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염 (Korean Wikipedia)

Analysis of information sources in references of the Wikipedia article "잡염" in Korean language version.

refsWebsite
Global rank Korean rank
low place
low place
low place
260th place
low place
167th place
low place
527th place
low place
3,452nd place
low place
3,410th place
46th place
2nd place

buddhistdoor.com

dictionary.buddhistdoor.com

  • 佛門網, "雜染". 2013년 2월 18일에 확인
    "雜染: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he three kasāya, i.e. "mixed dyes" or infections: the passions; their karma; reincarnation; or illusion, karma, and suffering.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All kinds of moral infection, the various causes of transmigration.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saṃkleśa, saṃkliṣṭa; aviśuddhi, aśuddhi, upakleśa, kiliṣṭa, √kliś, kliṣṭa, kleśa, parikliṣṭa, saṃ-√kliś, samala, sāṃkleśika.
    頁數: P.4058"

cbeta.org

  •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4b27 - T31n1605_p0664b29. 치(癡)심소
    "何等無明。謂三界無知為體。於諸法中邪決定疑生起所依為業。"
  •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1권. p. T31n1606_p0698a06 - T31n1606_p0698a09. 치(癡)심소
    "無明者。謂三界無智為體。於諸法中邪決定疑雜染生起所依為業。邪決定者。謂顛倒智。疑者猶豫。雜染生起者。謂貪等煩惱現行。彼所依者。謂由愚癡起諸煩惱。"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 T.1585, 제2권. p. T31n1585_p0026c24 - T31n1585_p0027a05. 잡염심소(雜染心所)
    "解亦了決定事相。念亦能了串習事相。定慧亦了德失等相。由此於境起善等。諸心所法皆於所緣兼取別相。雖諸心所名義無異而有六位種類差別。謂遍行有五。別境亦五。善有十一。煩惱有六。隨煩惱有二十。不定有四。如是六位合五十一。一切心中定可得故。緣別別境而得生故。唯善心中可得生故。性是根本煩惱攝故。唯是煩惱等流性故。於善染等皆不定故。然瑜伽論合六為五。煩惱隨煩惱俱是故。"
  • 세친 조, 현장 한역 & T.1612, p. T31n1612_p0849a24 - T31n1612_p0849a25. 살가야견(薩迦耶見)
    "云何薩迦耶見。謂於五取蘊隨觀為我或為我所。染污慧為性。"
  •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 T.1613, p. T31n1613_p0852c23 - T31n1613_p0852c29. 살가야견(薩迦耶見)
    "云何薩迦耶見。謂於五取蘊。隨執為我。或為我所。染慧為性。薩謂敗壞義。迦耶謂和合積聚義。即於此中。見一見常。異蘊有我蘊。為我所等。何故復如是說。謂薩者破常想。迦耶破一想。無常積集。是中無我及我所故。染慧者。謂煩惱俱。一切見品所依為業。"

