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information sources in references of the Wikipedia article "이십사시" in Korean language version.
요즘 시각제도로는 子時는 지방시로 23시부터 1시, 丑時는 1시부터 3시 등과 같이 대응이 된다. 각 時는 더욱 세분하여 초(初)와 정(正)으로 나누었다. 예를 들어 23시부터 0시는 子初가 되고, 0시부터 1시는 子正으로 한다. 요즘 시각제도에서 자정(midnight)이란 용어는 이러한 고대 시각제도에서 유래한 것이다. 물론 과거의 시간은 관측지를 기준으로 하는 지방시이며, 요즘 한국에서 사용하는 시각제도는 표준시이므로, 옛날 기록에 나오는 시간에 32분을 더해 주어야 현재의 시각제도인 표준시로 환산된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미러 사이트:KISTI, 연세대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요즘 시각제도로는 子時는 지방시로 23시부터 1시, 丑時는 1시부터 3시 등과 같이 대응이 된다. 각 時는 더욱 세분하여 초(初)와 정(正)으로 나누었다. 예를 들어 23시부터 0시는 子初가 되고, 0시부터 1시는 子正으로 한다. 요즘 시각제도에서 자정(midnight)이란 용어는 이러한 고대 시각제도에서 유래한 것이다. 물론 과거의 시간은 관측지를 기준으로 하는 지방시이며, 요즘 한국에서 사용하는 시각제도는 표준시이므로, 옛날 기록에 나오는 시간에 32분을 더해 주어야 현재의 시각제도인 표준시로 환산된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미러 사이트:KISTI, 연세대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요즘 시각제도로는 子時는 지방시로 23시부터 1시, 丑時는 1시부터 3시 등과 같이 대응이 된다. 각 時는 더욱 세분하여 초(初)와 정(正)으로 나누었다. 예를 들어 23시부터 0시는 子初가 되고, 0시부터 1시는 子正으로 한다. 요즘 시각제도에서 자정(midnight)이란 용어는 이러한 고대 시각제도에서 유래한 것이다. 물론 과거의 시간은 관측지를 기준으로 하는 지방시이며, 요즘 한국에서 사용하는 시각제도는 표준시이므로, 옛날 기록에 나오는 시간에 32분을 더해 주어야 현재의 시각제도인 표준시로 환산된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미러 사이트:KISTI, 연세대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요즘 시각제도로는 子時는 지방시로 23시부터 1시, 丑時는 1시부터 3시 등과 같이 대응이 된다. 각 時는 더욱 세분하여 초(初)와 정(正)으로 나누었다. 예를 들어 23시부터 0시는 子初가 되고, 0시부터 1시는 子正으로 한다. 요즘 시각제도에서 자정(midnight)이란 용어는 이러한 고대 시각제도에서 유래한 것이다. 물론 과거의 시간은 관측지를 기준으로 하는 지방시이며, 요즘 한국에서 사용하는 시각제도는 표준시이므로, 옛날 기록에 나오는 시간에 32분을 더해 주어야 현재의 시각제도인 표준시로 환산된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미러 사이트:KISTI, 연세대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요즘 시각제도로는 子時는 지방시로 23시부터 1시, 丑時는 1시부터 3시 등과 같이 대응이 된다. 각 時는 더욱 세분하여 초(初)와 정(正)으로 나누었다. 예를 들어 23시부터 0시는 子初가 되고, 0시부터 1시는 子正으로 한다. 요즘 시각제도에서 자정(midnight)이란 용어는 이러한 고대 시각제도에서 유래한 것이다. 물론 과거의 시간은 관측지를 기준으로 하는 지방시이며, 요즘 한국에서 사용하는 시각제도는 표준시이므로, 옛날 기록에 나오는 시간에 32분을 더해 주어야 현재의 시각제도인 표준시로 환산된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미러 사이트:KISTI, 연세대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