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J. Fogg, R. P. Nelson (2007). “뜨거운 목성이 있는 행성계에서의, 지구형 행성의 생성에 관하여(On the formation of terrestrial planets in hot-Jupiter systems)”. 《Astronomy & Astrophysics》 461: 1195. arXiv:astro-ph/0610314. doi:10.1051/0004-6361:20066171.
Jean-Marc Petit and Alessandro Morbidelli (2001). “소행성대의 초기 성장 및 쓸려나감”(PDF).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Observatoire de Nice,》. 2007년 2월 21일에 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5월 3일에 확인함.
J. Jeff Hester; Steven J. Desch; Kevin R. Healy; Laurie A. Leshin (2004년 5월 21일). “The Cradle of the Solar System” [태양계의 요람]. 《Science》 304: 1116~1117. doi:10.1126/science.1096808. ISSN0036-8075.
Charles H. Lineweaver (2001). “An Estimate of the Age Distribution of Terrestrial Planets in the Universe: Quantifying Metallicity as a Selection Effect”. 《Icarus》 151: 307. doi:10.1006/icar.2001.6607.
Department of Earth - Planetary Sciences -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2001). “지구형 행성 생성에 영향을 끼친, 가스 원반과 조석 상호 작용의 효과(The Effect of Tidal Interaction with a Gas Disk on Formation of Terrestrial Planets)”. 《Icarus》 157 (1): 43~56. doi:10.1006/icar.2001.6811.
Peter Goldreich; Yoram Lithwick; Re’em Sari (2004년 10월 10일). “행성 생성의 마지막 단계들(Final Stages of Planet Formation)”. 《The Astrophysical Journal》 614: 497. doi:10.1086/423612.
M. J. Fogg, R. P. Nelson (2007). “뜨거운 목성이 있는 행성계에서의, 지구형 행성의 생성에 관하여(On the formation of terrestrial planets in hot-Jupiter systems)”. 《Astronomy & Astrophysics》 461: 1195. arXiv:astro-ph/0610314. doi:10.1051/0004-6361:20066171.
K. R. Rybicki; C. Denis (2001). “지구와 태양계의 마지막 운명에 대하여(On the Final Destiny of the Earth and the Solar System)”. 《Icarus》 151 (1): 130~137. doi:10.1006/icar.2001.6591.
B. T. Gänsicke; T. R. Marsh; J. Southworth; A. Rebassa-Mansergas (2006). “A Gaseous Metal Disk Around a White Dwarf”. 《Science》 314 (5807): 1908~1910. doi:10.1126/science.1135033.
Gary Ernst Wallace (2000). 〈Earth's Place in the Solar System〉. 《Earth Systems: Processes and Issu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58쪽. 2008년 4월 4일에 확인함.
G. Jeffrey Taylor (1998년 12월 31일). “Origin of the Earth and Moon”. 《Planetary Science Research Discoveries》. Hawaii Institute of Geophysics & Planetology. 2008년 6월 21일에 확인함.
Knut Jørgen; Røed Ødegaard (2004). “변화하는 우리의 태양계(Our changing solar system)”. 《Centre for International Climate and Environmental Research》. 2008년 10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21일에 확인함.
J. A. Burns; D. P. Simonelli; M. R. Showalter; D. P. Hamilton; C. C. Porco; L. W. Esposito; H. Throop (2004). Fran Bagenal; Timothy E. Dowling; William B. McKinnon (eds.) (편집). “목성의 고리-위성계(Jupiter’s Ring-Moon System)”(PDF).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1. ISBN0-521-81808-7.
Peter Goldreich and William R. Ward (1973). “미행성들의 탄생”.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Jean-Marc Petit and Alessandro Morbidelli (2001). “소행성대의 초기 성장 및 쓸려나감”(PDF).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Observatoire de Nice,》. 2007년 2월 21일에 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5월 3일에 확인함.
Knut Jørgen; Røed Ødegaard (2004). “변화하는 우리의 태양계(Our changing solar system)”. 《Centre for International Climate and Environmental Research》. 2008년 10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21일에 확인함.
J. Jeff Hester; Steven J. Desch; Kevin R. Healy; Laurie A. Leshin (2004년 5월 21일). “The Cradle of the Solar System” [태양계의 요람]. 《Science》 304: 1116~1117. doi:10.1126/science.1096808. ISSN0036-8075.
A. Morbidelli; J. Chambers; J. I. Lunine; J. M. Petit; F. Robert; G. B. Valsecchi; K. E. Cyr (2000). “지구에 물을 가져온 공급원들의 출처 및 시간대(Source regions and timescales for the delivery of water to the Earth)”. 《Meteoritics & Planetary Science》 35: 1309. ISSN1086-9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