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제 (Korean Wikipedia)

Analysis of information sources in references of the Wikipedia article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제" in Korean language version.

refsWebsite
Global rank Korean rank
low place
low place
low place
5,524th place
low place
low place
1,291st place
30th place
2,143rd place
39th place
low place
767th place
5th place
11th place
1,893rd place
649th place
low place
1,816th place
231st place
207th place
46th place
2nd place
3,954th place
28th place
1,444th place
23rd place
low place
631st place
4,900th place
56th place

imbc.com

imnews.imbc.com

joongang.co.kr

k2base.re.kr

  • 이석기 2003, 77쪽 "1970년대에 시범적으로 실시되던 연합기업소 체계는 1985년 11월 당중앙위 정치국회의의 ‘연합기업소를 조직하여 정무원의 사업체계와 방법을 개선할 데 대하여’를 통하여 전면적으로 도입되었다. 연합기업소의 확대 역시 중앙에 의한 공장․기업소의 직접적인 관리의 어려움을 연합기업소를 만들어 이것에 여러 공장․기업소를 묶음으로써 관리대상을 줄이고, 관리단계를 줄이려는 시도인 것으로 보인다" 이석기 (2003년 12월 1일). 북한의 기업관리체계 및 기업행동양식 변화 연구 (보고서).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2020년 7월 29일에 확인함. 
  • 이석기 2003, 77쪽 "연합기업소를 계획, 생산, 경영의 단위로 설정함에 따라 자재 공급에 있어 연합기업소의 역할이 크게 강조되게 되었고, 연합기업소는 자재공급의 주된 단위가 되었다. 연합기업소 체계하에서 자재공급체계는 정무원의 자재공급위원회(그리고 중앙자재총연합상사)와 정무원의 각 위원회, 부의 지도 밑에 연합기업소들이 직접 계획에 따라 계약을 맺고 상업적 거래형식으로 자재를 주고받는 체계이다." 이석기 (2003년 12월 1일). 북한의 기업관리체계 및 기업행동양식 변화 연구 (보고서).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2020년 7월 29일에 확인함. 
  • 이석기 2003, 77쪽 "자재보장문제, 협동생산문제, 수송문제를 원만히 풀기 위하여서는 어떤 대책이 필요하겠습니까? 내가 초보적으로 생각한 데 의하면 이 문제를 풀기 위하여 관리국과 연합기업소들을 합리적으로 조직하고, 관리국과 연합기업소 범위에서 독립채산제를 실시하며, 개별적인 공장 기업소들에서도 독립채산제를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석기 (2003년 12월 1일). 북한의 기업관리체계 및 기업행동양식 변화 연구 (보고서).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2020년 7월 29일에 확인함. 
  • 이석기 2003, 77쪽 "북한은 정권수립 이후 구소련에서 시행되고 있었던 독립채산제를 도입하여 실행하기 시작하였다. 물론 그 목적은 계획경제의 원활하고 효율적인 운영이었다. 그러나 독립채산제의 체계적 실행은 계속 지체되었다." 이석기 (2003년 12월 1일). 북한의 기업관리체계 및 기업행동양식 변화 연구 (보고서).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2020년 7월 29일에 확인함. 
  • 이석기 2003, 82쪽 "북한의 독립채산제는 1970년대 초 중앙의 국영기업뿐만 아니라 지방공업을 포함한 공업부문, 농업부문, 그리고 비생산적 부문인 유통부문에 이르기까지 확대 실시되었다. 그리고 1970년대 중반부터 연합기업소에 대하여 ‘2중 독립채산제’를 실시하였다. 2중 독립채산제는 연합기업소 단위로 독립채산제를 실시하면서 연합기업소에 속하는 공장․기업소도 독립채산제로 운영하는 제도이다." 이석기 (2003년 12월 1일). 북한의 기업관리체계 및 기업행동양식 변화 연구 (보고서).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2020년 7월 29일에 확인함. 

kbs.co.kr

news.kbs.co.kr

kdi.re.kr

eiec.kdi.re.kr

kdi.re.kr

kiep.go.kr

mk.co.kr

terms.naver.com

  • “연안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nktech.net

nocutnews.co.kr

rfa.org

unikorea.go.kr

nkinfo.unikorea.go.kr

  • “독립채산제”. 《북한 지식사전》. 2020년 7월 29일에 확인함. 독립채산제는 북한이 사회주의 계획경제체제에서 제기되는 생산력 저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공장기업소가 부분적으로나마 독자성을 가지고 경영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경영관리방법을 말한다. 

