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 (Korean Wikipedia)

Analysis of information sources in references of the Wikipedia article "청정" in Korean language version.

refsWebsite
Global rank Korean rank
low place
low place
low place
260th place
low place
167th place
low place
527th place
low place
3,452nd place
46th place
2nd place
1st place
1st place

cbeta.org

dongguk.ac.kr

ebti.dongguk.ac.kr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7, T.1563, 제6권. p. 207 / 1762. 불신(不信)
    "불신(不信)이란 이를테면 마음이 청정[澄淨]하지 않은 것으로, 사견(邪見)의 등류이다. 즉 온갖 진리[諦]와 실유의 법[實]과 정려(靜慮)와 등지(等至)에 대해 현전(現前)에서 경솔하게 비방하고, 보시 등의 원인에 대해서나 그 과보에 대해 마음으로 즉각 인정하지 않는 것을 일컬어 불신이라고 한다."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618, T.1612, p. 3 / 12. 신(信)
    "어떤 것이 신(信)인가. 업(業)과 과(果), 모든 진리[諦]와 보배[寶] 등에 대해 지극히 바르게 부합하여 마음이 청정함을 자성으로 삼는 것이다."
  •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 K.619, T.1613, p. 7 / 24. 신(信)
    "무엇을 믿음[信]이라고 하는가?
    업 · 과보 · 모든 진리[諦] · 보배 등에 대하여 깊고 바르게 따르는 마음의 청정함을 성질로 삼는다. 업에 대하여 복(福) · 복이 아님(非福) · 부동업(不動業)을 말한다. 과보에 대하여 수다원(須陀洹) · 사다함(斯陀含) · 아나함(阿那含) · 아라한(阿羅漢)의 과보를 말한다. 진리에 대하여 괴로움의 진리[苦諦] · 집착의 진리[集諦] · 집착을 없애는 진리[滅諦] · 깨달음에 이르는 진리[道諦]이다. 보배에 대하여 불보(佛寶) · 법보(法寶) · 승보(僧寶)의 삼보이다. 이와 같은 업 · 과보 등에 대하여 지극히 맞게 따르는 것을 청정(淸淨)이라고 한다. 간절히 바라는 뜻에 이르러서는 바람이 나타나는 행동양식이다."
  •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1권. p. 5 / 448. 신(信)
    "신(信)이란 무엇인가? 마음이 맑고 깨끗한 성품[澄淨性]이다."

dongguk.edu

buddha.dongguk.edu

  • 운허, "淸淨(청정)". 2013년 2월 16일에 확인
    "淸淨(청정): 【범】 Śuddhā 나쁜 짓으로 지은 허물이나, 번뇌의 더러움에서 벗어난 깨끗함. 자성청정(自性淸淨)ㆍ이구청정(離垢淸淨)의 2종이 있음. ⇒이종청정(二種淸淨)"

fgs.org.tw

etext.fgs.org.tw

  • 星雲, "清淨". 2013년 2월 16일에 확인
    "清淨: 梵語 śuddha, viśuddha, pariśuddha,巴利語 suddha, visuddha, parisuddha。音譯毘輸陀、輸陀、尾戍馱、戍馱。略稱淨。或作梵摩(梵 brahma,巴同)。指遠離因惡行所致之過失煩惱。一般常用身語意三種清淨。
     有關清淨之種類,於諸經論中,均有詳載,如下:(一)無性之攝大乘論釋卷二就煩惱之伏斷述及二種清淨:(1)世間清淨,由有漏道之修行能暫時壓抑現行之煩惱,稱為世間清淨。(2)出世間清淨,由無漏道之修行能完全滅盡煩惱,稱為出世間清淨。颴世親淨土論則分為:(1)器世間清淨,令環境變成清淨。(2)眾生世間清淨,住於其地眾生變為聖眾。二者係顯依、正二報皆清淨。(三)大智度論卷七十三列舉三種清淨,即:(1)心清淨,修學般若不起染心、瞋心等。(2)身清淨,心既清淨常得化生,故身清淨。(3)相清淨,得具足相好莊嚴身。(四)梁譯攝大乘論卷中謂四種清淨,即:本來自性清淨、無垢清淨、至得道清淨與道生境界清淨。(五)究竟一乘寶性論卷四說二種清淨,謂本來自性清淨分為二,即:(1)自性清淨,萬法皆空,本來即清淨。(2)離垢清淨,離煩惱而成為清淨。(六)顯揚聖教論卷三列舉尸羅、心、見、度疑、道非道智見、行智見、行斷智見、無緣寂滅、國土等九種清淨。(七)大乘本生心地觀經卷七列舉三昧、智慧、神通、現身、多聞等各有八種清淨。〔大品般若經卷十二歎淨品、大寶積經卷十四、卷三十九、無上依經卷上、集異門足論卷六、釋淨土群疑論卷一〕p4667"

