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십사시 (Korean Wikipedia)

Analysis of information sources in references of the Wikipedia article "이십사시" in Korean language version.

refsWebsite
Global rank Korean rank
3,317th place
35th place
low place
8,392nd place
2nd place
3rd place
1st place
1st place
low place
277th place
low place
480th place

doi.org

dx.doi.org

  • 안상현; 박종우. “한국사에서 하루의 시작은 언제부터인가?” (pdf). 《한국우주과학회지》 21 (4). doi:10.5140/JASS.2004.21.4.505. 요즘 시각제도로는 子時는 지방시로 23시부터 1시, 丑時는 1시부터 3시 등과 같이 대응이 된다. 각 時는 더욱 세분하여 초(初)와 정(正)으로 나누었다. 예를 들어 23시부터 0시는 子初가 되고, 0시부터 1시는 子正으로 한다. 요즘 시각제도에서 자정(midnight)이란 용어는 이러한 고대 시각제도에서 유래한 것이다. 물론 과거의 시간은 관측지를 기준으로 하는 지방시이며, 요즘 한국에서 사용하는 시각제도는 표준시이므로, 옛날 기록에 나오는 시간에 32분을 더해 주어야 현재의 시각제도인 표준시로 환산된다.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미러 사이트:KISTI, 연세대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janss.kr

  • 안상현; 박종우. “한국사에서 하루의 시작은 언제부터인가?” (pdf). 《한국우주과학회지》 21 (4). doi:10.5140/JASS.2004.21.4.505. 요즘 시각제도로는 子時는 지방시로 23시부터 1시, 丑時는 1시부터 3시 등과 같이 대응이 된다. 각 時는 더욱 세분하여 초(初)와 정(正)으로 나누었다. 예를 들어 23시부터 0시는 子初가 되고, 0시부터 1시는 子正으로 한다. 요즘 시각제도에서 자정(midnight)이란 용어는 이러한 고대 시각제도에서 유래한 것이다. 물론 과거의 시간은 관측지를 기준으로 하는 지방시이며, 요즘 한국에서 사용하는 시각제도는 표준시이므로, 옛날 기록에 나오는 시간에 32분을 더해 주어야 현재의 시각제도인 표준시로 환산된다.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미러 사이트:KISTI, 연세대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kisti.re.kr

img.kisti.re.kr

  • 안상현; 박종우. “한국사에서 하루의 시작은 언제부터인가?” (pdf). 《한국우주과학회지》 21 (4). doi:10.5140/JASS.2004.21.4.505. 요즘 시각제도로는 子時는 지방시로 23시부터 1시, 丑時는 1시부터 3시 등과 같이 대응이 된다. 각 時는 더욱 세분하여 초(初)와 정(正)으로 나누었다. 예를 들어 23시부터 0시는 子初가 되고, 0시부터 1시는 子正으로 한다. 요즘 시각제도에서 자정(midnight)이란 용어는 이러한 고대 시각제도에서 유래한 것이다. 물론 과거의 시간은 관측지를 기준으로 하는 지방시이며, 요즘 한국에서 사용하는 시각제도는 표준시이므로, 옛날 기록에 나오는 시간에 32분을 더해 주어야 현재의 시각제도인 표준시로 환산된다.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미러 사이트:KISTI, 연세대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korean.go.kr

stdict.korean.go.kr

web.archive.org

  • 안상현; 박종우. “한국사에서 하루의 시작은 언제부터인가?” (pdf). 《한국우주과학회지》 21 (4). doi:10.5140/JASS.2004.21.4.505. 요즘 시각제도로는 子時는 지방시로 23시부터 1시, 丑時는 1시부터 3시 등과 같이 대응이 된다. 각 時는 더욱 세분하여 초(初)와 정(正)으로 나누었다. 예를 들어 23시부터 0시는 子初가 되고, 0시부터 1시는 子正으로 한다. 요즘 시각제도에서 자정(midnight)이란 용어는 이러한 고대 시각제도에서 유래한 것이다. 물론 과거의 시간은 관측지를 기준으로 하는 지방시이며, 요즘 한국에서 사용하는 시각제도는 표준시이므로, 옛날 기록에 나오는 시간에 32분을 더해 주어야 현재의 시각제도인 표준시로 환산된다.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미러 사이트:KISTI, 연세대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yonsei.ac.kr

galaxy.yonsei.ac.kr

  • 안상현; 박종우. “한국사에서 하루의 시작은 언제부터인가?” (pdf). 《한국우주과학회지》 21 (4). doi:10.5140/JASS.2004.21.4.505. 요즘 시각제도로는 子時는 지방시로 23시부터 1시, 丑時는 1시부터 3시 등과 같이 대응이 된다. 각 時는 더욱 세분하여 초(初)와 정(正)으로 나누었다. 예를 들어 23시부터 0시는 子初가 되고, 0시부터 1시는 子正으로 한다. 요즘 시각제도에서 자정(midnight)이란 용어는 이러한 고대 시각제도에서 유래한 것이다. 물론 과거의 시간은 관측지를 기준으로 하는 지방시이며, 요즘 한국에서 사용하는 시각제도는 표준시이므로, 옛날 기록에 나오는 시간에 32분을 더해 주어야 현재의 시각제도인 표준시로 환산된다.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미러 사이트:KISTI, 연세대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