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기 2003, 77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seoki (help) "1970년대에 시범적으로 실시되던 연합기업소 체계는 1985년 11월 당중앙위 정치국회의의 ‘연합기업소를 조직하여 정무원의 사업체계와 방법을 개선할 데 대하여’를 통하여 전면적으로 도입되었다. 연합기업소의 확대 역시 중앙에 의한 공장․기업소의 직접적인 관리의 어려움을 연합기업소를 만들어 이것에 여러 공장․기업소를 묶음으로써 관리대상을 줄이고, 관리단계를 줄이려는 시도인 것으로 보인다" 이석기 (2003년 12월 1일). 북한의 기업관리체계 및 기업행동양식 변화 연구 (보고서).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2020년 7월 29일에 확인함.
이석기 2003, 77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seoki (help) "연합기업소를 계획, 생산, 경영의 단위로 설정함에 따라 자재 공급에 있어 연합기업소의 역할이 크게 강조되게 되었고, 연합기업소는 자재공급의 주된 단위가 되었다. 연합기업소 체계하에서 자재공급체계는 정무원의 자재공급위원회(그리고 중앙자재총연합상사)와 정무원의 각 위원회, 부의 지도 밑에 연합기업소들이 직접 계획에 따라 계약을 맺고 상업적 거래형식으로 자재를 주고받는 체계이다." 이석기 (2003년 12월 1일). 북한의 기업관리체계 및 기업행동양식 변화 연구 (보고서).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2020년 7월 29일에 확인함.
이석기 2003, 77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seoki (help) "자재보장문제, 협동생산문제, 수송문제를 원만히 풀기 위하여서는 어떤 대책이 필요하겠습니까? 내가 초보적으로 생각한 데 의하면 이 문제를 풀기 위하여 관리국과 연합기업소들을 합리적으로 조직하고, 관리국과 연합기업소 범위에서 독립채산제를 실시하며, 개별적인 공장 기업소들에서도 독립채산제를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석기 (2003년 12월 1일). 북한의 기업관리체계 및 기업행동양식 변화 연구 (보고서).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2020년 7월 29일에 확인함.
이석기 2003, 77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seoki (help) "북한은 정권수립 이후 구소련에서 시행되고 있었던 독립채산제를 도입하여 실행하기 시작하였다. 물론 그 목적은 계획경제의 원활하고 효율적인 운영이었다. 그러나 독립채산제의 체계적 실행은 계속 지체되었다." 이석기 (2003년 12월 1일). 북한의 기업관리체계 및 기업행동양식 변화 연구 (보고서).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2020년 7월 29일에 확인함.
이석기 2003, 82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seoki (help) "북한의 독립채산제는 1970년대 초 중앙의 국영기업뿐만 아니라 지방공업을 포함한 공업부문, 농업부문, 그리고 비생산적 부문인 유통부문에 이르기까지 확대 실시되었다. 그리고 1970년대 중반부터 연합기업소에 대하여 ‘2중 독립채산제’를 실시하였다. 2중 독립채산제는 연합기업소 단위로 독립채산제를 실시하면서 연합기업소에 속하는 공장․기업소도 독립채산제로 운영하는 제도이다." 이석기 (2003년 12월 1일). 북한의 기업관리체계 및 기업행동양식 변화 연구 (보고서).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2020년 7월 29일에 확인함.
임수호 외 2인 2015, 40쪽 "2006년 북한 당국은 만 17세 이상 성인남성의 장사를 금지하고 뙈기밭에 고율의 토지사용료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2007년에는 만 40세 미만 성인여성의 장사를 금지하고, 시장거래 품목도 통제하기 시작했으며, 개인사업을 대대적으로 단속하기 시작했다. 2008년 김정일이 ‘6.18 담화’를 통해 시장을 ‘자본주의 요소의 본거지’로 규정한 이후 시장에 대한 억압은 더욱 기승을 부리게 되는데, 2009년 들어 상설시장을 10일장으로 되돌리려는 움직임이 나타났으며, 뙈기밭 역시 2009년 협동농장에 강제 귀속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임수호; 최유정; 홍석기 (2015년 12월 30일). 《북한 경제개혁의 재평가와 전망: 선군경제노선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KIEP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임수호 외 2인 2015, 41쪽 "화폐개혁 및 외화사용 금지조치로 시장거래가 중단되고 이로 인해 물가가 폭등하면서 시장에 의존해 생활하던 주민의 불만이 폭발적으로 고조됐다. 아사자가 속출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특히 주로 원화로 자본을 축적해온 소매상인 등 생계형 상인들은 축적한 자본을 모두 강탈당한 꼴이어서 자살과 항의가 이어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임수호; 최유정; 홍석기 (2015년 12월 30일). 《북한 경제개혁의 재평가와 전망: 선군경제노선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KIEP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임수호 외 2인 2015, 42쪽 "근로자 및 농민은 단기적으로 임금이 100배 상승하는 효과를 누렸지만, 임금상승은 화폐과잉을 초래해 하이퍼인플레이션을 낳았고, 결과적으로 불과 1년도 되지 않아 실질임금은 화폐개혁 이전 수준으로 떨어져버렸다. (중략) 원화로 축적한 소규모 상인의 경제기반은 상당부분 약화됐지만, 외화로 축적한 돈주 등 대형상인은 거의 피해를 보지 않았다." 임수호; 최유정; 홍석기 (2015년 12월 30일). 《북한 경제개혁의 재평가와 전망: 선군경제노선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KIEP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임수호 외 2인 2015, 41쪽 "<좋은벗들>에 따르면, 2010년 1월 초부터 26일까지 노동당에서 주민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약 2,000명의 아사자가 발생한 것이 확인됐다고 한다. 또한 2월 들어서도 평안남도 순천, 덕천, 평성 순으로 수천 명의 아사자가 발생했고, 신의주에서도 300여 세대에서 아사자가 발생했다고 한다." 임수호; 최유정; 홍석기 (2015년 12월 30일). 《북한 경제개혁의 재평가와 전망: 선군경제노선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KIEP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독립채산제”. 《북한 지식사전》. 2020년 7월 29일에 확인함. 독립채산제는 북한이 사회주의 계획경제체제에서 제기되는 생산력 저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공장기업소가 부분적으로나마 독자성을 가지고 경영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경영관리방법을 말한다.
wikipedia.org
en.wikipedia.org
권오중 (2001:174) harvcoltxt error: 대상 없음: CITEREF권오중2001 (help).
