雲, "五戒".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五戒:  梵語 pañca śīlāni。指五種制戒。(一)為在家男女所受持之五種制戒。即:(一)殺生,(二)偷盜(不與取),(三)邪婬(非梵行),(四)妄語(虛誑語),(五)飲酒。又作優婆塞五戒、優婆塞戒。在小乘經量部中,受三歸依即成優婆塞,准許五戒分別受持;說一切有部則須先受三歸依,後具受五戒,始名優婆塞,故不許五戒分別受持。五戒之中,前四戒屬性戒,於有情之境發得;後一戒屬遮戒,於非情之境發得。又前三戒防身,第四戒防口,第五戒通防身、口,護前四戒。我國古來以五戒配列於仁、義、禮、智、信五常,復以不殺配東方,不盜配北方,不邪婬配西方,不飲酒配南方,不妄語配中央。〔雜阿含經卷三十三、增一阿含經卷二十、毘尼母經卷一、大智度論卷十三、薩婆多毘尼毘婆沙卷一、俱舍論卷十四、仁王護國般若經疏卷二、摩訶止觀卷六之上〕
     (二)亦為在家男女所受持之五種制戒。即:(一)殺生,(二)偷盜,(三)邪婬,(四)兩舌、惡口、妄言、綺語,(五)飲酒。然此五戒之中,第四戒總攝口業之惡,蓋由十惡之說轉來者。灌頂經卷一、優婆塞五戒威儀經、四天王經等皆舉此說。
     (三)為在家菩薩所受持之五種制戒。即禁絕:(一)奪生命,(二)不與取,(三)虛妄語,(四)欲邪行,(五)邪見等。大日經卷六受方便學處品、大日經疏卷十八等說之。即於通途之五戒中,除去飲酒戒,另加邪見戒。〔雜阿含經卷三十一、增一阿含經卷七、優婆塞戒經卷六、優婆塞五戒相經、瑜伽師地論卷五十四〕"
  • 星雲, "不善". 2012년 10월 28일에 확인
    "不善: 梵語 akuśala,巴利語 akusala。「善」之對稱。為三性之一,與惡同義。謂其性不安隱,能違損此世及他世的黑惡之法。"
  • 星雲, "八邪行".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사견(邪見)
    "(一)邪見,指不信因果、功德、父母、聖人等之見解。"
  • 星雲, "八邪行".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사업(邪業)
    "(四)邪業,指殺生、不與取、邪淫等。"
  • 星雲, "[1]".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邪業: 由貪、瞋、癡而起之不正的身業;如殺生、不與取、邪淫等皆是。為「正業」之對稱。係三邪行之一,八邪行之一。〔中阿含經卷四十八、俱舍論卷十七〕"
  • 星雲, "[2] 邪淫]". 2012년 10월 30일에 확인
    "邪淫: 梵語 kāma-mithyācāra,巴利語 kāmesu micchācāra。又作欲邪行。為十惡之一。即在家者不可為之惡行之一,以男性而言,指與妻子以外之女性行淫,又雖與妻子,但行於不適當之時間、場所、方法等,亦為邪淫。據中阿含卷五十晡利多經載,邪淫者必受現世及後世之惡報。"
  • 星雲, "[3]".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妄語:  十惡之一。又作故妄語、虛妄語、虛誑語、妄舌、虛偽、欺。特指以欺人為目的而作之虛妄語。妄語戒為五戒、十戒之一。據四分律卷十一所載,妄語為波逸提(必須向眾僧懺悔之罪),此係小妄語(虛偽不實);另據同書卷二載,未至菩提而妄言得菩提(即妄稱證得佛道)者,即犯波羅夷(為教團驅逐之大罪),此係大妄語(未得言得,未證謂證)。此外,據大智度論卷十三載,犯妄語戒而無慚愧心者,自斷於至涅槃及生天之道,並有口氣臭、善神遠離等十種罪過,此稱為妄語十罪。〔雜阿含經卷三十三、優婆塞五戒相經、瑜伽師地論卷五十四、順正理論卷三十六、大智度論卷十四、大乘義章卷七、卷十二〕(參閱「律」)"
  • 星雲, "八邪行".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사어(邪語)
    "(三)邪語,指妄語、兩舌、惡口、綺語等。"
  • 星雲, "邪語".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邪語: 由貪、瞋、癡所生之不正之言語。為「正語」之對稱。係三邪行之一,八邪行之一。如妄語、兩舌、綺語、惡口等皆是邪語。〔中阿含卷四十九說智經、俱舍論卷十七〕"

terms.naver.com

  • 곽철환 2003, "오악(五惡)".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오악(五惡): 오계(五戒)를 어기는 것."
