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aig B Agnor, Douglas P Hamilton (2006년 5월). “쌍성체와의 조우에 의한 해왕성의 트리톤 포획 (Neptune's capture of its moon Triton in a binary–planet gravitational encounter)”. 《Nature》 441 (7090): 192–194. Bibcode:2006Natur.441..192A. doi:10.1038/nature04792. PMID16688170.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William Lassell (1846년 11월 13일). “해왕성의 고리 및 위성의 발견 (Discovery of Supposed Ring and Satellite of Neptune)”.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7 (9): 157. Bibcode:1846MNRAS...7..157L.
William Lassell (1846년 12월 11일). “해왕성의 물리적 특성 관찰 (Physical observations on Neptune)”.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7 (10): 167–168. Bibcode:1847MNRAS...7..297L.
Lassell, W. (1847). “해왕성과 그 위성들에 대한 관측 (Observations of Neptune and his satellite)”.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7 (17): 307–308. Bibcode:1847MNRAS...7..307L. doi:10.1002/asna.18530360703.
DP Cruikshank, A Stockton, HM Dyck, EE Becklin, W Macy (1979년 10월). “트리톤의 직경과 반사율 (The diameter and reflectance of Triton)”. 《Icarus》 40 (1): 104–14. Bibcode:1979Icar...40..104C. doi:10.1016/0019-1035(79)90057-5.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Grundy, W. M.; Buie, M. W.; Spencer, J. R. (2002년 10월). “명왕성과 트리톤의 분광학적 측정: 비휘발성 고체의 광범위한 분포의 증거의 가능성 (Spectroscopy of Pluto and Triton at 3-4 Microns: Possible Evidence for Wide Distribution of Nonvolatile Solids)”. 《The Astronomical Journal》 124 (4): 2273–2278. Bibcode:2002AJ....124.2273G. doi:10.1086/342933.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Hussmann, Hauke; Sohl, Frank; Spohn, Tilman (2006년 11월). “Subsurface oceans and deep interiors of medium-sized outer planet satellites and large trans-neptunian objects” 185 (1): 258–273. Bibcode:2006Icar..185..258H. doi:10.1016/j.icarus.2006.06.005.다음 글자 무시됨: ‘Icarus
’ (도움말)
Tryka, Kimberly; Robert Brown; V. Anicich; 외. (1993년 8월). “트리톤의 고체질소의 온도 및 위상 변화에 관한 분광학적 측정 (Spectroscopic Determination of the Phase Composition and Temperature of Nitrogen Ice on Triton)”. 《Science》 261 (5122): 751–754. Bibcode:1993Sci...261..751T. doi:10.1126/science.261.5122.751. PMID17757214.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Smith, B. A.; Soderblom, L. A.; Banfield, D.; Barnet, C.; Basilevsky, A. T.; Beebe, R. F.; Bollinger, K.; Boyce, J. M.; Brahic, A. (1989). “Voyager 2 at Neptune: Imaging Science Results”. 《Science》 246 (4936): 1422–1449. Bibcode:1989Sci...246.1422S. doi:10.1126/science.246.4936.1422. PMID17755997.
Soderblom, L. A.; Kieffer, S. W.; Becker, T. L.; Brown, R. H.; Cook, A. F. II; Hansen, C. J.; Johnson, T. V.; Kirk, R. L.; Shoemaker, E. M. (1990년 10월 19일). “트리톤의 간헐천: 발견과 기본적인 특성들 (Triton's Geyser-Like Plumes: Discovery and Basic Characterization)”. 《Science》 250 (4979): 410–415. Bibcode:1990Sci...250..410S. doi:10.1126/science.250.4979.410. PMID17793016.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raig B Agnor, Douglas P Hamilton (2006년 5월). “쌍성체와의 조우에 의한 해왕성의 트리톤 포획 (Neptune's capture of its moon Triton in a binary–planet gravitational encounter)”. 《Nature》 441 (7090): 192–194. Bibcode:2006Natur.441..192A. doi:10.1038/nature04792. PMID16688170.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William Lassell (1846년 11월 13일). “해왕성의 고리 및 위성의 발견 (Discovery of Supposed Ring and Satellite of Neptune)”.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7 (9): 157. Bibcode:1846MNRAS...7..157L.
William Lassell (1846년 12월 11일). “해왕성의 물리적 특성 관찰 (Physical observations on Neptune)”.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7 (10): 167–168. Bibcode:1847MNRAS...7..297L.
Lassell, W. (1847). “해왕성과 그 위성들에 대한 관측 (Observations of Neptune and his satellite)”.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7 (17): 307–308. Bibcode:1847MNRAS...7..307L. doi:10.1002/asna.18530360703.
William Lassell (1847년 11월 12일). “해왕성의 라셀 위성들 (Lassell's Satellite of Neptune)”.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8 (1): 8. Bibcode:1847MNRAS...8....9B.
Smith, R. W.; Baum, R. (1984). “윌리엄 라셀과 해왕성 고리: 시행 착오의 케이스 스터디 (William Lassell and the Ring of Neptune: A Case Study in Instrumental Failure)”. 《Journal of the History of Astronomy》 15 (42): 1–17. Bibcode:1984JHA....15....1S.