이영훈 (2006:24) harvcoltxt error: 대상 없음: CITEREF이영훈2006 (help)
이영훈 (2006:109-110) harvcoltxt error: 대상 없음: CITEREF이영훈2006 (help).
모춘흥 (2016:28) harvcoltxt error: 대상 없음: CITEREF모춘흥2016 (help).
이영훈 (2006:110-111) harvcoltxt error: 대상 없음: CITEREF이영훈2006 (help)
이영훈 (2006:113-115) harvcoltxt error: 대상 없음: CITEREF이영훈2006 (help).
이석기 2003, 77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seoki (help) "1970년대에 시범적으로 실시되던 연합기업소 체계는 1985년 11월 당중앙위 정치국회의의 ‘연합기업소를 조직하여 정무원의 사업체계와 방법을 개선할 데 대하여’를 통하여 전면적으로 도입되었다. 연합기업소의 확대 역시 중앙에 의한 공장․기업소의 직접적인 관리의 어려움을 연합기업소를 만들어 이것에 여러 공장․기업소를 묶음으로써 관리대상을 줄이고, 관리단계를 줄이려는 시도인 것으로 보인다" 이석기 (2003년 12월 1일). 북한의 기업관리체계 및 기업행동양식 변화 연구 (보고서).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2020년 7월 29일에 확인함.
이석기 2003, 77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seoki (help) "연합기업소를 계획, 생산, 경영의 단위로 설정함에 따라 자재 공급에 있어 연합기업소의 역할이 크게 강조되게 되었고, 연합기업소는 자재공급의 주된 단위가 되었다. 연합기업소 체계하에서 자재공급체계는 정무원의 자재공급위원회(그리고 중앙자재총연합상사)와 정무원의 각 위원회, 부의 지도 밑에 연합기업소들이 직접 계획에 따라 계약을 맺고 상업적 거래형식으로 자재를 주고받는 체계이다." 이석기 (2003년 12월 1일). 북한의 기업관리체계 및 기업행동양식 변화 연구 (보고서).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2020년 7월 29일에 확인함.
이석기 2003, 77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seoki (help) "자재보장문제, 협동생산문제, 수송문제를 원만히 풀기 위하여서는 어떤 대책이 필요하겠습니까? 내가 초보적으로 생각한 데 의하면 이 문제를 풀기 위하여 관리국과 연합기업소들을 합리적으로 조직하고, 관리국과 연합기업소 범위에서 독립채산제를 실시하며, 개별적인 공장 기업소들에서도 독립채산제를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석기 (2003년 12월 1일). 북한의 기업관리체계 및 기업행동양식 변화 연구 (보고서).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2020년 7월 29일에 확인함.
이석기 2003, 77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seoki (help) "북한은 정권수립 이후 구소련에서 시행되고 있었던 독립채산제를 도입하여 실행하기 시작하였다. 물론 그 목적은 계획경제의 원활하고 효율적인 운영이었다. 그러나 독립채산제의 체계적 실행은 계속 지체되었다." 이석기 (2003년 12월 1일). 북한의 기업관리체계 및 기업행동양식 변화 연구 (보고서).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2020년 7월 29일에 확인함.
이석기 2003, 82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seoki (help) "북한의 독립채산제는 1970년대 초 중앙의 국영기업뿐만 아니라 지방공업을 포함한 공업부문, 농업부문, 그리고 비생산적 부문인 유통부문에 이르기까지 확대 실시되었다. 그리고 1970년대 중반부터 연합기업소에 대하여 ‘2중 독립채산제’를 실시하였다. 2중 독립채산제는 연합기업소 단위로 독립채산제를 실시하면서 연합기업소에 속하는 공장․기업소도 독립채산제로 운영하는 제도이다." 이석기 (2003년 12월 1일). 북한의 기업관리체계 및 기업행동양식 변화 연구 (보고서).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2020년 7월 29일에 확인함.
이영훈 (2006:115-119) harvcoltxt error: 대상 없음: CITEREF이영훈2006 (help).
신힘철 (2008:56) harvcoltxt error: 대상 없음: CITEREF신힘철2008 (help).
민영기 (2016:181) harvcoltxt error: 대상 없음: CITEREF민영기2016 (help).
민영기 (2016:182) harvcoltxt error: 대상 없음: CITEREF민영기2016 (help).
최수영 (2006:7) harvcoltxt error: 대상 없음: CITEREF최수영2006 (help)
최수영 (2006:8) harvcoltxt error: 대상 없음: CITEREF최수영2006 (help)
홍익표 (2010:267) harvcoltxt error: 대상 없음: CITEREF홍익표2010 (help)
이석기, 변학문 & 나혜선 2020, 234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oldest (help) "투자 동향이 발표된 기업의 경우에는 음식료업이 섬유 - 의류보다 3배 이상 많았는데 생산 동향이 보도된 기업은 사실상 동일하다는 사실을 통해 경공업 부문에서 2000년대에 식품가공업에 대한 투자가 집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동시에 섬유 - 의류 부문은 기존의 설비에서 상대적으로 지속적으로 생산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