  • 곽철환 2003, "사견(邪見)".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사견(邪見): 그릇된 견해. 인과(因果)의 이치를 부정하는 견해."
  • 곽철환 2003, "십악(十惡)".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살생(殺生)
    "(1) 살생(殺生). 사람이나 동물 따위, 살아 있는 것을 죽임."
  • 곽철환 2003, "십악(十惡)".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십악(十惡): 몸과 말과 뜻으로 짓는 열 가지 죄악. (1) 살생(殺生). 사람이나 동물 따위, 살아 있는 것을 죽임. (2) 투도(偸盜). 남의 재물을 훔침. (3) 사음(邪婬). 남녀간에 저지르는 음란한 짓. (4) 망어(妄語). 거짓말이나 헛된 말. (5) 악구(惡口). 남을 괴롭히는 나쁜 말. (6) 양설(兩舌). 이간질하는 말. (7) 기어(綺語). 진실이 없는, 교묘하게 꾸민 말. (8) 탐욕(貪欲). 탐내어 그칠 줄 모르는 욕심. (9) 진에(瞋恚). 성냄. (10) 사견(邪見). 그릇된 견해."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곽철환2003"[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02118categoryId1885 십악(十惡)]". 2012년 11월 8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곽철환 2003, "십악(十惡)".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투도(偸盜)
    "(2) 투도(偸盜). 남의 재물을 훔침."
  • 곽철환 2003, "십악(十惡)".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사음(邪婬)
    "(3) 사음(邪婬). 남녀간에 저지르는 음란한 짓."
  • 곽철환 2003, "십악(十惡)".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망어(妄語)
    "(4) 망어(妄語). 거짓말이나 헛된 말."

hanja.naver.com

  • "妄語", 《네이버 한자사전》.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 "虛誑語", 《네이버 한자사전》.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wikipedia.org

en.wikipedia.org

  • 곽철환 2003, "오악(五惡)".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오악(五惡): 오계(五戒)를 어기는 것."
  • 운허, "五惡(오악)".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五惡(오악): 5종의 악. (1) 5계(戒)에 위반하는 살생ㆍ도적질ㆍ음행ㆍ거짓말ㆍ음주. (2) 5상(常)에 위반하는 다섯 행위. 불인(不仁)ㆍ불의(不義)ㆍ불례(不禮)ㆍ부지(不智)ㆍ불신(不信)."