hanja.naver.com

  • "澄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네이버 한자사전》. 2013년 3월 27일에 확인.
    "澄淨(징정):
    澄 맑을 징,나뉠 등
    1. (물이)맑다 2. (물을)맑게 하다 3. 맑고 깨끗하다 4. 안정되다(安定--), 편안하다(便安--) 5. 정지하다(停止--) 6. 술 이름 a. (맑고 흐림이)나뉘다 (등)
    淨 깨끗할 정
    1. 깨끗하다 2. 맑다, 밝다 3. 깨끗이 하다 4. 사념(邪念)이 없다 5. 정하다(淨--) 6. 차갑다 7. 악인(惡人)의 역(役)"

web.archive.org

  • "澄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네이버 한자사전》. 2013년 3월 27일에 확인.
    "澄淨(징정):
    澄 맑을 징,나뉠 등
    1. (물이)맑다 2. (물을)맑게 하다 3. 맑고 깨끗하다 4. 안정되다(安定--), 편안하다(便安--) 5. 정지하다(停止--) 6. 술 이름 a. (맑고 흐림이)나뉘다 (등)
    淨 깨끗할 정
    1. 깨끗하다 2. 맑다, 밝다 3. 깨끗이 하다 4. 사념(邪念)이 없다 5. 정하다(淨--) 6. 차갑다 7. 악인(惡人)의 역(役)"

