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의 정치 (Korean Wikipedia)

Analysis of information sources in references of the Wikipedia article "우크라이나의 정치" in Korean language version.

refsWebsite
Global rank Korean rank
low place
357th place
low place
low place

dubuplus.com

waf-e.dubuplus.com

kyobobook.co.kr

scholar.kyobobook.co.kr

  • 최승진 2012, 338쪽: "1917년 이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소러시아, 남러시아로 부르며 복속된 지방으로 간주하였다" 최승진 (2012년 6월). “소비에트 우크라이나공화국의 문화정책”. 《동유럽발칸학》 (한국중동부유럽학회) 14 (1): 335-354. (구독 필요). 
  • 최승진 2012, 338쪽: "10월 혁명이후 1919년 우크라이나 공화국은 최초로 헌법을 채택하였다" 최승진 (2012년 6월). “소비에트 우크라이나공화국의 문화정책”. 《동유럽발칸학》 (한국중동부유럽학회) 14 (1): 335-354. (구독 필요). 
  • 최승진 2012, 338쪽: "명목상의 헌법이었으며 형식도 소연방헌법을 그대로 모방하였으며 내용도 연방법의 하위 개념이었다" 최승진 (2012년 6월). “소비에트 우크라이나공화국의 문화정책”. 《동유럽발칸학》 (한국중동부유럽학회) 14 (1): 335-354. (구독 필요). 
  • 최승진 2012, 338쪽: "러시아 정부는 날로 확장되어가는 우크라이나 도시에 러시아인은 물론 비러시아계 소수민족 이주민 정책을 지속적으로 전개했다. 사회주의 건설기간동안 우크라이나의 주요도시에는 약 3배에 달하는 인구로 증가했으며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삼고 있는 이들을 실질적으로 행정, 산업, 무역, 교육 등에 배치시켜 러시아화를 가속화하였다" 최승진 (2012년 6월). “소비에트 우크라이나공화국의 문화정책”. 《동유럽발칸학》 (한국중동부유럽학회) 14 (1): 335-354. (구독 필요). 
  • 최승진 2012, 338쪽: "스탈린이 사망하고 1953년 6월 우크라이나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1918년 이후 처음으로 러시아화를 비판하였다" 최승진 (2012년 6월). “소비에트 우크라이나공화국의 문화정책”. 《동유럽발칸학》 (한국중동부유럽학회) 14 (1): 335-354. (구독 필요). 
  • 최승진 2012, 338쪽: "이런 상황의 발발과 몇가지 정책 등을 이유로 당 1서기 멜리코프 (Меліков)를 사임시키고 최초 우크라이나인 키리첸코 (Кириченко)를 앉히게 되었다. 최승진 (2012년 6월). “소비에트 우크라이나공화국의 문화정책”. 《동유럽발칸학》 (한국중동부유럽학회) 14 (1): 335-354. (구독 필요). 
  • 최승진 2012, 338쪽: 하지만 제20차 당 대회가 결정한 탈스탈린정책도 민족정책이라고 보기에는 상당한 거리가 있었다" 최승진 (2012년 6월). “소비에트 우크라이나공화국의 문화정책”. 《동유럽발칸학》 (한국중동부유럽학회) 14 (1): 335-354. (구독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