dongguk.ac.kr

ebti.dongguk.ac.kr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 K.614, T.1585, 제5권. p. 259 / 583. 잡염심소(雜染心所)
    "염(念)심소는 역시 일찍이 익힌 것의 양상을 요별한다. 정(定)심소와 혜(慧)심소는 역시 덕(德)과 과실 등의 양상을 요별한다”165)고 한다. 이것166)에 의해서 대상에 대해 선심소와 잡염심소 등을 일으킨다. 모든 심소법은 대상에 대해서 (전체적인 모습과) 겸하여 개별적인 모습을 취한다.167)
    모든 심소는 명칭이나 개념[義]에 다른 것이 없지만, 여섯 가지 지위의 종류로 차별이 있다.168) 변행심소에 다섯 가지가 있고, 별경심소에 역시 다섯 가지가 있으며, 선심소에 열한 가지가 있고, 번뇌심소에 여섯 가지가 있으며, 수번뇌심소에 스무 가지가 있고, 부정심소에 네 가지가 있다. 이와 같은 여섯 가지 지위를 합하면 쉰한 가지가 된다.
    (변행심소는) 모든 심왕 중에 반드시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고,(별경심소는) 갖가지 대상을 반연하여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며, (선심소는) 오직 선(善)으로서 심왕 중에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번뇌심소는) 본성이 근본번뇌에 포함되기 때문이고, (수번뇌심소는) 오직 번뇌의 등류성(等流性)이기 때문이며, (부정심소는) 선과 잡염 등에 대해서 모두 일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유가사지론』에서 여섯 종류를 합해서 다섯 종류로 한 것은,169) 번뇌심소와 수번뇌심소가 모두 잡염이기 때문이다.
    166) 변행심소와 별경심소가 대상의 총상(總相)과 별상(別相)을 취하는 것을 말한다.
    167) 심소법의 행상을 총체적으로 결론 맺는다.
    168) 다음에 변행심소 등의 개념을 해설한다.
    169) 『유가사지론』 제3권(『고려대장경』 15, p.483上:『대정장』 30, p.291上)."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618, T.1612, p. 5 / 12. 살가야견(薩迦耶見)
    "어떤 것이 살가야견인가. 오취온을 따라 관찰하여 아로 여기거나 혹은 아소로 여기는 것이니, 염오의 지혜를 자성으로 삼는 것이다."
  •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 K.619, T.1613, p. 11 / 24. 살가야견(薩迦耶見)
    "무엇을 살가야견이라고 하는가? 5취온에 대해서 집착함에 따라 나 혹은 나의 것이라는 오염된 지혜를 성질로 한다. 살(薩, sat)이란 깨어지고 부서진다는 뜻이다. 가야(迦耶, kaya)란 화합하여 쌓임의 뜻을 말한다. 즉 이 가운데서 하나[一]라는 견해, 영원[常]하다는 견해, 다른 온이 나라는 온으로 있고, 나의 것 등이라고 한다. 어떤 까닭으로 다시 이와 같이 말하는가? 살이란 영원하다는 생각을 깨트리고, 가야란 하나라는 생각을 깨트린다. 영원히 쌓여 있는 것이 없어 이 가운데서 나와 나의 것이 없기 때문이다. 오염된 지혜란 번뇌와 함께 하는 것을 말한다. 모든 견해의 종류들이 나타나는 행동양식이다."

dongguk.edu

buddha.dongguk.edu

  • 운허, "染法(염법)". 2012년 12월 5일에 확인
    "染法(염법): ↔ 정법(淨法). 염오법(染汚法)의 준말. 번뇌와 수(隨)번뇌. 그 대상으로 반연하는 물ㆍ심(物心)의 제법, 악성(惡性)ㆍ유부무기성(有覆無記性)의 법을 말함. 이것은 착하고 깨끗한 마음을 물들이는 것이므로 염법이라 함."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fgs.org.tw

etext.fgs.org.tw

  • 星雲, "雜染". 2012년 10월 20일에 확인
    "雜染: 梵語 sajkleśa。音譯作僧吉隸爍。係指有漏法。「清淨」之對稱。雜,即間雜、和雜之義;染,是染污法,即指不善及有覆無記之法。通常雜染與染污同義,互為通用;但據成唯識論述記卷二末載,單稱染、染污之際,即指煩惱;而稱雜染之際,則係通於善、惡、無記等三性,為一切有漏法之總稱。
     雜染分為三類,稱三雜染,即:(一)煩惱雜染。又作惑雜染。即一切煩惱及隨煩惱之總名。此又分為見所斷、修所斷二種,或欲界繫、色界繫、無色界繫三種,或根本煩惱等十種。(二)業雜染。指從煩惱生,或助煩惱造作身語意三者之業。(三)生雜染。又作苦雜染。依煩惱及業而受生於三界之苦。以上三類依序相當於惑、業、苦三道。或謂三雜染再加障雜染,為四雜染。〔顯揚聖教論卷一)(參閱「染污」3840)p6638"

