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eney, Stephen M.; et al. (2011). "First observational tests of eternal inflation: Analysis methods and WMAP 7-year results". Physical Review D. 84 (4): 43507. arXiv:1012.3667.
Feeney; et al. (2011). "First observational tests of eternal inflation". Physical Review Letters. 107 (7): 071301. arXiv:1012.1995... Bousso, Raphael; Harlow, Daniel; Senatore, Leonardo (2015). "Inflation after False Vacuum Decay: Observational Prospects after Planck". Physical Review D. 91 (8): 083527. arXiv:1309.4060.
Collaboration, Planck; Ade, P. A. R.; Aghanim, N.; Arnaud, M.; Ashdown, M.; Aumont, J.; Baccigalupi, C.; Balbi, A.; Banday, A. J.; Barreiro, R. B.; Battaner, E.; Benabed, K.; Benoit-Levy, A.; Bernard, J. -P.; Bersanelli, M.; Bielewicz, P.; Bikmaev, I.; Bobin, J.; Bock, J. J.; Bonaldi, A.; Bond, J. R.; Borrill, J.; Bouchet, F. R.; Burigana, C.; Butler, R. C.; Cabella, P.; Cardoso, J. -F.; Catalano, A.; Chamballu, A.; et al. (20 March 2013). "Planck intermediate results. XIII. Constraints on peculiar velocities". Astronomy & Astrophysics. 561: A97. arXiv:1303.5090.
Bousso, Raphael; Susskind, Leonard (2012). "Multiverse interpretation of quantum mechanics". Physical Review D. 85 (4): 045007. arXiv:1105.3796.
Nomura, Yasunori (2011). "Physical theories, eternal inflation, and the quantum universe". 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2011 (11): 63. arXiv:1104.2324.
Gibbons, G.W.; Turok, Neil (2008). "The Measure Problem in Cosmology". Phys. Rev. D. 77 (6): 063516. arXiv:hep-th/0609095.
Mukhanov, Viatcheslav (2014). "Inflation without Selfreproduction". Fortschritte der Physik. 63 (1): 36–41. arXiv:1409.2335.
Stoeger, W. R.; Ellis, G. F. R.; Kirchner, U. (19 January 2006). "Multiverses and Cosmology: Philosophical Issues". arXiv:astro-ph/0407329.
Nomura, Yasunori; Johnson, Matthew C.; Mortlock, Daniel J.; Peiris, Hiranya V. (2012). "Static quantum multiverse". Physical Review D. 86 (8): 083505. arXiv:1205.5550.
Schmidhuber, Juergen (2000). "Algorithmic Theories of Everything". arXiv:quant-ph/0011122.
Boyle, Latham; Finn, Kieran; Turok, Neil (20 December 2018). "CPT-Symmetric Universe". Physical Review Letters. 121 (25): 251301. arXiv:1803.08928.
Boyle, Latham; Finn, Kieran; Turok, Neil (20 December 2018). "CPT-Symmetric Universe". Physical Review Letters. 121 (25): 251301. arXiv:1803.08928.
Cyr-Racine, Francis-Yan; Ge, Fei; Knox, Lloyd (18 May 2022). "Symmetry of Cosmological Observables, a Mirror World Dark Sector, and the Hubble Constant". Physical Review Letters. 128 (20): 201301. arXiv:2107.13000.
Parhizkar, Alireza; Galitski, Victor (2 May 2022). "Strained bilayer graphene, emergent energy scales, and moir\'e gravity". Physical Review Research. 4 (2): L022027. arXiv:2108.04252.
Parhizkar, Alireza; Galitski, Victor (2022). "Moiré Gravity and Cosmology". arXiv:2204.06574.
Weinberg, Steven (2005). "Living in the Multiverse". arXiv:hep-th/0511037v1.
Ellis, G. F. R.; Kirchner, U.; Stoeger, W. R. (21 January 2004). "Multiverses and physical cosmology".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47 (3): 921–936. arXiv:astro-ph/0305292.
Cortês, Marina; Kauffman, Stuart A.; Liddle, Andrew R.; Smolin, Lee (28 April 2022). "Biocosmology: Biology from a cosmological perspective". arXiv:2204.09379.
Zurek, Wojciech Hubert (13 July 2018). "Quantum theory of the classical: quantum jumps, Born's Rule and objective classical reality via quantum Darwinism".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A: Mathematical, Physical and Engineering Sciences. 376 (2123): 20180107. arXiv:1807.02092.
