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nt (1972)는 알렉산드로스 3대의 치세 이후 시작된 헬레니즘시대가 클레오파트라의 죽은 기원전 30년에 종말을 맞았다고 썼다. 마이클 그랜트는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가 고전시대로부터 꾸준히 쇠퇴해왔다는 관점이 고대 로마인들로부터 현대 역사학자들에게까지 이어져왔음을 강조한다. 마이클 그랜트는 헬레니즘 시대의 이집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클레오파트라 7세는 그녀의 조상들이 그 기간 동안 했던 모든 것을 돌이켜보면, 같은 실수를 하지 않은 것 같다. 그러나 동시대인들과 함께 클레오파트라는 그들 자신의 또 다른, 특이한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로마 공화국이 헤게모니를 쥐고 있는 지금 헬레니즘 시대가, 그리스 시대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을까 하는 질문 말이다. 이것은 클레오파트라의 마음에서 결코 멀지 않은 질문이었다. 그러나 그녀는 그리스 시대가 결코 끝나지 않았다고 생각했고, 그리스 시대가 영속되도록 하기 위해 그녀의 능력으로 모든 것을 할 작정이었다는 것은 매우 확실하다." Grant, Michael (1972), 《Cleopatra》, London: Weidenfeld and Nicolson; Richard Clay (the Chaucer Press), ISBN978-0-297-99502-9.
더 자세한 정보를 얻고싶다면 Grant (1972, 12–13쪽)를 보라. 그랜트는 프톨레마이오스 12세가 폼페이우스와 카이사르로부터 "로마인의 친구이자 동맹"이라는 칭호를 얻기 위해 6천 달란트를 뇌물로 주었다고 추산했는데, 1972년 기준으로 1,700만 달러에 달하는 금액으로 당시 이집트의 1년 조세에 근접한다. Grant, Michael (1972), 《Cleopatra》, London: Weidenfeld and Nicolson; Richard Clay (the Chaucer Press), ISBN978-0-297-99502-9.
Roller (2010, 70쪽)는 카이사르와 그의 혈통인 카이사리온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적는다.
"기원전 30년대 후반 안토니우스와 옥타비아누스 사이의 선전전을 거치며 클레오파트라 자녀의 친부 문제는 매우 복잡하게 얽히게 되었다. 한편에서는 카이사르가 친부인 것으로, 다론 한편에서는 카이사르가 친부가 아닌 것으로 주장하는 편이 각자에게 이롭기 때문이었다. 이로써 오늘날에는 카이사르가 카에사리온을 정말 자신의 친자로 여겼는지 판단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현존하는 정보는 거의 모순적이다. 카이사르는 유언장에서 혈통을 부인했지만, 개인적으로는 이를 인정하고 카이사리온이라는 이름의 사용을 허용했다고 한다. 카이사르의 동료 C. 오피우스는 카이사리온이 카이사르의 자녀가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는 소책자까지 썼다. 안토니우스의 카이사르 장례식 연설 후 폭도들에게 살해당한 시인 헬비우스 키나는 카이사르가 여러 처를 둘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을 도입시키기 위해 준비하고 있었다. 이런 대부분의 잡설들이 카이사르 사후에 제시되긴 했지만, 정리하자면 카이사르는 아이에 대해 최대한 의견을 밝히지 않고 싶어했기 때문에 클레오파트라의 거듭된 공표에 반대한 것은 분명해 보인다." Roller, Duane W. (2010), 《Cleopatra: a biograph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978-0-19-536553-5.
Walker (2001, 312쪽)는 이 도금된 은접시에 부착된 형상에 대해, 석류와 포도송이로 둘러쌓여 있고 헬리오스의 상징으로 장식되어있으며 알렉산더 대왕의 헤어스타일로 꾸며져있음은 이 인물이 프톨레마이오스왕조의 인물임을 상징한다고 설명한다. 원뿔형 장식 위에 놓인 초승달 문양은 셀레네를 의미하고, 코끼리의 머릿가죽은 유바 2세와 함께 마우레타니아를 공동통치하는 모습을 상징한 것이라고 해석한다. 실제로 여기에 사용된 상징들은 유바 2세의 동전에서도 활용되었다. Walker, Susan (2001), 〈324 Gilded silver dish, decorated with a bust perhaps representing Cleopatra Selene〉, Walker, Susan; Higgs, Peter, 《Cleopatra of Egypt: from History to Myth》,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British Museum Press), 312–313쪽, ISBN978-0-691-08835-8.
