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집수와 무집수 (Korean Wikipedia)

Analysis of information sources in references of the Wikipedia article "유집수와 무집수" in Korean language version.

refsWebsite
Global rank Korean rank
low place
low place
low place
527th place
low place
3,452nd place
low place
260th place
low place
167th place

cbeta.org

tripitaka.cbeta.org

  • 세친 조, 현장 한역(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제22권.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29n1558_p0118b29║息有情數攝。有情身
    T29n1558_p0118c01║分故。非有執受。與根相離故。

dongguk.ac.kr

ebti.dongguk.ac.kr

dongguk.edu

buddha.dongguk.edu

kabc.dongguk.edu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2권:
    숨은 유정수(有情數, 감정과 의식을 지닌 유정)에 포섭되니, 유정의 몸의 일부분이기 때문이다.88)
    또한 유집수(有執受, 유정의 몸 중에 감각이 있는 부분)가 아니니, 근(根)과는 아무런 관계도 없기 때문이다.
    88) 즉 감각이 없는 무정수의 몸에는 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는 비록 숨이 외부에서 들어온 것이라 할지라도 내부에 계속(繫屬)되는 것임을 의미한다.

fgs.org.tw

etext.fgs.org.tw

  • 星雲, "有執受". 2012년 9월 4일에 확인.
  • 星雲, "無執受". 2012년 9월 4일에 확인.

wikipedia.org

en.wikipedi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