  • 星雲, "五惡".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五惡: 五種惡。(一)殺生,(二)偷盜,(三)邪婬,(四)兩舌、惡口、妄言、綺語,(五)飲酒。又五戒所防即為上述之五惡;造此五惡,於現世中,王法治罪,身遭厄難,稱為五痛;以此五惡,於未來世三途受報,稱為五燒。〔優婆塞五戒威儀經、四天王經、無量壽經義疏卷下(慧遠)〕"
  • 星雲, "五常五戒". 2013년 7월 14일에 확인
    "五常五戒:  指儒家五常與佛教之五戒。我國文化自古特重孝道與倫常,佛教傳入我國後,於孝道方面,乃特為強調父母恩重難報經、盂蘭盆經等;於倫常方面,則提倡「仁義禮智信」等五常係與「不殺、不盜、不婬、不飲酒、不妄語」等五戒為一致配合之思想。自是,遂有五常五戒相提並論之稱。(參閱「孝」2858) p1145"
  • 星雲, "五戒".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五戒:  梵語 pañca śīlāni。指五種制戒。(一)為在家男女所受持之五種制戒。即:(一)殺生,(二)偷盜(不與取),(三)邪婬(非梵行),(四)妄語(虛誑語),(五)飲酒。又作優婆塞五戒、優婆塞戒。在小乘經量部中,受三歸依即成優婆塞,准許五戒分別受持;說一切有部則須先受三歸依,後具受五戒,始名優婆塞,故不許五戒分別受持。五戒之中,前四戒屬性戒,於有情之境發得;後一戒屬遮戒,於非情之境發得。又前三戒防身,第四戒防口,第五戒通防身、口,護前四戒。我國古來以五戒配列於仁、義、禮、智、信五常,復以不殺配東方,不盜配北方,不邪婬配西方,不飲酒配南方,不妄語配中央。〔雜阿含經卷三十三、增一阿含經卷二十、毘尼母經卷一、大智度論卷十三、薩婆多毘尼毘婆沙卷一、俱舍論卷十四、仁王護國般若經疏卷二、摩訶止觀卷六之上〕
     (二)亦為在家男女所受持之五種制戒。即:(一)殺生,(二)偷盜,(三)邪婬,(四)兩舌、惡口、妄言、綺語,(五)飲酒。然此五戒之中,第四戒總攝口業之惡,蓋由十惡之說轉來者。灌頂經卷一、優婆塞五戒威儀經、四天王經等皆舉此說。
     (三)為在家菩薩所受持之五種制戒。即禁絕:(一)奪生命,(二)不與取,(三)虛妄語,(四)欲邪行,(五)邪見等。大日經卷六受方便學處品、大日經疏卷十八等說之。即於通途之五戒中,除去飲酒戒,另加邪見戒。〔雜阿含經卷三十一、增一阿含經卷七、優婆塞戒經卷六、優婆塞五戒相經、瑜伽師地論卷五十四〕"
  • 운허, "惡(악)". 2012년 9월 2일에 확인.
  • 星雲, "不善". 2012년 10월 28일에 확인
    "不善: 梵語 akuśala,巴利語 akusala。「善」之對稱。為三性之一,與惡同義。謂其性不安隱,能違損此世及他世的黑惡之法。"
  • 운허, "十惡(십악)".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十惡(십악): 열 가지 죄악. 신(身)3ㆍ구(口)4ㆍ의(意)3. ⇒신삼구사의삼(身三口四意三)"
  • 운허, "身三口四意三(신삼구사의삼)".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身三口四意三(신삼구사의삼): 10악(惡)을 신(身)ㆍ구(口)ㆍ의(意)의 셋에 배당. 살생(殺生)ㆍ투도(偸盜)ㆍ사음(邪婬)을 신삼(身三), 망어(妄語)ㆍ기어(綺語)ㆍ악구(惡口)ㆍ양설(兩舌)을 구사(口四), 탐욕(貪欲)ㆍ진에(瞋恚)ㆍ사견(邪見)을 의삼(意三)이라 함. ⇒십불선업(十不善業)ㆍ십악(十惡)"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linkDGUL_BS_T_010816 身三口四意三(신삼구사의삼)]". 2012년 11월 8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운허, "邪見(사견)".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邪見(사견): 5견(見)의 하나. 10악(5리사ㆍ5둔사)의 하나. 주로 인과의 도리를 무시하는 옳지 못한 견해. 온갖 망견(妄見)은 다 정리(正理)에 어기는 것이므로 사견이라 하거니와, 특히 인과의 도리를 무시하는 것은 그 허물이 중대하므로 사견이라 함."