Grant (1972)는 클레오파트라의 할머니(다시 말해서 프톨레마이오스 12세의 어머니)가 시리아인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부분적으로 그리스인 이었을 수도 있다."고 인정한 의견이다.) 그러나 이집트인은 틀림없이 아니라고 말한다. 왕조 전체에서 프톨레마이오스 군주의 이집트인 내연녀는 오직 하나로 알려져있기 때문이다. Grant, Michael (1972), 《Cleopatra》, London: Weidenfeld and Nicolson; Richard Clay (the Chaucer Press), ISBN978-0-297-99502-9.
Jones (2006, 60쪽)에서는 기원전 46년에서 43년 사이에 지어진 라틴어 산문 드 벨로 알렉산드리노(De Bello Alexandrino)의 저자가 아울루스 히르티우스란 카이사르 휘하의 군 장교임이 확실하다고 추측하고 있다. Jones, Prudence J. (2006), 《Cleopatra: a sourcebook》, Norman, OK: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ISBN978-0-8061-3741-4, 2019년 1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27일에 확인함.
흉상/두상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이 작품들을 흉상과 두상 중 어느 쪽으로 분류할지에 대한 학계의 합의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Raia & Sebesta (2017)는 흉상으로, Grout (2017b)는 두상으로 분류하는 편이다. Raia, Ann R.; Sebesta, Judith Lynn (September 2017), 《The World of State》, College of New Rochelle, 2018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6일에 확인함. Grout, James (2017년 4월 1일), 〈Was Cleopatra Beautiful?〉, 《Encyclopaedia Romana》, University of Chicago, 2013년 6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6일에 확인함.
Pfrommer & Towne-Markus (2001, 34쪽)는 프톨레마이오스 2세와 아르시노에 2세 자매 간의 결혼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서술했다. "마케도니아의 왕이 되고 싶었던 프톨레마이오스 케라우노스는... 아르시노에의 어린 자식을 그녀의 눈앞에서 살해했다. 망국의 여왕이 된 아르시노에는 이집트로 달아나 친오빠인 프톨레마이오스 2세에게 위탁했다. 그러나 프톨레마이오스 궁정의 하객으로 여생을 보내는 것에 만족하지 못하고, 프톨레마이오스 2세의 아내를 상이집트로 유배시킨 뒤 기원전 275년경에 프톨레마이오스 2세와 혼인하였다. 근친간 결혼은 그리스인들에게는 추잡한 것으로 여겨졌지만, 이집트에서는 아니었다. 그런 까닭에, 이 결혼은 여론을 양분시켰다. 옹호자들은 이를 제우스와 헤라의 신성한 결혼과 귀환으로 혼인을 축하한 반면, 반대자들은 폭언과 외설적인 비난을 자제하지 않았다. 가장 날카롭게 비꼰 시인 중 한 명은 알렉산드리아에서 도망쳤지만 프톨레마이오스 해군에 의해 크레타 해안에서 붙잡혀 쇠바구니에 담겨 익사했다. 이런 행동과 비슷한 행동들이 악랄한 비판을 주춤하게 한 것으로 본다." Pfrommer, Michael; Towne-Markus, Elana (2001), 《Greek Gold from Hellenistic Egypt》, Getty Museum Studies on Art, Los Angeles: Getty Publications (J. Paul Getty Trust), ISBN978-0-89236-633-0, 2018년 6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6월 22일에 확인함.
Newman (1990), 50, 51 (note 29)쪽. Newman, Robert (1990), “A Dialogue of Power in the Coinage of Antony and Octavian (44–30 B.C.)”, 《American Journal of Numismatics》 2: 37–63, JSTOR43580166.
Pliny the Elder, Natural History9.58보관됨 20 6월 2020 - 웨이백 머신
uchicago.edu
penelope.uchicago.edu
흉상/두상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이 작품들을 흉상과 두상 중 어느 쪽으로 분류할지에 대한 학계의 합의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Raia & Sebesta (2017)는 흉상으로, Grout (2017b)는 두상으로 분류하는 편이다. Raia, Ann R.; Sebesta, Judith Lynn (September 2017), 《The World of State》, College of New Rochelle, 2018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6일에 확인함. Grout, James (2017년 4월 1일), 〈Was Cleopatra Beautiful?〉, 《Encyclopaedia Romana》, University of Chicago, 2013년 6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6일에 확인함.
