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천주교 박해 (Korean Wikipedia)

Analysis of information sources in references of the Wikipedia article "조선의 천주교 박해" in Korean language version.

refsWebsite
Global rank Korean rank
46th place
2nd place
2,338th place
24th place
low place
309th place
low place
521st place
low place
low place
low place
185th place
1st place
1st place
2,602nd place
26th place
low place
378th place
27th place
10th place
832nd place
7th place
low place
274th place

aks.ac.kr (Global: 2,602nd place; Korean: 26th place)

encykorea.aks.ac.kr

  • [한국 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신해박해(辛亥迫害)...동양사회의 전통적인 조상제사 금지는 1742년, 교의적(敎義的)인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기율적(紀律的)인 잠정적 변법(暫定的辨法)에 의하여 교황청에서 금지조치가 취해진 바 있었다. 이 조치는 1939년에 교의적 결정에 의하여 조상제사가 지니는 사회적 의의를 천주교회가 인정하게 됨으로써 실효되었다.

catholic.or.kr (Global: low place; Korean: 309th place)

maria.catholic.or.kr

  • [Good News 카톨릭사전] 을묘박해 ...이들을 판관 앞에서 한결같이 용감하게 신앙을 고백하였고 주 신부의 도피처에 대한 심한 고문에도 일절 함구하고 입을 열지 않았다. 결국 그들은 혹독한 형벌을 받아, 맞은 매로 그 이튿날 숨을 거두어 순교하였다.
  • [Goodnews 카톨릭 사전] 을해박해 (乙亥迫害)
  • [Goodnews 카톨릭 사전] 경신박해 (庚申迫害)
  • [Godd News 카톨릭사전] 명동본당.....이곳에 신앙공동체가 형성된 것은 그보다 104년 전인 1784년의 일이다. 그 해 가을부터 수표교(手標橋)의 이벽(李檗)의 집에서 영세식이 있었고, 다음 해에는 명례방(明禮坊; 현 명동 부근) 소재 중국어 역관(譯官) 김범우(金範禹, 토마스)의 집 대청마루에 모인 이승훈(李承薰, 베드로), 정약전(丁若銓)의 3형제, 권일신(權日身) 형제 등이 이벽을 지도자로 삼아 종교집회를 가짐으로써 조선에 교회를 창설하였던 것이다.

catholictimes.org (Global: low place; Korean: 378th place)

  • [카톨릭신문] 대전교구 청양본당, 복자 이도기 순교 220주년 세미나 2018.0916......내포교회연구소 방상근(석문 가롤로) 연구위원은 ‘18세기 말 내포 교회와 정사박해’ 발제를 통해 이도기를 비롯한 100여 명이 희생된 정사박해(1797~1799)의 발생 원인과 전개 과정, 또 순교지와 순교 형식 및 순교자들의 행적·신심을 밝혔다. 방 위원은 “정사박해는 1795년 이후에 지속된 주문모 신부에 대한 추적, 급증하고 있던 충청도 지역의 교세, 1790년대 자연재해로 인한 기근, 기근의 원인을 신자에게 전가하는 분위기 등이 맞물려 일어났다”고 설명하고 “100명 이상이 순교했으나 순교자 중 이름을 알 수 있는 사람은 이도기, 박취득, 원시보 등 2014년 복자로 선포된 8명”이라고 말했다. 정사박해를 정조의 교화주의 입장에서 전개된 박해 사건으로 규정한 방 위원은 “그런 배경으로 형벌보다는 교화를 통해 천주교를 막으려 했다”며 “순교자들이 대부분 장사(杖死)한 것은 배교를 강요하며 고문을 강화한 결과”라고 말했다.

cpbc.co.kr (Global: low place; Korean: 521st place)

daum.net (Global: 832nd place; Korean: 7th place)

100.daum.net

  • [다음백과] 명동성당 (明洞聖堂).....명동성당 자리는 1784년(정조 8) 역관 김범우(金範禹)의 집으로 이승훈(李承熏), 정약전(丁若銓)의 3형제, 권일신(權日身) 형제 등이 모여 종교집회를 가짐으로써 조선천주교회가 창설된 곳이기도 하다.

grandculture.net (Global: low place; Korean: 185th place)

haemi.or.kr (Global: low place; Korean: low place)

heritage.go.kr (Global: low place; Korean: 274th place)

history.go.kr (Global: 2,338th place; Korean: 24th place)

sillok.history.go.kr

terms.naver.com

web.archive.org (Global: 1st place; Korean: 1st place)

wikisource.org (Global: 27th place; Korean: 10th place)

ko.wikisource.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