terms.naver.com

  • 곽철환 2003, "잡염(雜染)". 2012년 10월 20일에 확인
    "잡염(雜染): 번뇌, 또는 번뇌에 물들어 마음이 더러워짐."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wikipedia.org

en.wikipedia.org

  • 운허, "染法(염법)". 2012년 12월 5일에 확인
    "染法(염법): ↔ 정법(淨法). 염오법(染汚法)의 준말. 번뇌와 수(隨)번뇌. 그 대상으로 반연하는 물ㆍ심(物心)의 제법, 악성(惡性)ㆍ유부무기성(有覆無記性)의 법을 말함. 이것은 착하고 깨끗한 마음을 물들이는 것이므로 염법이라 함."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星雲, "雜染". 2012년 10월 20일에 확인
    "雜染: 梵語 sajkleśa。音譯作僧吉隸爍。係指有漏法。「清淨」之對稱。雜,即間雜、和雜之義;染,是染污法,即指不善及有覆無記之法。通常雜染與染污同義,互為通用;但據成唯識論述記卷二末載,單稱染、染污之際,即指煩惱;而稱雜染之際,則係通於善、惡、無記等三性,為一切有漏法之總稱。
     雜染分為三類,稱三雜染,即:(一)煩惱雜染。又作惑雜染。即一切煩惱及隨煩惱之總名。此又分為見所斷、修所斷二種,或欲界繫、色界繫、無色界繫三種,或根本煩惱等十種。(二)業雜染。指從煩惱生,或助煩惱造作身語意三者之業。(三)生雜染。又作苦雜染。依煩惱及業而受生於三界之苦。以上三類依序相當於惑、業、苦三道。或謂三雜染再加障雜染,為四雜染。〔顯揚聖教論卷一)(參閱「染污」3840)p6638"
  • 佛門網, "雜染". 2013년 2월 18일에 확인
    "雜染: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he three kasāya, i.e. "mixed dyes" or infections: the passions; their karma; reincarnation; or illusion, karma, and suffering.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All kinds of moral infection, the various causes of transmigration.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saṃkleśa, saṃkliṣṭa; aviśuddhi, aśuddhi, upakleśa, kiliṣṭa, √kliś, kliṣṭa, kleśa, parikliṣṭa, saṃ-√kliś, samala, sāṃkleśika.
    頁數: P.4058"
  •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4b27 - T31n1605_p0664b29. 치(癡)심소
    "何等無明。謂三界無知為體。於諸法中邪決定疑生起所依為業。"
  •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1권. p. T31n1606_p0698a06 - T31n1606_p0698a09. 치(癡)심소
    "無明者。謂三界無智為體。於諸法中邪決定疑雜染生起所依為業。邪決定者。謂顛倒智。疑者猶豫。雜染生起者。謂貪等煩惱現行。彼所依者。謂由愚癡起諸煩惱。"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 T.1585, 제2권. p. T31n1585_p0026c24 - T31n1585_p0027a05. 잡염심소(雜染心所)
    "解亦了決定事相。念亦能了串習事相。定慧亦了德失等相。由此於境起善等。諸心所法皆於所緣兼取別相。雖諸心所名義無異而有六位種類差別。謂遍行有五。別境亦五。善有十一。煩惱有六。隨煩惱有二十。不定有四。如是六位合五十一。一切心中定可得故。緣別別境而得生故。唯善心中可得生故。性是根本煩惱攝故。唯是煩惱等流性故。於善染等皆不定故。然瑜伽論合六為五。煩惱隨煩惱俱是故。"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 K.614, T.1585, 제5권. p. 259 / 583. 잡염심소(雜染心所)