Pfrommer & Towne-Markus (2001, 34쪽)는 프톨레마이오스 2세와 아르시노에 2세 자매 간의 결혼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서술했다. "마케도니아의 왕이 되고 싶었던 프톨레마이오스 케라우노스는... 아르시노에의 어린 자식을 그녀의 눈앞에서 살해했다. 망국의 여왕이 된 아르시노에는 이집트로 달아나 친오빠인 프톨레마이오스 2세에게 위탁했다. 그러나 프톨레마이오스 궁정의 하객으로 여생을 보내는 것에 만족하지 못하고, 프톨레마이오스 2세의 아내를 상이집트로 유배시킨 뒤 기원전 275년경에 프톨레마이오스 2세와 혼인하였다. 근친간 결혼은 그리스인들에게는 추잡한 것으로 여겨졌지만, 이집트에서는 아니었다. 그런 까닭에, 이 결혼은 여론을 양분시켰다. 옹호자들은 이를 제우스와 헤라의 신성한 결혼과 귀환으로 혼인을 축하한 반면, 반대자들은 폭언과 외설적인 비난을 자제하지 않았다. 가장 날카롭게 비꼰 시인 중 한 명은 알렉산드리아에서 도망쳤지만 프톨레마이오스 해군에 의해 크레타 해안에서 붙잡혀 쇠바구니에 담겨 익사했다. 이런 행동과 비슷한 행동들이 악랄한 비판을 주춤하게 한 것으로 본다." Pfrommer, Michael; Towne-Markus, Elana (2001), 《Greek Gold from Hellenistic Egypt》, Getty Museum Studies on Art, Los Angeles: Getty Publications (J. Paul Getty Trust), ISBN978-0-89236-633-0, 2018년 6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6월 22일에 확인함.
Jones (2006, 60쪽)에서는 기원전 46년에서 43년 사이에 지어진 라틴어 산문 드 벨로 알렉산드리노(De Bello Alexandrino)의 저자가 아울루스 히르티우스란 카이사르 휘하의 군 장교임이 확실하다고 추측하고 있다. Jones, Prudence J. (2006), 《Cleopatra: a sourcebook》, Norman, OK: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ISBN978-0-8061-3741-4, 2019년 1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27일에 확인함.
흉상/두상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이 작품들을 흉상과 두상 중 어느 쪽으로 분류할지에 대한 학계의 합의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Raia & Sebesta (2017)는 흉상으로, Grout (2017b)는 두상으로 분류하는 편이다. Raia, Ann R.; Sebesta, Judith Lynn (September 2017), 《The World of State》, College of New Rochelle, 2018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6일에 확인함. Grout, James (2017년 4월 1일), 〈Was Cleopatra Beautiful?〉, 《Encyclopaedia Romana》, University of Chicago, 2013년 6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6일에 확인함.
흉상/두상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이 작품들을 흉상과 두상 중 어느 쪽으로 분류할지에 대한 학계의 합의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Raia & Sebesta (2017)는 흉상으로, Grout (2017b)는 두상으로 분류하는 편이다. Raia, Ann R.; Sebesta, Judith Lynn (September 2017), 《The World of State》, College of New Rochelle, 2018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6일에 확인함. Grout, James (2017년 4월 1일), 〈Was Cleopatra Beautiful?〉, 《Encyclopaedia Romana》, University of Chicago, 2013년 6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6일에 확인함.
Elia (1956), 3–7쪽. Elia, Olga (1956) [1955], “La tradizione della morte di Cleopatra nella pittura pompeiana”, 《Rendiconti dell'Accademia di Archeologia, Lettere e Belle Arti》 (이탈리아어) 30: 3–7, OCLC848857115.
Curtius (1933), 184 ff. Abb. 3 Taf. 25–27.쪽. Curtius, Ludwig (1933), “Ikonographische Beitrage zum Portrar der romischen Republik und der Julisch-Claudischen Familie”, 《RM》 (독일어) 48: 182–243, OCLC633408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