  • 곽철환 2003, "사견(邪見)".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사견(邪見): 그릇된 견해. 인과(因果)의 이치를 부정하는 견해."
  • 星雲, "八邪行".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사견(邪見)
    "(一)邪見,指不信因果、功德、父母、聖人等之見解。"
  • 운허, "殺生(살생)".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殺生(살생): 10악(惡)의 하나. 인간ㆍ축생 따위의 목숨을 살해하는 것. 곧 생물의 목숨을 죽임."
  • 곽철환 2003, "십악(十惡)".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살생(殺生)
    "(1) 살생(殺生). 사람이나 동물 따위, 살아 있는 것을 죽임."
  • 운허, "邪業(사업)".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邪業(사업): 부정(不正)한 행위. 중생을 죽이는 것ㆍ훔치는 것ㆍ사음(邪婬)하는 것 등."
  • 星雲, "八邪行".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사업(邪業)
    "(四)邪業,指殺生、不與取、邪淫等。"
  • 星雲, "[1]".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邪業: 由貪、瞋、癡而起之不正的身業;如殺生、不與取、邪淫等皆是。為「正業」之對稱。係三邪行之一,八邪行之一。〔中阿含經卷四十八、俱舍論卷十七〕"
  • 곽철환 2003, "십악(十惡)".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십악(十惡): 몸과 말과 뜻으로 짓는 열 가지 죄악. (1) 살생(殺生). 사람이나 동물 따위, 살아 있는 것을 죽임. (2) 투도(偸盜). 남의 재물을 훔침. (3) 사음(邪婬). 남녀간에 저지르는 음란한 짓. (4) 망어(妄語). 거짓말이나 헛된 말. (5) 악구(惡口). 남을 괴롭히는 나쁜 말. (6) 양설(兩舌). 이간질하는 말. (7) 기어(綺語). 진실이 없는, 교묘하게 꾸민 말. (8) 탐욕(貪欲). 탐내어 그칠 줄 모르는 욕심. (9) 진에(瞋恚). 성냄. (10) 사견(邪見). 그릇된 견해."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곽철환2003"[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02118categoryId1885 십악(十惡)]". 2012년 11월 8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운허, "偸盜(투도)".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偸盜(투도): 10악(惡)의 하나. 불여취(不與取)라고도 함. 남이 주지 않는 것을 가지는 것. 곧 남의 것을 훔치는 것."
  • 곽철환 2003, "십악(十惡)".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투도(偸盜)
    "(2) 투도(偸盜). 남의 재물을 훔침."
  • 운허, "邪婬(사음)". 2012년 10월 30일에 확인
    "邪婬(사음): 5계(戒)의 하나. 재가(在家) 2중(衆)으로서 우바새는 자기 처첩(妻妾)이 아닌 다른 여자와 음사(婬事)를 하는 것. 우바이도 우바새의 경우와 같음."
  • 星雲, "[2] 邪淫]". 2012년 10월 30일에 확인
    "邪淫: 梵語 kāma-mithyācāra,巴利語 kāmesu micchācāra。又作欲邪行。為十惡之一。即在家者不可為之惡行之一,以男性而言,指與妻子以外之女性行淫,又雖與妻子,但行於不適當之時間、場所、方法等,亦為邪淫。據中阿含卷五十晡利多經載,邪淫者必受現世及後世之惡報。"
  • 곽철환 2003, "십악(十惡)".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사음(邪婬)
    "(3) 사음(邪婬). 남녀간에 저지르는 음란한 짓."
  • 운허, "妄語(망어)".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妄語(망어): 10악(惡)의 하나. 입[口]으로 지은 4과(過)의 하나. 허광어(虛誑語)라고도 한다. 진실치 못한 허망한 말을 하는 것. 거짓말."
  • 곽철환 2003, "십악(十惡)".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망어(妄語)
    "(4) 망어(妄語). 거짓말이나 헛된 말."