    "염(念)심소는 역시 일찍이 익힌 것의 양상을 요별한다. 정(定)심소와 혜(慧)심소는 역시 덕(德)과 과실 등의 양상을 요별한다”165)고 한다. 이것166)에 의해서 대상에 대해 선심소와 잡염심소 등을 일으킨다. 모든 심소법은 대상에 대해서 (전체적인 모습과) 겸하여 개별적인 모습을 취한다.167)
    모든 심소는 명칭이나 개념[義]에 다른 것이 없지만, 여섯 가지 지위의 종류로 차별이 있다.168) 변행심소에 다섯 가지가 있고, 별경심소에 역시 다섯 가지가 있으며, 선심소에 열한 가지가 있고, 번뇌심소에 여섯 가지가 있으며, 수번뇌심소에 스무 가지가 있고, 부정심소에 네 가지가 있다. 이와 같은 여섯 가지 지위를 합하면 쉰한 가지가 된다.
    (변행심소는) 모든 심왕 중에 반드시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고,(별경심소는) 갖가지 대상을 반연하여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며, (선심소는) 오직 선(善)으로서 심왕 중에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번뇌심소는) 본성이 근본번뇌에 포함되기 때문이고, (수번뇌심소는) 오직 번뇌의 등류성(等流性)이기 때문이며, (부정심소는) 선과 잡염 등에 대해서 모두 일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유가사지론』에서 여섯 종류를 합해서 다섯 종류로 한 것은,169) 번뇌심소와 수번뇌심소가 모두 잡염이기 때문이다.
    166) 변행심소와 별경심소가 대상의 총상(總相)과 별상(別相)을 취하는 것을 말한다.
    167) 심소법의 행상을 총체적으로 결론 맺는다.
    168) 다음에 변행심소 등의 개념을 해설한다.
    169) 『유가사지론』 제3권(『고려대장경』 15, p.483上:『대정장』 30, p.291上)."
  • 곽철환 2003, "잡염(雜染)". 2012년 10월 20일에 확인
    "잡염(雜染): 번뇌, 또는 번뇌에 물들어 마음이 더러워짐."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조, 현장 한역 & T.1612, p. T31n1612_p0849a24 - T31n1612_p0849a25. 살가야견(薩迦耶見)
    "云何薩迦耶見。謂於五取蘊隨觀為我或為我所。染污慧為性。"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618, T.1612, p. 5 / 12. 살가야견(薩迦耶見)
    "어떤 것이 살가야견인가. 오취온을 따라 관찰하여 아로 여기거나 혹은 아소로 여기는 것이니, 염오의 지혜를 자성으로 삼는 것이다."
  •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 T.1613, p. T31n1613_p0852c23 - T31n1613_p0852c29. 살가야견(薩迦耶見)
    "云何薩迦耶見。謂於五取蘊。隨執為我。或為我所。染慧為性。薩謂敗壞義。迦耶謂和合積聚義。即於此中。見一見常。異蘊有我蘊。為我所等。何故復如是說。謂薩者破常想。迦耶破一想。無常積集。是中無我及我所故。染慧者。謂煩惱俱。一切見品所依為業。"
  •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 K.619, T.1613, p. 11 / 24. 살가야견(薩迦耶見)
    "무엇을 살가야견이라고 하는가? 5취온에 대해서 집착함에 따라 나 혹은 나의 것이라는 오염된 지혜를 성질로 한다. 살(薩, sat)이란 깨어지고 부서진다는 뜻이다. 가야(迦耶, kaya)란 화합하여 쌓임의 뜻을 말한다. 즉 이 가운데서 하나[一]라는 견해, 영원[常]하다는 견해, 다른 온이 나라는 온으로 있고, 나의 것 등이라고 한다. 어떤 까닭으로 다시 이와 같이 말하는가? 살이란 영원하다는 생각을 깨트리고, 가야란 하나라는 생각을 깨트린다. 영원히 쌓여 있는 것이 없어 이 가운데서 나와 나의 것이 없기 때문이다. 오염된 지혜란 번뇌와 함께 하는 것을 말한다. 모든 견해의 종류들이 나타나는 행동양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