Siegfried, Tom (17 September 2019). The Number of the Heavens: A History of the Multiverse and the Quest to Understand the Cosmos. Harvard University Press. pp. 51–61. "어떤 세계에는 해와 달이 없고, 어떤 세계에는 해와 달이 우리 세계보다 크고, 어떤 세계에는 해와 달이 더 많다. 어떤 세계에는 더 많은 세계가 있고 어떤 세계에는 더 적은 세계가 있으며, 어떤 세계는 증가하고 어떤 세계는 높이가 높아지고 어떤 세계는 감소하며, 어떤 세계는 상승하고 어떤 세계는 하강한다. 그것들은 서로 충돌하여 파괴된다. 생물이나 식물 또는 수분이 전혀 없는 세계도 있다." ... 무한한 수의 원자만이 무작위적인 운동으로 알려진 세계의 복잡성을 만들 수 있다 ... 이런 의미에서 고대의 원자론자-다중 우주 이론은 오늘날 과학의 상황과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다. 가장 작은 규모의 물질의 궁극적 본질에 대한 그리스 원자론자들의 이론은 우주적 규모에서 다중 우주의 존재를 암시했다. 현대 과학에서 물질의 근본적인 본질을 설명하려는 가장 인기 있는 시도-초끈 이론- 역시 (이론가들에게 놀랍게도) 진공 상태의 광대한 다양성을 암시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다중 우주의 존재를 예측하는 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Dick, Steven J. (29 June 1984). Plurality of Words: The Extraterrestrial Life Debate from Democritus to Ka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6–10."설명이 필요한 현상도 아닌데 왜 다른 세계들이 과학적 담론의 주제가 되었을까?... 그것은 고대 원자론의 우주론적 가정, 즉 우주의 구성체가 지구상의 물질이 구성된 것과 동일한 유형의 불가분성 입자인 움직이는 원자들의 우연한 합체에 의해 형성된다는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러한 자연적 과정의 발생과 우리 자신의 유한한 세계에서 드러난 잠재적 안정성의 명백한 예를 감안할 때, 다른 안정적인 응집체의 존재를 가정하는 것은 비합리적이지 않았다. 원자론자들은 원인이 존재하면 결과도 반드시 발생한다는 원리를 더욱 발전시켰다. 6 원자들은 인과관계의 주체이며 그들의 수는 무한하다. 그 결과 무수한 세계들이 형성되고, 충돌하고, 붕괴하는 것이다."
Rubenstein, Mary-Jane (11 February 2014). "Ancient Openings of Multiplicity". Worlds Without End: The Many Lives of the Multiverse. Columbia University Press. pp. 40–69.
James, William, The Will to Believe, 1895; and earlier in 1895, as cited in OED's new 2003 entry for "multiverse": James, William (October 1895), "Is Life Worth Living?", Int. J. Ethics, 6 (1): 10, "눈에 보이는 자연은 모두 가소성과 무관심, 즉 한 다중 우주이며, 한 우주가 아니라고 사람들이 말할 수 있다."
Sedacca, Matthew (30 January 2017). "The Multiverse Is an Ancient Idea". Nautilus. "다중우주에 대한 최초의 힌트는 고대 그리스의 두 사상가인 원자론자와 스토아학파에서 찾을 수 있다. 기원전 5세기에 철학이 시작된 원자론자들은 이 세상의 질서와 아름다움이 무한한 허공에서 원자들이 충돌하면서 우연적으로 만들어진 산물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원자 충돌로 인해 우리 세계보다 덜 완벽한 평행 세계들이 무수히 많이 생겨났다고 주장했다."
Siegfried, Tom (2019). "Long Live the Multiverse!". Scientific American Blog Network "레우키포스와 데모크리토스는 그들의 원자 이론에 무한한 세계가 필요하다고 믿었다... 그들의 뒤를 이은 사모스의 에피쿠로스도 다중 세계의 실재를 고백했다. "이 세상과 같은 세계와 다른 세계가 무한히 존재한다"..."
Arthur Schopenhauer, "Die Welt als Wille und Vorstellung", supplement to the 4th book "Von der Nichtigkeit und dem Leiden des Lebens". see also R.B. Haldane and J. Kemp's translation "On the Vanity and Suffering of Life" pp. 395–396