  • 星雲, "[3]". 2012년 11월 8일에 확인
    "妄語:  十惡之一。又作故妄語、虛妄語、虛誑語、妄舌、虛偽、欺。特指以欺人為目的而作之虛妄語。妄語戒為五戒、十戒之一。據四分律卷十一所載,妄語為波逸提(必須向眾僧懺悔之罪),此係小妄語(虛偽不實);另據同書卷二載,未至菩提而妄言得菩提(即妄稱證得佛道)者,即犯波羅夷(為教團驅逐之大罪),此係大妄語(未得言得,未證謂證)。此外,據大智度論卷十三載,犯妄語戒而無慚愧心者,自斷於至涅槃及生天之道,並有口氣臭、善神遠離等十種罪過,此稱為妄語十罪。〔雜阿含經卷三十三、優婆塞五戒相經、瑜伽師地論卷五十四、順正理論卷三十六、大智度論卷十四、大乘義章卷七、卷十二〕(參閱「律」)"
  • 운허, "邪語(사어)".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邪語(사어): 정당하지 못한 말. 망어(妄語)ㆍ양설(兩說)ㆍ추악어(麤惡語)ㆍ기어(綺語)등."
  • 星雲, "八邪行".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사어(邪語)
    "(三)邪語,指妄語、兩舌、惡口、綺語等。"
  • 星雲, "邪語".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邪語: 由貪、瞋、癡所生之不正之言語。為「正語」之對稱。係三邪行之一,八邪行之一。如妄語、兩舌、綺語、惡口等皆是邪語。〔中阿含卷四十九說智經、俱舍論卷十七〕"
  • 운허, "飮酒(음주)".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飮酒(음주): 술을 마심. 이로 인하여 살생(殺生)ㆍ투도(偸盜)ㆍ음행(淫行)ㆍ망어(妄語)의 4죄를 범하는 동기가 되므로 경계한 것. 음주의 10과실(過失). (1) 얼굴빛이 나쁘고 (2) 비열하고 (3) 눈이 밝지 못하고 (4) 성내게 되고 (5) 농사ㆍ살림살이를 파괴하고 (6) 병이 생기고 (7) 투쟁이 많아지고 (8) 나쁜 소문이 퍼지고 (9) 지혜가 감소되고 죽으면 악도에 떨어짐."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D8CECA3BCrowno2 飮酒(음주)]". 2012년 11월 7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wikisource.org

ko.wikisource.org

  •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의례와 수행·교단조직 > 의례와 수행 > 5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5계 五戒: 판차 실라(panca sīla)를 번역한 말로서, 재가인(在家人)이 지켜야 할 5종의 계를 말한다. 계란 본래 '관습이 된 행위'라는 뜻인데 술어(術語)로서는 '행위의 규범'을 가리키며, 더욱이 자발적으로 지키는 것, 자기 행위에 대한 '경계', 혹은 자기 행위에 대한 '맹세'를 뜻한다. 또한 계의 기본적인 입장은 좋은 일을 하고 나쁜 일은 하지 않는다는 뜻이며, 따라서 그 규정은 신구의(身口意)의 3업(三業) 중 어느 하나와 관련된다. 5계[←한 계]는 불교 교단에 들어가기에 앞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것으로, 3보(三寶)에의 귀의와 함께 불교도로서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 된다. 5계로서는 살아 있는 것을 죽이지 않는다(不殺生), 도둑질하지 않는다(不偸盜), 아내 이외의 여성, 남편 이외의 남성과 부정한 정교를 맺지 않는다, 거짓을 말하지 않는다(不妄語), 술을 마시지 않는다(不飮酒)는 5종의 계를 말한다. 5계를 5학처(五學處)라고도 하는데, 학처란 수행의 기반이라는 뜻으로 불도수행(佛道修行)의 근본이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