wikipedia.org

en.wikipedia.org

  • 운허, "淸淨(청정)". 2013년 2월 16일에 확인
    "淸淨(청정): 【범】 Śuddhā 나쁜 짓으로 지은 허물이나, 번뇌의 더러움에서 벗어난 깨끗함. 자성청정(自性淸淨)ㆍ이구청정(離垢淸淨)의 2종이 있음. ⇒이종청정(二種淸淨)"
  • 星雲, "清淨". 2013년 2월 16일에 확인
    "清淨: 梵語 śuddha, viśuddha, pariśuddha,巴利語 suddha, visuddha, parisuddha。音譯毘輸陀、輸陀、尾戍馱、戍馱。略稱淨。或作梵摩(梵 brahma,巴同)。指遠離因惡行所致之過失煩惱。一般常用身語意三種清淨。
     有關清淨之種類,於諸經論中,均有詳載,如下:(一)無性之攝大乘論釋卷二就煩惱之伏斷述及二種清淨:(1)世間清淨,由有漏道之修行能暫時壓抑現行之煩惱,稱為世間清淨。(2)出世間清淨,由無漏道之修行能完全滅盡煩惱,稱為出世間清淨。颴世親淨土論則分為:(1)器世間清淨,令環境變成清淨。(2)眾生世間清淨,住於其地眾生變為聖眾。二者係顯依、正二報皆清淨。(三)大智度論卷七十三列舉三種清淨,即:(1)心清淨,修學般若不起染心、瞋心等。(2)身清淨,心既清淨常得化生,故身清淨。(3)相清淨,得具足相好莊嚴身。(四)梁譯攝大乘論卷中謂四種清淨,即:本來自性清淨、無垢清淨、至得道清淨與道生境界清淨。(五)究竟一乘寶性論卷四說二種清淨,謂本來自性清淨分為二,即:(1)自性清淨,萬法皆空,本來即清淨。(2)離垢清淨,離煩惱而成為清淨。(六)顯揚聖教論卷三列舉尸羅、心、見、度疑、道非道智見、行智見、行斷智見、無緣寂滅、國土等九種清淨。(七)大乘本生心地觀經卷七列舉三昧、智慧、神通、現身、多聞等各有八種清淨。〔大品般若經卷十二歎淨品、大寶積經卷十四、卷三十九、無上依經卷上、集異門足論卷六、釋淨土群疑論卷一〕p4667"
  • 중현 조, 현장 한역 & T.1563, 제6권. p. T29n1563_p0800b19 - T29n1563_p0800b21. 불신(不信)
    "不信者謂心不澄淨邪見等流。於諸諦寶靜慮等至現前輕毀。於施等因及於彼果。心不現許名為不信。"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7, T.1563, 제6권. p. 207 / 1762. 불신(不信)
    "불신(不信)이란 이를테면 마음이 청정[澄淨]하지 않은 것으로, 사견(邪見)의 등류이다. 즉 온갖 진리[諦]와 실유의 법[實]과 정려(靜慮)와 등지(等至)에 대해 현전(現前)에서 경솔하게 비방하고, 보시 등의 원인에 대해서나 그 과보에 대해 마음으로 즉각 인정하지 않는 것을 일컬어 불신이라고 한다."
  • 세친 조, 현장 한역 & T.1612, p. T31n1612_p0848c21 - T31n1612_p0848c22. 신(信)
    "云何為信。謂於業果諸諦寶中。極正符順心淨為性。"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618, T.1612, p. 3 / 12. 신(信)
    "어떤 것이 신(信)인가. 업(業)과 과(果), 모든 진리[諦]와 보배[寶] 등에 대해 지극히 바르게 부합하여 마음이 청정함을 자성으로 삼는 것이다."
  •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 T.1613, p. T31n1613_p0852a10 - T31n1613_p0852a16. 신(信)
    "云何信。謂於業果諸諦寶等。深正符順。心淨為性。於業者。謂福。非福。不動業。於果者。謂須陀洹。斯陀含。阿那含。阿羅漢果。於諦者。謂苦集滅道諦。於寶者。謂佛法僧寶。於如是業果等。極相符順。亦名清淨。及希求義。與欲所依為業。"
  •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 K.619, T.1613, p. 7 / 24. 신(信)
    "무엇을 믿음[信]이라고 하는가?
    업 · 과보 · 모든 진리[諦] · 보배 등에 대하여 깊고 바르게 따르는 마음의 청정함을 성질로 삼는다. 업에 대하여 복(福) · 복이 아님(非福) · 부동업(不動業)을 말한다. 과보에 대하여 수다원(須陀洹) · 사다함(斯陀含) · 아나함(阿那含) · 아라한(阿羅漢)의 과보를 말한다. 진리에 대하여 괴로움의 진리[苦諦] · 집착의 진리[集諦] · 집착을 없애는 진리[滅諦] · 깨달음에 이르는 진리[道諦]이다. 보배에 대하여 불보(佛寶) · 법보(法寶) · 승보(僧寶)의 삼보이다. 이와 같은 업 · 과보 등에 대하여 지극히 맞게 따르는 것을 청정(淸淨)이라고 한다. 간절히 바라는 뜻에 이르러서는 바람이 나타나는 행동양식이다."
  •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1권. p. T26n1542_p0693a19 - T26n1542_p0693a20. 신(信)
    "信云何。謂心澄淨性。"
  •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1권. p. 5 / 448. 신(信)
    "신(信)이란 무엇인가? 마음이 맑고 깨끗한 성품[澄淨性]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