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 더 극단적인 예를 들자면, 35mm 필름 용 렌즈와 센서 크기가 손톱만한 컴팩트 디카의 렌즈를 비교해보면 된다. 비슷한 밝기의 렌즈를 비교하면 35mm 필름 용 렌즈가 월등히 크며 전체 면적을 통과 시키는 빛의 양도 월등하다. 렌즈 밝기가 같다면, 센서 단위 면적당 도달하는 빛의 양은 같지만, 35mm 필름 용 렌즈는 35mm 필름 면적 전체에 빛을 조사하므로 통과시키는 빛의 양도 많은 것이다. [1]
http://dizin.co.kr/dipeople/proreview/e300/03.htmArchived 2015년 4월 2일 - 웨이백 머신 디아이진 E-300리뷰 참고. 포서즈 시스템의 카메라들 중, E-1, E-300, E-500의 구형모델에 사용된 FFT CCD는 풀 프레임전송방식의 CCD를 말하는 것으로 풀 프레임 전송방식은 각 화소가 이미지 전송 역할까지 해내기 때문에 빛의 수광효율을 높여주어 암부의 표현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의 약점이었던 하이라이트의 표현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고 한다.
http://dizin.co.kr/dipeople/proreview/e300/03.htmArchived 2015년 4월 2일 - 웨이백 머신 디아이진 E-300리뷰 참고. 포서즈 시스템의 카메라들 중, E-1, E-300, E-500의 구형모델에 사용된 FFT CCD는 풀 프레임전송방식의 CCD를 말하는 것으로 풀 프레임 전송방식은 각 화소가 이미지 전송 역할까지 해내기 때문에 빛의 수광효율을 높여주어 암부의 표현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의 약점이었던 하이라이트의 표현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