wikipedia.org

en.wikipedia.org

  • 권오중 (2001:174).
  • 이영훈 (2006:24)
  • 이영훈 (2006:109-110).
  • 모춘흥 (2016:28).
  • 이영훈 (2006:110-111)
  • 이영훈 (2006:113-115).
  • 이석기 2003, 77쪽 "1970년대에 시범적으로 실시되던 연합기업소 체계는 1985년 11월 당중앙위 정치국회의의 ‘연합기업소를 조직하여 정무원의 사업체계와 방법을 개선할 데 대하여’를 통하여 전면적으로 도입되었다. 연합기업소의 확대 역시 중앙에 의한 공장․기업소의 직접적인 관리의 어려움을 연합기업소를 만들어 이것에 여러 공장․기업소를 묶음으로써 관리대상을 줄이고, 관리단계를 줄이려는 시도인 것으로 보인다" 이석기 (2003년 12월 1일). 북한의 기업관리체계 및 기업행동양식 변화 연구 (보고서).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2020년 7월 29일에 확인함. 
  • 이석기 2003, 77쪽 "연합기업소를 계획, 생산, 경영의 단위로 설정함에 따라 자재 공급에 있어 연합기업소의 역할이 크게 강조되게 되었고, 연합기업소는 자재공급의 주된 단위가 되었다. 연합기업소 체계하에서 자재공급체계는 정무원의 자재공급위원회(그리고 중앙자재총연합상사)와 정무원의 각 위원회, 부의 지도 밑에 연합기업소들이 직접 계획에 따라 계약을 맺고 상업적 거래형식으로 자재를 주고받는 체계이다." 이석기 (2003년 12월 1일). 북한의 기업관리체계 및 기업행동양식 변화 연구 (보고서).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2020년 7월 29일에 확인함. 
  • 이석기 2003, 77쪽 "자재보장문제, 협동생산문제, 수송문제를 원만히 풀기 위하여서는 어떤 대책이 필요하겠습니까? 내가 초보적으로 생각한 데 의하면 이 문제를 풀기 위하여 관리국과 연합기업소들을 합리적으로 조직하고, 관리국과 연합기업소 범위에서 독립채산제를 실시하며, 개별적인 공장 기업소들에서도 독립채산제를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석기 (2003년 12월 1일). 북한의 기업관리체계 및 기업행동양식 변화 연구 (보고서).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2020년 7월 29일에 확인함. 
  • 이석기 2003, 77쪽 "북한은 정권수립 이후 구소련에서 시행되고 있었던 독립채산제를 도입하여 실행하기 시작하였다. 물론 그 목적은 계획경제의 원활하고 효율적인 운영이었다. 그러나 독립채산제의 체계적 실행은 계속 지체되었다." 이석기 (2003년 12월 1일). 북한의 기업관리체계 및 기업행동양식 변화 연구 (보고서).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2020년 7월 29일에 확인함. 
  • 이석기 2003, 82쪽 "북한의 독립채산제는 1970년대 초 중앙의 국영기업뿐만 아니라 지방공업을 포함한 공업부문, 농업부문, 그리고 비생산적 부문인 유통부문에 이르기까지 확대 실시되었다. 그리고 1970년대 중반부터 연합기업소에 대하여 ‘2중 독립채산제’를 실시하였다. 2중 독립채산제는 연합기업소 단위로 독립채산제를 실시하면서 연합기업소에 속하는 공장․기업소도 독립채산제로 운영하는 제도이다." 이석기 (2003년 12월 1일). 북한의 기업관리체계 및 기업행동양식 변화 연구 (보고서).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2020년 7월 29일에 확인함. 
  • 이영훈 (2006:115-119).
  • 신힘철 (2008:56).
  • 민영기 (2016:181).
  • 민영기 (2016:182).
  • 최수영 외 3인 1998, 1쪽
  • 이영훈 (2015:95).
  • 민영기 (2016:184).
  • 이용선 (2010:7).
  • 신재현 (2014:3).
  • 이윤걸 (2011:38)
  • 최수영 (2005:7)
  • 최수영 (2005:9)
  • 홍순직 (2015:38).
  • 홍순직 (2015:37).
  • 김수암 (2013:38).
  • 김경술 (2013:1-3).
  • 임상철 (2014:267)
  • 김영훈, 임수경 (2014:1-2)
  • 최수영 (2006:7)
  • 최수영 (2006:8)
  • 홍익표 (2010:267)
  • 이석기, 변학문 & 나혜선 2020, 234쪽 "투자 동향이 발표된 기업의 경우에는 음식료업이 섬유 - 의류보다 3배 이상 많았는데 생산 동향이 보도된 기업은 사실상 동일하다는 사실을 통해 경공업 부문에서 2000년대에 식품가공업에 대한 투자가 집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동시에 섬유 - 의류 부문은 기존의 설비에서 상대적으로 지속적으로 생산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worldbank.org

data.worldbank.org

worldcat.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