DP Cruikshank, A Stockton, HM Dyck, EE Becklin, W Macy (1979년 10월). “트리톤의 직경과 반사율 (The diameter and reflectance of Triton)”. 《Icarus》 40 (1): 104–14. Bibcode:1979Icar...40..104C. doi:10.1016/0019-1035(79)90057-5.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Grundy, W. M.; Buie, M. W.; Spencer, J. R. (2002년 10월). “명왕성과 트리톤의 분광학적 측정: 비휘발성 고체의 광범위한 분포의 증거의 가능성 (Spectroscopy of Pluto and Triton at 3-4 Microns: Possible Evidence for Wide Distribution of Nonvolatile Solids)”. 《The Astronomical Journal》 124 (4): 2273–2278. Bibcode:2002AJ....124.2273G. doi:10.1086/342933.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Hussmann, Hauke; Sohl, Frank; Spohn, Tilman (2006년 11월). “Subsurface oceans and deep interiors of medium-sized outer planet satellites and large trans-neptunian objects” 185 (1): 258–273. Bibcode:2006Icar..185..258H. doi:10.1016/j.icarus.2006.06.005.다음 글자 무시됨: ‘Icarus
’ (도움말)
Tryka, Kimberly; Robert Brown; V. Anicich; 외. (1993년 8월). “트리톤의 고체질소의 온도 및 위상 변화에 관한 분광학적 측정 (Spectroscopic Determination of the Phase Composition and Temperature of Nitrogen Ice on Triton)”. 《Science》 261 (5122): 751–754. Bibcode:1993Sci...261..751T. doi:10.1126/science.261.5122.751. PMID17757214.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Smith, B. A.; Soderblom, L. A.; Banfield, D.; Barnet, C.; Basilevsky, A. T.; Beebe, R. F.; Bollinger, K.; Boyce, J. M.; Brahic, A. (1989). “Voyager 2 at Neptune: Imaging Science Results”. 《Science》 246 (4936): 1422–1449. Bibcode:1989Sci...246.1422S. doi:10.1126/science.246.4936.1422. PMID17755997.
Soderblom, L. A.; Kieffer, S. W.; Becker, T. L.; Brown, R. H.; Cook, A. F. II; Hansen, C. J.; Johnson, T. V.; Kirk, R. L.; Shoemaker, E. M. (1990년 10월 19일). “트리톤의 간헐천: 발견과 기본적인 특성들 (Triton's Geyser-Like Plumes: Discovery and Basic Characterization)”. 《Science》 250 (4979): 410–415. Bibcode:1990Sci...250..410S. doi:10.1126/science.250.4979.410. PMID17793016.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ollins, Geoffrey; Schenk, Paul (March 14–18, 1994). “트리톤의 용모: 복잡한 구조와 스트레스 패턴 (Triton's Lineaments: Complex Morphology and Stress Patterns)”. 《Abstracts of the 25th Lunar and Planetary Science Conference》 (Houston, TX) 25: 277. Bibcode:1994LPI....25..277C.
Joseph M. Boyce (1993년 3월). “트리톤의 칸탈루프 지대의 구조적 기원 (A structural origin for the cantaloupe terrain of Triton)”. 《In Lunar and Planetary Inst., Twenty-fourth Lunar and Planetary Science Conference. Part 1: A-F (SEE N94-12015 01-91)》 24: 165–66. Bibcode:1993LPI....24..165B.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raig B Agnor, Douglas P Hamilton (2006년 5월). “쌍성체와의 조우에 의한 해왕성의 트리톤 포획 (Neptune's capture of its moon Triton in a binary–planet gravitational encounter)”. 《Nature》 441 (7090): 192–194. Bibcode:2006Natur.441..192A. doi:10.1038/nature04792. PMID16688170.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Tryka, Kimberly; Robert Brown; V. Anicich; 외. (1993년 8월). “트리톤의 고체질소의 온도 및 위상 변화에 관한 분광학적 측정 (Spectroscopic Determination of the Phase Composition and Temperature of Nitrogen Ice on Triton)”. 《Science》 261 (5122): 751–754. Bibcode:1993Sci...261..751T. doi:10.1126/science.261.5122.751. PMID17757214.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Smith, B. A.; Soderblom, L. A.; Banfield, D.; Barnet, C.; Basilevsky, A. T.; Beebe, R. F.; Bollinger, K.; Boyce, J. M.; Brahic, A. (1989). “Voyager 2 at Neptune: Imaging Science Results”. 《Science》 246 (4936): 1422–1449. Bibcode:1989Sci...246.1422S. doi:10.1126/science.246.4936.1422. PMID17755997.
Soderblom, L. A.; Kieffer, S. W.; Becker, T. L.; Brown, R. H.; Cook, A. F. II; Hansen, C. J.; Johnson, T. V.; Kirk, R. L.; Shoemaker, E. M. (1990년 10월 19일). “트리톤의 간헐천: 발견과 기본적인 특성들 (Triton's Geyser-Like Plumes: Discovery and Basic Characterization)”. 《Science》 250 (4979): 410–415. Bibcode:1990Sci...250..410S. doi:10.1126/science.250.4979.410. PMID17793016.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